자격증

2007년 8월 5일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자격시험 기출문제

아름다운전진 2010. 8. 15. 21:22
728x90
 [제1과목]사무자동화시스템

1. 다음 중 사무자동화 시스템을 평가하는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투자 효율 산정법       나. 상대적 평가법

다. 정성적 평가법         라. 전사적 비교법


2. 사무자동화의 추진을 위한 하향식 접근 방식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가. 최고 경영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즉시 제공할 수 있어서 실효성이 크다.

나. 기업의 최하위 단위부터 자동화하여 그 효과를 점차 증대시키는 방식이다.

다. 시행 착오로 인한 전체적인 비용이 증가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라. 요구되는 사무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3. 다음 중 사무자동화 정의에 적용되는 4요소를 가장 옳게 나열한 것은?


가. 기계화기술, 통신기술, 시스템과학, 경영관리기술

나. 컴퓨터기술, 인간과리기술, 언어기술, 행동과학

다. 컴퓨터기술, 통신기술, 시스템과학, 행동과학

라. 경영관리기술, 자동화기술, 시스템과학, 인간공학


4. 다음 중 정보처리시스템에서 분산처리와 집중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시스템의 확장성은 분산처리 시스템이 우수하다.

나.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은 분산처리 시스템이 우수하다.

다. 집중처리 시스템은 중앙컴퓨터에 부하가 집중된다.

라. 시스템의 유연성, 신뢰성은 집중처리 시스템이 우수하다.


5.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관리 책임을 지는 사람은?


가. 응용 프로그래머

나.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다. 시스템 프로그래머

라. 단말기 사용자


6. 다음 중 사무자동화의 가장 큰 기대효과에 해당하는 것은?


가. 정보처리기기의 대량 보급

나. 정보통신망의 보편화

다. 산업인력의 고령화 및 고학력화

라. 정보획득시간의 단축


7. 다음 중 연속적인 물리량 만을 자료로 취급하는 컴퓨터는?


가. 디지털 컴퓨터         나. 아날로그 컴퓨터

다. 하이브리드 컴퓨터      라. 마이크로 컴퓨터


8. 어떤 디스크 팩이 7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한 면당 200개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이 디스크 팩에서 사용 가능한 실린더의 수는?


가. 200                  나. 400  

다. 1200                  라. 1400


9. 다음 중 레코드를 구성하는 단위는?


가. 단어(Word)            나. 바이트(Byte)

다. 필드(Field)            라. 파일(File)


10. 전자우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가. 문서 우편에 비해 복수의 수신자에게 배포가 용이하다.

나. 전자우편은 컴퓨터 내에 파일화가 용이하지만 필요할 때 자유자재로 검색할 수는 없다.

다. Paperless Office 실현을 지향하는 기업활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라. 전자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순간적인 전송이 가능하므로 즉시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1. 표준양식을 가지고 구조화된 데이터를 전송해서 수신측의 컴퓨터가 직접 처리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가. E-mail               나. FAX

다. BcN                 라. EDI


12.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어나 프린터의 해상도 단위이며 1인치당 몇 개의 도트(점)가 들어가는지를 말하는 것은?


가. dpi                  나. bps

다. bit                   라. Ipm



13. 데이터의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로서 파일구조상의 데이터 항목(Data Itam)또는 데이터 필드(Data Field)를 나타내는 용어는?


가. 속성(Attribute)         나. 엔티티(Entity)

다. 관계(Relationship)      라. 스키마(Schema)


14.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상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할 때 TCP/IP 등록 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도메인 네임(Domain Name)

나. IP Address

다. 게이트웨이(Gateway)

라. URL(Uniform Resource Locator)


15. 맨-머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인간이 기계를 조작하거나 이용하는 부분으로 상호간의 의사전달이 이루어진다.

나. 인간이 기계를 이용할 때 인간과 기계 사이의 연결 부분이다.

다. LAN, 저장 및 처리 기술로 이루어진다.

라. 입력, 출력 및 이들 기기의 이용 소프트웨어 등의 기술로 이루어 진다.


16. CPU의 명령에 따라 독립적으로 입․출력 장치와 기억 장치간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은?


가. 버퍼 메모리           나. 캐시 메모리

다. 채널                 라. 가상 메모리


17. 다음 중 CPU를 하드웨어상으로 구분했을 때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레지스터부            나. 제어부

다. 연산부               라. 외부 버스


18.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큰 성과를 얻을 수 있고, 차세대 정보 기술로 빨리 전환할 수 있으며 조직 내․외부의 정보를 결합하기 쉽다는 장점과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정보의 보안 문제가 있다. ”


가. 그룹웨어                    나. 인트라넷

다. 워크플로우                  라. 미들웨어


19. 다음 중 사무자동화의 기본요소로 구성된 것은?


가. 철학-인터넷-제도-사람

나. 철학-장비-제도-사람

다. 철학-장비-제도-로봇

라. 종교-장비-제도-사람


20. 기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ERP는 다음 중 어떤 종류에 속하는가?


가. 운영체제

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다. 응용 시스템

라. 통신전용 소프트웨어


[제2과목]사무경영관리개론

21. 사무소의 위치를 선정할 때의 기준과 거리가 먼 것은?


가. 회사인 경우 거래처와의 연락이 편리한 곳

나. 지사 혹은 지점이 있을 때 조직 전체에 대한 봉사를 최대한으로 할 수 있는 곳

다. 근처에 생활환경이 편리한 주거시설이 있는 곳.

라. 유사한 업종이 한 곳에 집합하여 있지 않는 곳


22. 본 도표는 계획과 통제에 있어서 노력량의 함수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단, 도표외에 계획 : 통제 = 7:3 이라 가정한다.)


가. 계획이 불충분한 때로서 통제는 힘들고 많은 노력이 든다.

나. 계획이 잘 짜여진 것으로 통제의 정확도가 높고 노력이 경감된다.

다. 통제의 성과면에서 효율도를 높일 수 있다.

라. 계획이 잘 짜여진 것으로 통제상의 노력이 경감되고 완전성을 기할 수 있다.


23. 사무실 사무환경의 배치에 관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가. 광선은 우측 어깨로부터 받을 수 있도록 배치한다.

나. 관리자 감독자는 가능한 부하직원의 전면에 위치 시키도록 한다.

다. 방문객의 접촉 기회가 많은 부서는 입구와 거리가 먼 자리에 배치한다.

라. 작업자가 빈번히 사용하는 사무용구나 비품은 가능한한 집무자 곁에 배치한다.


24. 원프로그램의 일련의 지시, 명령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이용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창작하는 것은?


가. 복제         나. 배포

다. 개작         라. 공표


25. 다음 중 사무관리 기능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가. 사무는 기업의 활동을 능률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관리활동으로써, 각 기능들이 개별적으로 활동하게 해준다.

나. 사무는 조직의 모든 부분 활동을 활발하게 움직이게 하는 상호결합 기능을 갖고 있다.

다. 사무는 기업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조언하고 지지하는 인적 보조기능으로서, 경영규모가 커질수록 관리기능은 더욱 축소된다.

라. 사무는 정보를 필요로 하는 자에게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전달하는 개별적 서비스 기능이다.


26. 자료관리의 자동화에 사용되는 기능 및 장치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가. 워드프로세서          나. 전자우편

다. Fax                  라. 원격회의


27. 사무기계화의 기본목표 중 주목표에 해당하는 것은?


가. 사무의 품질 향상       나. 사무의 원가 절감

다. 사무의 편리성          라. 사무의 생산성 향상


28. 자료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가. 각종 공문서만을 효율적으로 보존하는 것이다.

나. 필요한 자료를 계획적으로 수집, 분류하는 것이다.

다. 자료를 필요로 하는 곳에 신속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라. 자료의 대출, 전시, 복사, 번역 서비스 등을 행하는 것이다.


29. 사무실내의 소음을 줄이는 방법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가. 소음발생원을 소음실로 격리시킨다.

나. 이중 유리시설을 한다.

다. 바닥은 탄력성이 없는 재료를 사용한다.

라. 사무실 배치를 합리적으로 하여 불필요한 보행을 줄인다.


30. VDT 증후군은 주로 어느 사무환경에 의하여 발생되는가?


가. 소음발생              나. 공기조절 불량

다. 배선고장              라. 영상표시장치


31. 전통적 관리와 목표에 의한 관리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다음 중 목표에 의한 관리에 해당하는 것은?


가. 목표설정이 귀납적임

나. 상급자에 의해 통제됨

다. 분업화 및 전문화가 촉진됨

라. 높은 수준의 욕구충족이 가능함


32. 사무작업의 효율화를 가하기 위해서는 절차, 서식, 작업 시간을 단축하거나 간소화해야 하는데, 다음 사항 중 사무간소화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본질적이 아닌 작업을 제거한다.

나. 사무작업에서 불필요한 단계나 복잡성을 제거한다.

다. 사무작업의 속도를 높여 업무량을 증가시킨다.

라. 사무작업의 중복성을 최소화 시킨다.


33. 자료로서 가치성을 검토할 경우 적용하는 기준 항목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가. 유용성               나. 신뢰성

다. 효과성               라. 부분적인 이용성


34. 다음 중 일반 사무실에서 눈이나 신경의 피로를 덜기 위한 가장 적정한 조도(Lux)의 기준은?


가. 500          나. 1000

다. 1500         라. 2000


35. 문서관리의 기본원칙과 거리가 먼 것은?


가. 능률화와 절감화         나. 표준화와 간소화

다. 신속화와 정확화         라. 전문화와 인쇄화


36. 사무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가. 사무실의 위치와 기기 설비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나.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통제 중심의 기능을 중요시 한다.

다. 조직의 운영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라. 전통적 사무관리는 컴퓨터 및 사무자동화 기기 중심의 관리에 중점을 둔다.


37. EDI의 발생 배경이 아닌 것은?


가. 전산관련 업무를 맡은 유능한 인재들의 활용

나.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첨단 정보처리에 대한 요구 증대

다. 업무처리의 신속성과 대량의 정보처리에 대한 요구 증대

라. 수작업 비용의 증가


38. 계획화(Planning)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가. 목표 또는 목적의 설정

나. 자금의 조달과 원천의 결정

다. 실시 가능한 대체안 중 최선안 선택

라. 업무처리 결과에 대한 분석


39. 경영정보시스템이란 “경영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공급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급원들로부터 자료를 통합할 수 있는 형식화된 컴퓨터 정보시스템이다.” 라고 할 수 있다.

다음 중 경영정보시스템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의사결정 지향         나. 요약된 정보

다. 일일 운영 지향         라. 예측 및 통제 지향


40. 시스템 소프트웨어 운영 체제가 아닌 것은?


가.MS-Windows           나. OS/2

다.Compiler              라. UNIX


[제3과목]프로그래밍일반

41. 운영체제를 기능상 분류했을 경우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감시 프로그램         나. 작업 제어 프로그램

다. 언어 번역 프로그램     라.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42. C 언어에서 사용되는 관계 연산자 중 “A와 B가 같지 않다” 의 의미를 갖는 것은?


가. A => B              나. A != B

다. A <= B              라. A & B


43. 객체지향 언어에서 객체(Object)의 구성을 나타낸 것은?


가. Object = Program + operator

나. Object = member function + data

다. Object = class + class

라. Object = class + member function


44. 교착상태 발생의 필요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상호 배제 조건         나. 점유 및 대기 조건

다. 환형 대기 조건         라. 선점조건


45. 객체의 외부적인 활동을 연산이라는 전제하에서 구현한 것은?


가. 속성                 나. 메시지

다. 메소드               라. 추상화


46. 대부분의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제공하는 예약어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가. 예약어의 사용은 프로그램의 판독성을 저해한다.

나. 프로그램을 번역할 때 예약어의 사용은 심볼 테이블 검색 시간을 단축시킨다.

다. 예약어의 사용은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오류회복(error recovery)을 가능케 한다.

라. 프로그래머가 변수 이름이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핵심어(Key word)이다.


47. 정적바인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번역시간              나. 링크시간

다. 실행시간              라. 언어구현시간


48. 구조적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가 아닌 것은?


가. 순차(Sequence)구조     나. 조건(condition)구조

다. 일괄(batch)구조         라. 반복(repetition)구조


49. BNF 심볼에서 정의를 나타내는 것은?


가. ::=          나. <>

다. |            라. →


50. 프로그래밍언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표기법은?


가. suffix         나. postfix

다. prefix         라. infix


51. C 언어의 데이터 형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double               나. long

다. int                   라. character


52. 특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일반적으로 무엇이라 하는가?


가. system program         나. operating system

다. application program     라. compiler


53. C 언어의 관계 연산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                   나. %

다. ==                  라. !=


54. C 언어의 do ~ while 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문의 조건이 거짓인 동안 루프처리를 반복한다.

나. 문의 조건이 처음부터 거짓일 때도 문을 최소 한번은 실행한다.

다. 무조건 한 번은 실행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번 실행하는 처리에 사용하면 유용하다.

라. 맨 마지막에 “;”이 필요하다.


55.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포트란, 코볼은 컴파일러 언어에 해당된다.

나. 인터프리터는 원시프로그램을 번역하여 목적프로그램을 생성한다.

다. 인터프리터는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에서 실행시간이  빠르다.

라. 컴파일러는 원시프로그램을 번역하여 목적프로그램을 생성하지 않는다.


56.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기억 장소의 이름을 의미하는 것은?


가. 함수         나. 변수

다. 주석         라. 라이브러리


57.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항목으로 거리가 먼 것은?


가. 비용         나. 처리 능력

다. 반환시간      라. 사용 가능도


58. 주기억장치의 배치 전략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First-Fit              나. Last-Fit

다. Best-Fit              라. Worst-Fit


59. 수학적 수식 “A+B*C-D"을 후위(Postfix) 표기법으로 표현한 것은?


가. ABC*D-+             나. AB+C*D-

다. ABC+*D-             라. ABC*+D-


60. 선점형 스케줄링 방식에 해당하는 것은?


가. FIFO                 나. SJF

다. Round-Robin          라. HRN


[제4과목]정보통신개론

61. 정보통신 시스템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통신회선을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함.

나. 에러제어 방식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신로도가 높음

다. 협대역 전송에만 주로 사용함

라. 고품질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함


62. 반송파의 위상과 진폭을 상호변환하여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4개의 위상과 2개의 진폭으로 한번에 3비트가 전송 가능한 방식은?


가. ASK         나. PSK

다. FSK         라. QAM


63. 다음 중 광섬유 케이블의 설명이 아닌 것은?


가. 대역폭이 넓어 정보 전송 능력은 향상되나 동축케이블보다 신호 감쇠 현상이 심하다.

나. 전기적 잡음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다.

다. 광을 이용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뛰어나다.

라. 동축 케이블에 비해 무게와 크기에서 이점을 갖는다.


64. 다음 중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시스템간 정확하고 효율적인 정보전송을 위한 일련의 절차나 규범이다.

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다. 자체적으로 오류를 정정하는 오류제어방식이다.

라. 통신회선 및 채널 등의 정보를 운반하는 매체를 모델화한 것이다.


65. 다음 중 HDLC 프레임의 구성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가. 주소필드              나. 제어필드

다. FCS필드              라. ARQ필드


66. LAN의 액세스방식 중 이더넷(ETHERNET)에서 채택한 제어 방식은?


가. 랜덤(RANDOM)방식

나. CSMA/CD방식

다. 토큰패싱(Token Passing)방식

라. 토큰링크(Token link)방식


67. 정보통신시스템의 구성기기인 모뎀(MODEM)은 어느 장치에 해당하는가?


가. 데이터단말장치         나. 신호변환장치

다. 통신회선장치          라. 정보처리장치


68. 다음 중 CRC방식과 관계 없는 것은?


가. HDLC에서 사용         나. 전진에러제어

다. 생성다항식을 사용      라. 오류검출 가능


69. 다음 중 전진오류수정(FEC)에 이용되는 것은?


가. 3-초과부호

나. 그레이(Gray)부호

다. 길쌈부호(CONVOLUTION)

라. BCD부호


70. 다음 중 펄스변조방식이 아닌 것은?


가. PCM         나. PM

다. DM          라. ADPCM


71. 다음 중 정보통신의 교환방식이 아닌 것은?


가. 패킷교환방식          나. 회선교환방식

다. 직접교환방식          라. 메시지교환방식


72. 다음 중 프로토콜의 계층화에 대한 장점이 아닌 것은?


가. 전체적인 오버헤드(Over head)가 증가한다.

나. 모듈화에 의한 전체 설계가 용이하다.

다. 이기종간 호환성 유지가 비교적 쉽다.

라. 한 계층을 수정할 때 다른 계층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73. 다음 중 통신제어장치(CCU)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통신제어장치는 전송로의 신호변화기 사이에 있다.

나. 처리된 데이터를 전송회선으로 보내기에 알맞은 모양으로 변환한다.

다. 데이터 신호를 판독하고 정보를 처리한다.

라. 통신회선의 전송속도와 중앙처리장치의 처리속도와의 차이를 제어한다.


74.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과 관련 없는 것은?


가.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방식

나. 64[Kbps]또는 1544[Kbps]이하의 패킷교환

다. 광전송 등 초고속 전송기술이 필요

라. 1.544[Mbps]이상의 고속데이터 및 영상서비스


75. 다음 중 광손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유전체손실            나. 흡수손실

다. 접속손실              라. 레이리 산란손실


76. 다음 중 패킷 교환방식과 거리가 먼 것은?


가. 메시지 축적 후 전송을 기본으로 한다.

나. 전송속도와 코드 변환이 가능하다.

다. 동적인 대역폭의 할당이 가능하다.

라. 데이터그램 방식과 가상회선 방식이 있다.


77. 정보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에 이중화된 장치나 이중화된 선로를 적용하는 것은 다음 중 어떤 기능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


가. 효율성               나. 신뢰성

다. 용이성               라. 교환성


78. 디지털 정보인 비트열 중 8비트단위로 분할하여 캐리어(carrier)의 위상에 정보를 실어 전송하는 변조방식은?


가. 8-PSK(Phase Shift Keying)

나. 3-PM(Phase Modulation)

다. 3-PSK(Phase Shift Keying)

라. 8-FM(Frequency Modulation)


79. 인터넷 프로토콜 TCP/IP에서 IP는 OSI7계층 중 어느 계층에 가장 가까운가?


가. 응용계층              나. 전송계층

다. 네트워크계층          라. 데이터링크계층


80. 정보전송기술에서 통신용량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가. 신호의 세기를 높인다.

나. 오류율을 높인다.

다. 대역폭을 넓힌다.

라. 잡음의 세기를 줄인다.

[ 2007년 3회 사무자동화 필기 정답 및 해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해설]

[사무자동화 시스템]

1. 사무자동화 시스템 평가 방법.

투자효율산정법, 상대적 평가법, 정성적 평가법이 있다.


2. 하향식 접근 방식의 특징

전체 조직을 총괄 분석하여 자동화에 방해되는 제반요인을 배제하고 경영자가 요구하는 최적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방식


3.사무자동화 정의

정보처리, 정보통신, 시스템과학, 행동과학등의 다양한 응용분야를 통합하여 사무업무 전체의  생산성 향상을 이룩하려는 적극적인 노력


4. 정보처리시스템에서 분산처리와 집중처리

①.집중처리시스템

전산요원의 부족 소프트웨어 개발의 저 생산성

컴퓨터의 부하가 중앙 컴퓨터에 집중

②.분산처리시스템

각 부문의 관리자의 책임감, 만족감을 높임

시스템의 유연성, 신뢰성, 확장성이 우수

각각의 사용자 문제처리가 쉽다.

자원의 공유, 연산속도 향상, 신뢰성 향상

OA도임에 가장 적합한 정보처리 시스템


5.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사용자.

① 단말기 사용자 : 특별한 지식없이 단말기에서 질의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데이터의 검색,삽입,삭제, 갱신작업을 수행하는 사람.

② 응용프로그래머 : 프로그래밍언어와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 부속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응용하고, 외부스키마를 처리하는 사람.

③ 데이터베이스관리자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관리 운영에 따른 모든 책임을 지고 있는 사람이나 그룹


6. 사무자동화의 기대효과

① 생산성의 개선 : 업무의 정확성 개선, 단위 시간당 작업량의 증대, 개인별 작업 시간의 단축

② 조직의 최적화 : 개인 능력의 향상, 인력 구성, 단순 작업의 최소화, 개인과 조직의 융통성 향상

③ 경쟁력의 증대 : 정보 획득 시간의 단축, 적절한 형태의 정보 획득, 의사결정의 개선, 서비스의 개선

가. 정보처리기기의 대량 보급

나. 정보통신망의 보편화

다. 산업인력의 고령화 및 고학력화

→ 사무자동화가 발달하게 된 배경이다.


7. 자료 처리 형태에 따른 분류

① 디지털 컴퓨터 : 모든 자료를 코드화 한 후 사칙연산이나 논리 연산을 하여 이산적인 자료의 형태로 결과를 얻는 컴퓨터(일반컴퓨터)

② 아날로그 컴퓨터 : 특수 목적용 컴퓨터, 연속되는 물리량을 처리하는 컴퓨터 (각도, 온도, 습도 등)

③ 하이브리드 컴퓨터 : 디지털 컴퓨터와 아날로그 컴퓨터의 장점만을 혼합한 컴퓨터


8. 디스크의 구조

Track : 디스크 표면의 동심원

Sector : 한 개의 트랙을 같은 길이로 분할한 구역

실린더는 같은 트랙의 모임으로 트랙과 실린더의 수는 같다.


9. 자료 표현의 단위

비트(Bit) : 정보의 최소 단위

바이트(Byte) : 주소/문자표현의 최소 단위.

워드(Word) : 여러개의 바이트가 모인 단위

필드(Field=item) : 어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자료처리의 기본요소

레코드(Record) : 논리레코드(자료처리단위)와 물리 레코드(입출력단위)로 나뉨

파일(File) : 여러 개의 레코드가 모인 단위

데이터베이스(Database) : 상호 관련된 파일의 집합


10.전자우편(E-mail) : 컴퓨터를 도구로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정보 전송 시스템으로 호스트 컴퓨터에 개인 전용의 사서함을 갖고 이용자 상호간 메시지를 교환, 저장, 검색하는 사무 자동화의 기본적인 도구


11.EDI 의 특징 : 데이터의 전달이 기계에 대한 형태로 전자식으로 전달

사무생산성 향상을 위한 서류없는거래(paperless Trade)

송장, 구매, 주문서, 전표와 같은 일반적인 상거래의 데이터 교환과 전자자금 이송등과 같은 특정 목적을 가진 전자상거래 데이터 교환에도 이용됨.

조직 간/ 조직 내의 문서 교환을 가능하게 함

표준화된 양식을 통환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함.(전자우편과의 차이점)


12.DPI(Dots Per Inch) : 모니터와 프린터의 해상도 단위, 인치당 점의 수


13.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성

엔티티(Entity) : 다른것과 구분되는 개체

속성(Attribute) : 개체의 특성,상태를 기술하는것, 데이터의 가장 작은 단위.

관계(Relationship) : 속성이나 개체의 대응관계


14. TCP/IP에서 반드시 설정할 사항 :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호스트와 도메인, DNS서버


15. Man-Machine Interface System

인간과 기기가 상호 의사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

기기와 기기간, 인간이 기계를 조작할 경우 공유영역으로 상호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

인간과 기계가 상호 협력하여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시스템.

입력 및 표시장치등을 통해 가능한 시스템

사무자동화는 고도의 맨-머신 시스템 이라고 할 수 있음


16. 입/출력 채널을 사용하는 이유

CPU와 입/출력장치의 속도 차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중앙처리장치(CPU)의 도움없이 입/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CPU의 효율을 향상, 채널이 입/출력을 수행하는 동안 CPU는 다른 프로그램을 수행

하나의 명령으로 다수의 블록을 입/출력할 수 있다.


17. 중앙처리장치(CPU)

제어장치 : 모든 장치를 통제/지시 한다.

연산장치 : 산술(*,/,+,-), 관계(<,>,=), 논리(NOT,AND,OR) → ALU

주기억장치

① ROM : 읽기만 가능(비휘발성) →제조회사에서 입력

② RAM : 읽고, 쓰기 가능(휘발성) → 사용자가 이용가능


18. 인트라넷(intranet) : 기업내부의 정보시스템과 통신망을 인터넷에 연결시켜 저렴한 비용으로 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개념.

[특징]

저렴한 요금으로 세계 각자의 지사를 연결하여 정보를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하거나 일반 소비자에게 제품 관련 정보를 제공.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을 이용. 기존의 데이터를 쉽게 변환 할 수 있으므로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인터넷을 사용할수 잇으면 특별한 교육없이 쉽게 사용.

별도의 개발비용이 필요하지 않음.


19. [사무자동화의 4요소]

철학(Philosophy) : 확고한 신념과 적극적인 실천의지.

장비(Equipment) : 사무자동화에 필요한 장비

제도(System) : 상호 관련성이 있는 처리 방법이나 활동 또는 사물의 집합

사람(People) : 모든 시스템의 주체

20.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전사적 자원 관리)]

기업활동을 위해 사용되는 기업내의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통합정보 시스템


[사무경영관리개론]


21. 사무실 배치 목표(Office Layout)

경영관리의 기능적 수행이 용이하고, 집무능력의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며, 직원의 노동 의욕이 향상 될 수 있는 집무환경을 만들어 내는 것

사무실의 경제성 향상, 사무원가 절감, 직원의 노동, 위생조건이 충족, 주민에게 친절감, 서비스 향상

정세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고 업무 성격을 확실하게 표현하며 PR효과 제공


22. 도표외에 계획 : 통제 = 7:3 이라 가정한다

위의 계획과 통제의 내용을 보면 계획이 충분히 세워진 상태로서 통제가 되어진 것을 알수가 있다.


23. 올바른 사무환경 배치

광선은 좌측 어깨위에서 비치는 것이 좋음

관리자, 감독자는 가능한 부하 직원들의 뒷면이나 측면에 위치

방문객의 접촉의 기회가 많은 부서는 입구와 가깝게 배치


24. 프로그램 제작의 방법

복제 : 프로그램에 새로운 창작성을 더하지 않고 다시 제작.

개작 : 원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이용 새로운 프로그램을 창작.

배포 : 원프로그램 또는 그 복제물을 공중에게 양도 또는 대여하는 것.

발행 : 프로그램을 공중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정도로 복제하여 공중에게 배포.

공표 :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에 대한 사항을 대중에게 알려주는 행위.


25. 사무관리 기능

계획, 조직, 지휘, 통제, 인사관리, 조정등의 동적 가능이 포함됨

26. 자료관리의 자동화

실제 경영 활동이 행해지고 있는 최말단에서 발생한 자료를 직접 취해서 이것을 전기회로를 통하여 중앙의 데이터 처리 기구에 투입


27. 사무자동화의 기대효과

생산성의 개선 : 업무의 질적, 양적개선

조직의 최적화 : 개인능력향상, 적절한 인력구성

경쟁력의 증가 : 의사결정 개선, 서비스의 개선

※ 사무기계화의 가장 큰 효과는 바로 생산성의 향상이다.


28. 자료관리의 자동화 : 실제 경영 활동이 행해지고 있는 최말단에서 발생한 자료를 직접 취해서 이것을 전기회로를 통하여 중앙의 데이터 처리 기구에 투입


29. 사무실내의 소음을 줄이는 방법

소음 발생원을 소음실로 격리

이중유리시설

바닥은 탄력성 있는 재료로 사용

사무실 배치를 합리적으로 하여 불필요한 보행을 줄임.

방음설비 : 철근콘크리트벽 20Cm 이상


30. VDT증후군

VDT(Video Display Terminal) 키보드의 입력을 화면에 표시하는 장치들을 총칭.

VDT증후군 : VDT의 전자파에 장시간 노출됨으로써 입게 되는 새로운 직업병, 우리나라에서는 키보드를 장시간 두드림으로써 어깨나 손가락 부위에 손상을 입게되는 경우, 직업병으로 인정.

시력장애, 두통,어지러움,출산장애,생리불순,유산등


31. MBO (Management By Objectives)목표에 의한 관리

1950년대 후반 미국의 경영학자에 의해 제창된 관리 기법. 각 개인이 설정하는 목표를 기본으로 자기관리를 중요시하는 것을 기초로 하는 관리전략.


32. 사무간소화(Work simplification)의 대상

사무 간소화의 결과로 상당한 절약이 예상되는 작업

소요시간의 단축이 예상되는 작업

작업방법의 어려움, 집무환경, 업무량의 과중, 기타 이유로 인해서 특히 불평이나 불만의 대상이 되는 작업

사무원들의 시간외 근무를 자주하게 되는 경우, 사무 작업을 감축시켜 타 직원에게 분담시키거나 또는 방법을 개선해서 시간을 단축하고자 하는 업무.


33. 정보의 특성

적시성 : 정보는 시간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

정확성 : 정보에는 오류가 없어야 함.

증명가능성 : 정보의 정확성은 비교, 재입력, 감사증적 등에 의해 확인될 수 있음.

목적적합성 : 정보는 의사결정이 보다 쉽고 성공적으로 이뤄지도록 해야 함.

완전성 : 정보가 완전치 못하면 무의미함.

명확성 : 정보에는 여러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애매모호한 말들이 없어야 함.


34. 실내조명 : 일반사무실(500Lux), 정밀작업(300~750Lux), 초정밀작업(750Lux 이상)


35. 문서관리의 필요조건 - 정확성, 신속성, 융통성, 경제성, 간결성, 논리성


36. 사무관리 : 의사 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 처리, 전달, 보관하는 기능에 대해 계획, 조직, 통제 등의 관리 원칙을 적용하여 효율화하는 과정


37. EDI의 특징

데이터의 전달이 기계에 대한 형태로 전자식으로 전달

EDI는 사무 생산성 향상을 위한 서류없는 거래(paperless Trade)

EDI는 송장, 구매, 주문서, 전표, 웨이빌(WayBill)및 통관 등과 같은 일반적인 상거래의 데이터 교환과 전자자금이송(Electronic Founds Transfer)등과 같은 특정 목적으로 가진 전자상거래의 데이터 교환에 이용.

EDI는 컴퓨터간 정보교환.

조직 간/조직내의 문서교환을 가능케 함.

표준화된 양식을 통해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함.


38. 관리의 기능

계획(Plannig) :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장래에 대한 전망 또는 예측을 하고 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기본 지침과 방법을 설정하는 것.

조직(Organizing) : 계획을 실현하기 위한 필요조건과 관계를 구축해 나가는 것.

지휘(Directing) : 경영자나 관리자가 주어진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직원과 부하들을 지도하고 감독하는 것.

통제(Controlling) : 계획에 준한 기준을 설정하고 실제 활동에서 나타나는 결과와 비교하여 활동을 규제하고, 필요한 수정을 가하는 것

인사관리(Personal Administration) :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인원을 충원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하고 훈련하여 각 개인이 그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하는 것.

조정(Adjusting) : 조직의 각 구성원이 분담하는 업무가 조직의 목표 달성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조직 전체의 다양한 활동들이 항상 적절한 관계에 놓이도록 하는 것.


39. MIS (경영정보시스템 ) : 기업경영에서 의사결정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해, 경영내외의 관련 정보를 필요에 따라 즉각적으로, 대량으로 수집․전달․처리․저장․이용할 수 있도록 편성한 인간과 컴퓨터의 결합시스템


40. 프로그램의 종류

운영체제 : Windows 98, Windows XP, windows 2000, UNIX

응용소프트웨어 : 워드, 엑셀,액세스, 그래픽


[프로그래밍 일반]


41. 운영체제의 기능상 분류

제어프로그램 : 감시 프로그램, 데이터관리 프로그램, 작업관리 프로그램

처리 프로그램 : 언어번역 프로그램, 서비스 프로그램, 문제처리 프로그램


42. C언어의 관계연산자

관계 연산자 : <, <=, >, >=, ==, !=

!=는 같지 않다는 의미 따라서 A != B 로 쓰게 되면 "A와 B는 같지 않다는 의미로 사용됨.


43. 객체(oject)의 구성

속성 + 메소드 = 데이터+동작 = data + member function


44. 교착상태 필요충분조건

상호배제(Mutual exclusion) : 한 프로세서가 사용중이면 다른 프로세스는 반드시 기다려야 함

점유 및 대기(Hold and Wait) : 프로세스가 적어도 하나이상의 자원을 할당 받은채 다른 프로세스의 자원이 해체 되기를 기다리는 경우

비선점(Non-Preemption) : 프로세스가 점유한 자원은 사용이 끝날 때까지 해제 못하는 경우

환형대기(Circular Wait) : 프로세스의 환형 사슬이 존재해서 이를 구성하는 각 프로세스는 사슬내의 다음에 있는 프로세스가 요구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원을 갖고 있는 경우


45. 객체지향언어의 구성요소

클래스(Class) : 유사한 객체들의 집합.(학급)

객체(Object) : 속성 + 메소드(학급에 있는 학생 개인)

속성(Attribute) : 객체를 표현하거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자료.(성격, 특징)

메소드(Method) : 객체에서 속성값을 처리하는 동작부분(학생의 행동)

메시지(Message) :객체와 클래스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명령의 개념(의사소통)


46. 예약어(Keyword) : 직접 그 문장의 뜻을 전달해 주는 의미와 용법이 정해져 있는 단어.

정해진 의미로서 정해진 용도에만 써야 한다.

사용자가 변경하거나 절차를 잘못쓰면 안된다.

프로그램상에서 임의로 사용하는 이름에 예약어를 쓰면 안됨.


47. [바인딩 시간의 종류]

실행시간(Run Time) : 동적 바인딩 이라고 함. 프로그램이 실행 중 바인딩이 이뤄짐.

번역시간(Translation Time) : 정적바인딩 이라고 함. 실행 전 컴파일, 링크(Link), 로드(Load)시간에 이뤄짐.

언어 정의시간 : 한 언어의 대부분의 특징은 그 언어가 정의된 시점에서 확정됨.

언어 구현시간 : 언어에서 정수의 자릿수, 실수의 유효숫자개수 등이 바인딩 되는 시간.


48. 구조적 프로그래밍 기법 (structured programming,SP)

쉽게 이해할 수 있고 검증할 수 있는 프로그램 부호를 생성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특징

큰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분할하여 작성하는 하향식 프로그래밍, 한 모듈 안에서는 순차·선택·반복의 3가지 제어 구조만을 사용하고 되도록 GOTO문을 사용하지 않는 것, 프로그램의 가독성(readability)을 높이기 위해 들여쓰기, 주석 등과 문서화를 철저히 하는 것 등이다.


49. BNF 기호(Symbol)

::= 정의

| 선택(택일)

<> Non-Terminal 기호 : BNF로 다시 정의 될 대상

문자열, 예약어 : Terminal  기호 더 이상 정의가 불필요한 기호.


50. 연산자 표기법

전위(Prefix) : 연산자가 피연산자 앞에 표시

중위(Infix)

. 연산자가 피연산자 가운데 표시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

. 이항연산에 적합

후위(Postfix) : 연산자가 피연산자 뒤에 표시


51. C언어의 기본 데이터형

char : 1byte 의 문자 데이터

int : 2byte 의 부호가 있는 정수형 데이터

float : 4byte의 실수형 데이터

double :8byte의 실수형 데이터

void : 무형 데이터(값이 없음)


52. 프로그램의 종류

운영체제(시스템 소프트웨어) : 사용자와 컴퓨터간의 교량(Interface)역활을 하고, 환경을 제공한다.

응용 프로그램 : 특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개발한 프로그램


53. 관계 연산자 : <, <=, >, >=, ==, !=


54. [C언어의 제어문]

조건문장 : if, switch~case

반복문장 : for, while, do ~ while

분기문장 : goto, break, return, continue


55.[인터프리터 언어와 컴파일러 언어]

컴파일러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의 가장 큰 차이점은 목적프로그램의 생성 여부이다.

인터프리터 언어 : BASIC, LISP, Prolog

컴파일언어 : FORTRAN, COBOL, Pascal, C/C++, Ada,PL/1


56. 변수 : 기억장치의 한 장소를 추상화 한 것, 프로그램내에서 정의하고 이름을 줄 수 있는 자료 객체


57. 운영체제의 평가기준 : 처리능력, 응답시간, 사용가능도, 신뢰도


58. 배치(Placement)전략

Best-fit : 프로그램의 크기에 가장 알맞은 위치

first-fit : 프로그램의 크기에 맞는 최초의 분할 공간

Worst-fit : 프로그램의 크기와 가장 많이 차이가 나는 크기의 빈 분할 공간


59. 연산자 표기법

전위(Prefix) : 연산자가 피연산자 앞에 표시

중위(Infix)

. 연산자가 피연산자 가운데 표시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

. 이항연산에 적합

후위(Postfix) : 연산자가 피연산자 뒤에 표시

※ A+B*C-D를 후위식으로 바꾸면 괄호가 되어있지 않으면 일반적인 우선순위에 두어 후위식으로 변환하여야 한다.

A+B*C-D = A+BC*-D = ABC*+-D =ABC*+D-


60. 스케줄링 기법의 종류

비선점 스케줄링 : FIFO, SJF, HRN

선점 스케줄링 : RR, SRT, 다단계 피드백 큐


[정보통신개론]


61. 정보통신 시스템의 특징

대형 컴퓨터의 공동 이용

대용량 파일의 공동 이용

거리와 시간의 극복

분산 처리 방법의 활용


62. 디지털 정보의 변조방식

ASK(진폭편이변조) : 에러에 약하고, 비효율적인 방법

FSK(주파수편이변조) : ASK보다 에러에 강하다.

PSK(위상편이변조) : 중/고속 전송에 사용

QAM(진폭/위상편이변조) : 위상 편이 변조와 진폭 편이 변조의 복합 형태(고속)


63. 광케이블(Optical Cable)의 특징

잡음이나 누화가 없음

광대역 전송이 가능하여 다중화에 유리하고 선로의 수를 줄일 수 있음

전송 속도가 빠르고 전송 손실이 적음

온도 변화에 안정적이며 신뢰성이 높고 에러 발생률이 적음

항공기나 군사시설, 컴퓨터의 배선, 근거리 통신망 등에 이용


64. 프로토콜 : 두 통신 시스템 상의 실체 간에 정확하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위한 모든 규약들의 집합


65. 비트위주 전송 프로토콜(HDLC)의 구조]

데이터는 프레임이라고 불리는 단위로 이뤄짐.

①F

②A

③C

④1(데이터)

⑤FCS

⑥F

①,⑥F(플래그 시퀀스) : 시작과 종료를 표시

②A(어드레스 필드) :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부스테이션을 식별 하는데 사용

③C(제어필드) : 2차 스테이션 또는 복합스테이션에 대한 동작을 명령으로 지시하고 2차 스테이션 또는 복합 스테이션의 지시에 대한 응답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

④1(데이터) : 사용자사이에 교환되는 정보메시지와 제어정보가 들어있는 부분

⑤FCS(프레임검사순서) : 주소부, 제어부, 정보부의 내용이 오류가 없이 상대측이 정확히 전송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오류 검출용의 다항식을 이용


66. ETHERNET

CSMA/CD 버스통신망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음.초기에 유일한 LAN의 표준.

단순하고, 신뢰성 있으며, 가격이 싼 네트워크

규모가 크고 부하가 많은 경우는 충돌의 빈도가 늘어남. 따라서 성능이 저하됨.


67. 정보통신시스템의 구성요소

데이터 전송계 : 정보의 이동을 담당

단말장치 : 정보의 입력 및 수신(DTE)

신호변환 장치 : 변복조기(MODEM) 또는 DSU

통신회선 : 변환된 신호의 이동 통로(또는 통신망)

통신 제어 장치 : CCU

데이터 처리계 : 정보의 가공, 처리, 보관 등의 기능 수행

중앙처리 장치 : CPU

주변장치 : 보조 기억 장치, 프린터 등


68. 전진오류수정방식(FEC) : 역채널이 불필요.

오류 발생시 재전송이 불필요한 방식.

데이터 송신시 전송할 문자 또는 프레임에 부가정보를 함께 전송.

수신측에서 오류발생시 이 부가정보를 이용해 오류의 검출 및 정확한 정보의 유추가 가능한 방식.

※ CRC방식은 후진오류수정방식 이다.


69. 오류수정방식

전진오류수정(FEC)방식 : 길쌈부호(Convolution)부호방식

후진오류수정방식(BackWard Error Correction)

오류발생시 재전송을 요구하는 방식.

정방향과 역방향 채널이 필요하다.

데이터 전송시 오류를 검출할 수 있는 부가 정보를 함께전송하면 수신측에서 이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여 오류가 발생하면 송신측에게 다시 데이터를 보내줄 것을 요구하는 방식.

종류 : 패리티검사(Parity Check), 블록합 검사(Block Sum Chark),순환잉여검사(CRC : Cycle Redundancy Check)


70. 펄스변조방식

아날로그 신호를 펄스로 분할하여 불연속적인 파형으로 만들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

PAM(펄스진폭변조), PWM(펄스폭변조),PPM(펄스위상변조),PCM(펄스부호변조)


71. 메시지 저장에 따른 교환방식의 종류

메시지를 저장하는 방식 : 메시지 교환방식, 패킷교환방식(가상회선패킷교환방식, 데이터그램방식)

메시지를 저장하지 않는 방식 : 회선교환방식

※ 직접교환방식이라는 말이 없다.


72. 프로토콜의 계층화의 필요성

특정 기능들을 각 계층별로 분리하여 독립적인 설계 및 동작이 되도록 하기 위해 계층화를 시킴. (예 : OSI 7계층)

장점 : 상위계층을 하위계층의 세부적인 사항으로부터 독립시킴으로써 기능 모듈화(Module)가 가능

각각의 계층을 독립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음.

단점 : 하나의 데이터가 수신지에 도착하기 위해 각 계층간 많은 수의 상호작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과다한 처리의 오버헤드와 지연시간이 증가한다.


73. 통신제어장치(CCU) : 주컴퓨터와 단말간 또는 다른 주컴퓨터간에 통신 제어기능을 수행, 전송회선과 컴퓨터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


74. 광대역(B-ISDN)통신망 : 협대역(N-ISDN)서비스와 광대역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축한 디지털망.

특징

다양한 속도와 넓은 사용시간 분포를 가지고 있다.

망의 운용, 보수, 제어 등과 같은 제어 능력 우수하다.

각종 서비스들을 동일한 크기의 Cell로 잘라 전달하는 ATM기법을 사용한다.


75. 광손실 : 광신호가 광섬유를 진행하면서 신호의 강도가 약해지는것.

[종류] 흡수손실, 산란손실, 구조 불안전에 의한손실, 마이크로벤딩손실, 구부러짐 손실, 접속손실


76. 패킷교환방식

종류 : 가상회선패킷교환방식, 데이터그램패킷교환방식

가상회선 패킷교환 : 송신측의 전송요구를 받은 교환기는 수신측까지 가상채널을 설정하고, 메시지를 인수받아 가상채널의 경로에 따라 메시지를 패킷으로 분해한 후 전송.

데이터그램패킷교환 : 메시지를 모두 패킷으로 분해하여 각 패킷마다 일련번호를 가진다.


77. 정보통신시스템을 구성시 이중화된 장치나 이중화된 선로를 적용하는 이유 : 정보통신망의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것임.


78. PSK(Phase Shift Keying) :반송신호의 위상을 변화시켜서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

동기방식을 사용.

위상을 2,4,8등분하는 것에 따라 2위상, 4위상, 8위상 변조방식으로 구분, 위상을 달리함으로써 복잡도가 높은 데이터 전송률이 높아짐.


79. TCP/IP와 OSI참조모델의 대응

응용계층

 

응용층

(SMTP, TELNET, FTP, DNS 등)

표현계층

 

세션계층

 

트랜스포트계층

 

트랜스포트층(TCP,UDP)

네트워크계층

 

인터넷층(IP,ARP,RARP,ICMP)

데이터링크계층

 

네트워크인터페이스층

물리계층

<OSI참조모델>

 

<TCP/IP>


80. 샤논(Shannon)의 정리 : 채널 상에 백색잡음(white noise)이 존재한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채널 용량을 구하는 식

. C : 채널용량(bps)

. B : 전송 채널의 대역폭

. B/N : 신호대 잡음비(신호/잡음)

[통신용량을 높이기 위한 방법]

신호의 세기를 높인다.

대역폭을 넓힌다.

잡음의 세기를 줄인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