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 1.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독점기업 A가 양(+)의 독점이윤을 실현하고 있을 때 옳지 않은 설명은? (단, 한계비용>0)

①A가 선택한 공급량에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1보다 크다.

가격은 한계수입보다 높다.

가격은 평균비용보다 높다.

한계수입은 한계비용보다 크다.



문 2.통화 공급을 확대시키는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법정지급준비율 인하

재할인율 인하

③공개시장에서 중앙은행의 국채 매입

④은행 여신 한도 축소


문 3.조세 부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수요곡선은 우하향, 공급곡선은 우상향)

공급자에게 조세 납부의 책임이 있는 경우 소비자에게는 조세 부담이 전혀 없다.

②조세 부과로 인해 시장 가격은 상승한다.

③조세 부과로 인해 사회적 후생이 감소한다.

④가격탄력성에 따라 조세 부담의 정도가 달라진다.


문 4.㉠~㉢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기에 기업의 평균총비용곡선은 생산량 증가에 따라 평균총비용이 처음에는 하락하다가 나중에 상승하는 U자의 형태를 갖는다. 평균총비용이 처음에 하락하는 이유는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 ㉠ )이 하락하기 때문이다. 평균총비용이 나중에 상승하는 이유는 ( ㉡ )의 법칙에 따라 ( ㉢ )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①평균고정비용한계생산 체감평균가변비용

②평균고정비용규모수익 체감평균가변비용

③평균가변비용한계생산 체감평균고정비용

④평균가변비용규모수익 체감평균고정비용


문 5.독점적 경쟁시장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개별 기업의 수요곡선은 우하향한다.

②기업은 장기 이윤극대 생산량에서 규모의 경제가 발생한다.

③기업의 균형 생산량에서 시장 가격과 한계비용이 일치한다.

④기업의 진입이 자유로운 시장이다.


문 6.솔로우(R. Solow) 경제성장모형의 가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생산요소의 한계생산이 체감한다.

②저축률은 일정하다.

효용의 극대화를 추구한다.

④총생산함수는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이다.


문 7.IS-LM 모형에서 유동성함정에 빠져 있을 때 통화량 공급 증가와 재정지출 확대에 따른 각각의 정책 효과를 옳게 설명한 것은?

통화량 공급 증가는 이자율을 낮추고, 재정지출 확대는 소득을 증가시킨다.

통화량 공급 증가와 재정지출 확대는 모두 소득을 증가시킨다.

통화량 공급 증가와 재정지출 확대는 모두 이자율 변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통화량 공급 증가는 소득을 증가시키고, 재정지출 확대는 이자율 변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문 8. 항상소득이론에 근거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직장에서 승진하여 소득이 증가하였으나 이로 인한 소비는 증가하지 않는다.

ㄴ.경기 호황기에는 일시소득이 증가하여 저축률이 상승한다.

ㄷ.항상소득에 대한 한계소비성향이 일시소득에 대한 한계소비성향보다 더 크다.

①ㄱ

②ㄴ

③ㄱ,

ㄴ, ㄷ


문 9.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수출과 수입 수요의 가격탄력성 합의 절대치가 1보다 크다)

자유변동환율제를 실시하는 소규모 개방경제 M국에서 대규모의 자본도피가 발생하면 자국 화폐 가치가 ( ㉠ )하여 순수출(net export)이 ( ㉡ )한다.

하락감소

하락증가

③상승감소

상승증가


문 10.기업의 투자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신고전파(neoclassical)의 투자이론에 의하면 자본의 한계생산성이 자본비용을 초과하는 경우 기업은 자본을 감소시킨다.

②토빈 q의 값은 기업의 실물자본의 대체비용(replacement cost)을 주식시장에서 평가된 기업의 시장가치로 나누어서 계산한다.

토빈 q이론은 이자율의 변화가 주요 투자요인이라고 설명한다.

④토빈은 q가 1보다 크면 기업이 투자를 확대한다고 주장한다.


문 11.우리나라 총 인구가 4,500만 명이고 15세 이상의 인구는 2,500만 명, 비경제활동인구는 1,000만 명, 실업자는 45만 명이라고 할 때, 우리나라의 실업률은?

2%

3%

4.5%

④10%


문 12.공공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공공재에 대한 시장 수요함수는 개별 수요함수를 수직으로 합하여 얻어진다.

②비배제성(non-excludability)은 충족되지 않으나 비경합성(non-rivalry)은 충족된다.

특정 소비자를 공공재의 소비로부터 배제할 수 없다.

A, B 두 사람 존재하는 경우 두 사람의 한계편익의 합이 한계비용과 일치하는 수준에서 최적 산출량이 결정된다.


문 13.상품 A의 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직선일 때 옳게 설명한 것은?

①수요곡선 상 모든 점에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일정하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일 때 기업의 총수입은 극대화된다.

가격탄력성의 크기와 상관없이 가격이 하락할수록 기업의 총수입은 증가된다.

가격이 하락할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증가한다.


문 14.피셔효과(Fisher effec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인플레이션율이 변화하면 명목이자율도 같은 폭으로 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실질이자율이 변화하지 않을 때 성립한다.

상대적으로 단기보다는, 예상 인플레이션율이 실제 인플레이션과 같이 움직이는 장기에 성립한다고 볼 수 있다.

통화당국은 피셔효과에 근거하여 실질이자율을 결정함으로써 통화정책을 수행한다.


문 15.환율 결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구매력평가설에 따르면 명목환율은 두 교역 상대국의 물가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구매력평가설은 일물일가의 법칙(law of one price)에 입각한 것이다.

구매력평가설에 따르면 실질환율은 두 나라의 물가수준을 반영하여 변화한다.

A국의 통화량이 증가하면 자국의 물가가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A국의 화폐 가치는 상대국의 화폐 가치에 비해 하락한다.


문 16.폐쇄경제인 A국의 다음 IS-LM 모형에서 화폐공급 M=600일 경우, 균형 소득과 균형 이자율의 조합은?

C=200+0.8Y

I=1,600-100r

L=0.5Y-250r+100

G=T=0

단, Y는 국민소득, C는 소비지출, I는 투자지출, r은 이자율(단위는 %), L은 화폐수요, G는 정부지출, T는 조세

(4,000, 6)

(4,000, 8)

③(5,000, 8)

④(5,000, 6)


문 17.효용극대화를 추구하는 소비자 甲은 X재와 Y재만 소비한다. 甲이 X재와 Y재의 소비로부터 얻는 한계효용은 소비량에 관계없이 각각 50과 30으로 일정하다. X재의 가격은 4, Y재의 가격은 2, 소득은 10일 때, 甲의 최적 소비조합 (X, Y)는?

(0, 5)

(1, 3)

(2, 1)

(2.5, 0)


문 18.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이 1년 후 1,040만원을 상환하는 채권을 발행한다면, 현재 할인율의 기준이 되는 무위험수익률이 4%라고 할 때, 이 회사채의 가격은? (단, 중도 이자 지급은 없다)

1,000만원 미만

1,000만원

1,000만원 초과 1,040만원 이하

1,040만원 초과 1,080만원 이하


문 19.최저임금이 완전히 적용되는 시간제 근로시장에서 노동수요곡선은 , 노동공급곡선은 , 최저임금은 5,500원이다. 시간제 근로자와 사용자가 입게 되는 자중손실 (deadweight loss)의 합은? (단, 는 시간 당 임금, 은 노동시간)

500원

1,000원

2,000원

2,500원


문 20.다음 표는 A국과 B국이 스웨터와 자동차 1단위를 각각 생산하는데 투입하는 노동량이다. 이 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국

B국

스웨터

20

5

자동차

100

50

A국은 B국에 비해 모든 생산에 비교우위가 있다.

A국은 자동차 생산에, B국은 스웨터 생산에 비교우위가 있다.

B국은 A국에 비해 모든 생산에 절대우위가 있다.

A국은 B국에 비해 모든 생산에서 절대적으로 생산성이 낮다.

728x90
728x90

문 1.다음 ㉠, ㉡, ㉢에 들어갈 용어로 적합한 것은?

양의 외부성(positive externality)으로 인한 ( ㉠ )생산 문제는 ( ㉡ )을 통해 ( ㉢ )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①과소세금외부화

②과잉세금내부화

③과잉보조금외부화

④과소보조금내부화



문 2.갑과 을은 보안등 설치에 드는 비용을 분담하는 전략을 세운다. 보안등 설치를 위한 비용 분담 전략과 설치된 보안등을 이용할 때의 만족감은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의 왼쪽 숫자는 갑의 만족감, 오른쪽 숫자는 을의 만족감을 나타낸다. 이 경우 [갑의 비용 분담 전략, 을의 비용 분담 전략]으로 표현되는 내쉬(Nash) 균형은?

1/2 비용 분담

1/3 비용 분담

1/2 비용 분담

(50, 50)

(20, 60)

1/3 비용 분담

(60, 20)

(30, 30)

①[1/2 비용 분담, 1/2 비용 분담]

②[1/2 비용 분담, 1/3 비용 분담]

③[1/3 비용 분담, 1/2 비용 분담]

④[1/3 비용 분담, 1/3 비용 분담]


문 3.실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임금의 경직성과 일자리 제한으로 인해 발생한 실업을 마찰적 실업(frictional unemployment)이라 한다.

②실업보험은 마찰적 실업에 영향을 미친다.

이미 취업하고 있는 노동자인 내부노동자(insider)가 높은 임금을 요구할 경우 외부노동자(outsider)의 실업 상태가 지속될 수 있다.

효율적 임금(efficiency wage) 이론에 의하면 임금이 높을수록 노동자의 생산성이 높아진다.


문 4.단기 총공급이 감소할 경우의 상황과 정책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 발생한다.

정부가 재정지출확대정책을 실시하여 대응할 경우 물가가 더욱 상승할 수 있다.

정부가 금리를 인하하여 대응하면 산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④정부의 총수요확대정책은 장기 총공급의 감소를 유발한다.


문 5.다른 조건이 같은 경우, 상대적으로 가난한 상태에서 출발하는 나라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기 쉽다는 따라잡기 효과(catch-up effect)의 배경이 되는 이론은?

①자본의 한계수확체감의 법칙

②인적자본투자의 플러스 외부효과

③내생적 경제성장 이론

④인구증가의 1인당 자본량 감소효과


문 6.다음 보호무역 정책수단들 중 성격이 다른 것은?

①수입수량 제한

②수입담보금

③수출물량 제한

④상계관세


문 7.완전경쟁시장인 철강산업에서 제품을 생산하면 오염물질이 배출된다. 그 산업에서 기업들의 사적 한계비용(PMC)의 총합은 PMC=Q+30이고, 시장의 수요곡선은 P=60-Q이며, 오염을 감안한 사회적 한계비용(SMC)의 총합은 SMC=2Q+30이다. 이 때 사회적으로 적정한 생산량은? (단, Q는 생산량, P는 가격을 나타낸다)

①0

②5

③10

④15


문 8.사과에 대한 시장수요곡선은 우하향하는 직선이고, 시장공급곡선은 우상향하는 직선이다. 사과시장에서 세금부과 전의 균형수량은 200개이고, 사과 1개당 5원의 물품세를 부과할 경우 소비자는 2원을, 생산자는 3원의 세금을 각각 부담하게 된다. 정부가 세금을 부과하여 750원의 조세수입을 확보할 경우, 세금부과에 의한 자중손실(deadweight loss)은?

①50

②75

③125

④250


문 9.A국가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20,000달러, 통화량은 8,000달러이고, 수량방정식(quantity equation)이 성립한다고 가정한다. A국가의 물가 수준이 20% 상승하고, 통화량은 10% 증가하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0% 증가했을 경우의 화폐유통속도(velocity of money)는?

①2.5

②2.75

③3

④3.5


문 10.X재화의 시장수요곡선은 Q=60-P이다. 이 시장이 꾸르노(Cournot) 복점시장인 경우의 시장균형생산량과 독점시장인 경우의 시장균형생산량의 차이는? (단, Q는 생산량, P는 가격을 나타내고, 각 시장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한계비용은 0이다)

①10

②20

③30

④40


문 11.다른 조건이 일정할 경우, 맥주시장에서 맥주의 가격이 20% 증가했을 때 맥주의 시장수요량이 4% 감소하였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시장수요가 탄력적이기 때문에 맥주 총 판매수입이 증가함

②시장수요가 탄력적이기 때문에 맥주 총 판매수입이 감소함

③맥주 총 판매수입은 변화가 없음

시장수요가 비탄력적이기 때문에 맥주 총 판매수입은 증가함


문 12.A국가의 올해 민간 소비지출이 400조원, 정부지출이 100조원, 투자가 200조원, 수출이 250조원, 수입이 200조원, 대외순수취 요소소득이 10조원이라고 할 때, A국가의 국내총생산(GDP)은?

①600조원

②750조원

③760조원

④950조원


문 13.경기선행지표(leading indicators)가 아닌 것은?

①기계수주액

②자본재수입액

③생산자제품재고지수

④소비자기대지수


문 14.명목이자율이 , 실질이자율이 , 예상인플레이션율이 이고, 피셔방정식(Fisher equation)이 성립한다고 가정할 때, 옳지 않은 것은?

①예상인플레이션율은 이다.

②화폐보유의 실질수익률은 0이다.

③채권보유의 실질수익률은 이다.

④채권보유의 실질수익률은 화폐보유의 실질수익률보다 만큼 높다.


문 15.통화 공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지급준비금은 예금의 일부분이다.

본원통화에는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지급준비금은 포함되지만 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은 포함되지 않는다.

③중앙은행이 채권을 매입할 경우 통화 공급은 감소한다.

④재할인율을 인상하면 통화 공급이 증가한다.


문 16.다음 ㉠, ㉡, ㉢에 들어갈 용어로 적합한 것은?

구매력평가이론(purchasing power parity theory)은 모든 나라의 통화 한 단위의 구매력이 같도록 환율이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구매력평가이론에 따르면 양국통화의 ( ㉠ ) 양국의 ( ㉡ )에 의해 결정되며, 구매력평가이론이 성립하면 ( ㉢ )은 불변이다.

①실질환율경상수지명목환율

②명목환율경상수지실질환율

③실질환율물가수준명목환율

④명목환율물가수준실질환율


문 17.X재화의 시장수요곡선은 Q=300-2P+4I이고, 시장공급곡선은 Q=3P-50이다. I가 25에서 20으로 감소할 때, X재화의 시장균형가격의 변화는? (단, Q는 수량, P는 가격, 그리고 I는 시장에 참가하는 소비자들의 소득수준을 나타낸다)

①2만큼 하락

②4만큼 하락

③6만큼 하락

④8만큼 하락


문 18.소규모 경제인 Z국가의 X재화 시장에는 A와 B 소비자만 존재하고, A와 B의 개별수요곡선은 P=5,000-2Q로 동일하다. Z국가의 X재화 시장의 개방으로 X재화는 국제시장균형가격인 1.5달러에 수입되며, 환율은 달러당 1,200원이다. X재화에 대한 시장 개방 후 Z국가의 X재화 시장에서 판매되는 X재화의 양은? (단, Q는 수량, P는 가격을 나타낸다)

①1,400

②1,800

③3,200

④3,600


문 19.다음 식들로 구성된 경제에서,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을 고려한 균형국민소득은?

C=100+0.5(Y-T)

I=70-50r

G=T=60

Ms=700

P=2

Md

P

=Y-150r

(단, Y는 국민소득, C는 소비, I는 투자, G는 정부지출, T는 조세, Ms는 명목화폐공급, Md는 명목화폐수요, P는 물가수준, r은 자율을 나타내고, 총공급부문과 해외부문은 고려하지 않는다)

①120

②380

③460

④500


문 20.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1년 후 100엔당 원화의 환율 수준은?

일식우동집을 운영하는 갑은 은행에서 운영 자금 100만원을 1년간 빌리기로 했다. 원화로 대출받으면 1년 동안의 대출 금리가 21%인 반면, 동일한 금액을 엔화로 대출받으면 대출 금리는 10%이지만 대출금은 반드시 엔화로 상환해야 한다. 한편, 일식우동집을 1년 동안 운영할 경우에 기대되는 수익은 150만원이며, 현재 원화와 엔화 사이의 환율은 100엔당 1,000원이다. 단, 갑은 두 대출 조건이 동일하다고 생각한다.

①1,000원/100엔②1,100원/100엔

③1,200원/100엔④1,250원/100엔

728x90
728x90

문 1.휘발유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1이고 휘발유 수요의 연탄가격에 대한 교차탄력성은 2라고 할 때, 휘발유 수요량을 10% 줄이려면 정책당국은 연탄가격을 얼마나 인하하여야 하는가?

① 1%

② 2%

③ 5%

④ 10%



문 2.완전경쟁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는 기업 A의 한계비용 함수는 다음과 같다. 기업 A의 이윤극대화 생산량이 100이라면 생산품의 가격은 얼마인가? (단, MC는 한계비용, Q는 생산량을 나타낸다)

MC=8Q + 300

①1,000

②1,100

③1,200

④1,300


문 3.다음 자료를 활용하여 2005년을 기준으로 한 2010년의 물가지수를 라스파이레스지수(Laspeyres index)방식으로 계산하면 얼마인가?

2005년

2010년

생산량

(만톤)

가격

(만원/톤)

생산량

(만톤)

가격

(만원/톤)

500

100

600

80

면화

40

250

50

500

①90

②100

③110

④120


문 4.‘역선택’과 ‘도덕적 해이’는 정보경제학에서 다루는 주요 문제들이다. 건강보험에 대한 다음의 두 가지 주장과 관련된 문제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ㄱ.자기부담률이 낮은 건강보험은 과잉진료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ㄴ.건강한 사람보다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이 건강보험에 가입할 유인이 크다.

①역선택 역선택

②역선택 도덕적 해이

③도덕적 해이 역선택

④도덕적 해이 도덕적 해이


문 5.다음 글의 의미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조세 부과로 인해 발생하는 조세의 비효율성인 자중손실(deadweight loss)의 크기는 수요 및 공급의 가격 탄력성에 의존한다.

수요자 및 공급자가 가격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수록 시장 왜곡이 더 커진다.

수요자 및 공급자가 가격의 변화에 적절히 반응하지 않을수록 시장 왜곡이 더 커진다.

③수요곡선 및 공급곡선의 이동이 클수록 시장 균형이 더 크게 영향을 받는다.

④수요곡선 및 공급곡선의 이동이 적절히 발생하지 않을수록 시장 균형이 더 크게 영향을 받는다.


문 6.A국과 B국의 생산조건이 <보기>와 같을 때 다음 중 옳은 것은?

<보 기>

○A국에서는 감자 1자루를 생산하는 데 노동 5단위가 필요하고, 스마트폰을 1대 생산하기 위해서는 노동 10단위가 필요하다.

○B국에서는 감자 1자루를 생산하는 데 노동 10단위가 필요하고, 스마트폰을 1대 생산하기 위해서는 노동 15단위가 필요하다.

①A국은 두 재화생산에 있어 모두 절대우위를 갖는다.

②B국은 두 재화생산에 있어 모두 절대우위를 갖는다.

③B국은 감자 생산에 비교우위를 갖고 스마트폰 생산에 비교열위를 갖는다.

④주어진 정보만으로는 비교우위를 판단할 수 없다.


문 7.다음은 갑 회사 투자안의 예상수익에 대한 정보이다. 만약 이자율(할인율)이 11%라면 금년(2011년)도 갑 회사의 선택은?

(단, , , 이다)

(단위: 억원)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투자안 A

-50

1,000

500

200

투자안 B

-100

500

500

500

투자안 C

-200

200

500

1,100

①A 선택

②B 선택

③C 선택

④A와 C가 무차별함


문 8.소비(C)함수, 투자지출(I), 정부지출(G), 조세징수액(T)이 다음과 같다. 여기서 I가 120으로 증가하고 동시에 G가 40으로 감소할 때 균형국민소득의 변화는? (단, I, G, T는 Y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화폐부문, 총공급부문 및 해외부문은 고려하지 않는다)

C=700+0.8(Y-T)

I=100, G=50, T=50

①10만큼 증가

②10만큼 감소

③50만큼 증가

④50만큼 감소


문 9.커피전문 다국적 기업에서 공급하는 A커피가 동일한 품질과 양으로 우리나라에서는 3,000원에 미국에서는 1.5달러에 판매되고 있을 경우 구매력평가설(purchasing-power parity)에 기초한 1달러당 원화의 환율은?

①500원

②1,000원

③1,500원

④2,000원


문 10.갑 회사가 중간재를 300만원에 구입하여, 최종재를 만들면서 임금으로 300만원을 지불하고 최종재를 만든 후 소비자에게 700만원에 팔았다. 갑 회사가 창출한 부가가치는 얼마인가?

①100만원

②300만원

③400만원

④700만원


문 11.다음 표를 기초로 산출한 2000년의 인플레이션율은? (단, 소수점이하는 반올림한다)

연도

소비자물가지수(CPI)

1999년

90

2000년

100

2001년

110

①10%

②11%

③100%

④110%


문 12.영희는 10년 후에 만기가 되는 A기업 발행 채권을 구입하였다.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영희는 만기 이전에 이 채권을 팔 수 있다.

②영희는 A사에게 채권자다.

영희가 구입한 채권은 채무불이행위험(default risk)이 존재한다.

④A사는 영희에게 배당금(dividend)을 지급한다.


문 13.국가 간의 교역이 경제적 이득을 가져다주는 이유로서 가장 적절한 설명은?

①국제교역은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의 합을 증가시킨다.

국제교역은 수출국의 수출상품의 국내가격을 하락시키는 경향이 있다.

③특정 재화의 수출․수입에 관계없이 국내 생산자의 이득은 국내 소비자의 손실을 상회한다.

특정 재화의 수출․수입에 관계없이 그 재화의 국내 생산자와 국내 소비자는 경제적 이득이 모두 증가한다.


문 14.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정부의 재정지출 증가

②가계의 소비지출 감소

③기업의 투자지출 감소

④중앙은행의 통화량 감소


문 15.최근 자녀 수 감소가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기술진보가 없는 솔로우(Solow) 모형에서 노동인구 증가율이 감소하는 경우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으로만 묶은 것은?

ㄱ.자본의 황금률수준(golden rule level)이 변화한다.

ㄴ.새로운 균제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1인당 자본량이 감소한다.

ㄷ.새로운 균제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1인당 생산과 1인당 소비는 감소한다.

ㄹ.새로운 균제상태에서의 전체 생산 증가율은 노동인구 증가율 감소전의 전체 생산 증가율보다 낮다.

①ㄱ, ㄴ

②ㄱ, ㄹ

③ㄴ, ㄷ

④ㄷ, ㄹ


문 16.투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경기변동에 따른 투자의 변동성이 소비의 변동성보다 크다.

경기가 활성화되어 기업의 목표생산량이 높아지면 투자가 증가한다.

③이자율이 상승하면 투자로 인한 미래기대수익의 현재가치가 감소한다.

기업이 보유한 자본의 대체비용보다 기업발행 주식의 시가총액이 더 크다면 실물투자는 감소한다.


문 17.실물경기변동(Real Business Cycle)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고른 것은?

ㄱ.불확실성이 수반된 불균형 경기변동이론이다.

ㄴ.경기변동은 주로 생산함수에 주어지는 충격에 기인한다.

ㄷ.물가수준의 변화에 대한 예상착오가 경기변동의 주요요인이다.

ㄹ.경기변동을 경제 전체의 충격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동태적 최적화행동의 결과로 본다.

①ㄱ, ㄴ

②ㄱ, ㄷ

③ㄴ, ㄹ

④ㄷ, ㄹ


문 18.많은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자원의 경우 적정한 수준 이상으로 그 자원이 이용되어 결과적으로 모두가 피해를 보는 비효율성이 발생하기 쉬운데 공해상에서의 어류 남획 문제가 그러한 예이다. 흔히 ‘공유자원의 비극(Tragedy of the Commons)’으로 불리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①공유자원은 배제성과 경합성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

불확실성과 정보의 부족에 따라 발생하는 시장 실패 때문이다.

개별 경제주체의 의사결정이 현실에서 합리성 가정을 위배하기 때문이다.

④개인의 의사결정시 그 결과로 발생하는 외부효과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문 19.화폐유통속도가 바뀌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통화량이 3배가 되고 실질거래량이 50% 증가했다면, 물가상승률은?

①50%

②100%

③150%

④200%


문 20.금연석이 별도로 없는 식당에서 흡연자와 비흡연자가 함께 앉아서 식사를 한다고 가정한다. 흡연자는 ‘흡연을 하는 것’과 ‘흡연을 하지 않는 대신 6천원을 받는 것’이 무차별하다. 비흡연자는 담배연기 없는 상황에서 식사하는 데 1만원을 기꺼이 지불할 용의가 있다. 코우즈 정리(Coase theorem)를 적용할 때 예상되는 결과는? (단, 협상비용은 0이다)

①흡연자는 자신의 권리이기 때문에 흡연한다.

②흡연자는 남을 배려하는 성격으로 흡연을 하지 않는다.

③흡연자는 흡연을 하지 않는 대신 비흡연자로부터 6천원 이상 1만원 이하를 받는다.

비흡연자는 6천원 이상 1만원 이하를 흡연자가 흡연하지 않도록 지불하려고 하지만 흡연자는 이를 거절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