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 1.수형목 선발 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수관이 좁고 가지가 가는 것

②종자가 적게 달린 것

③지하고가 낮은 것

④지위가 높은 지역에 있는 것

 

문 2.종자휴면의 원인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종피의 불투수성

②생장억제물질의 존재

③미숙배

④탄수화물의 집적

 

문 3.종자의 노천매장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종자를 모래와 섞는다.

②빗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뚜껑을 덮는다.

③땅속 50~100cm내외 깊이가 적당하다.

④발아촉진을 겸한 종자 저장법이다.

 

문 4.다음 수종 중 결실주기가 가장 짧은 것은?

①소나무

②가문비나무

③녹나무

④너도밤나무

 

문 5.가지치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가지치기의 목적 중의 하나는 무절재를 생산하는 것이다.

②가지치기의 시기는 수액유동 시작의 직전이 좋다.

③생가지치기로 위험성이 높은 수종은 낙엽송, 삼나무, 편백 등이다.

④나무의 성장이 줄어들 수 있는 단점도 있다.

 

문 6.꽃이 핀 당년에는 열매가 거의 자라지 않고, 이듬해 가을에 열매가 성숙하는 수종은?

Quercus mongolica F.

Quercus serrata T.

Quercus aliena B.

Quercus acutissima C.

 

문 7. 소나무속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소나무속은 잣나무류와 소나무류로 분류한다.

②소나무류의 구과는 실편의 끝이 얇고 가시가 없으며, 아린은 곧 떨어진다.

③소나무류 중 잎이 2개씩 나는 수종에는 소나무, 곰솔, 방크스소나무, 반송 등이 있다.

잣나무류에는 백송, 잣나무, 눈잣나무, 섬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등이 있다.

 

문 8.덩굴식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울폐된 조림지나 천연림에서는 덩굴식물은 번성하지 않는다.

②칡은 줄기에서 뿌리를 내려 번식하며, 종자로는 잘 번식하지 않는다.

③청미래덩굴은 산기슭 양지에 자라는 낙엽성 식물이다.

④덩굴치기의 시기는 뿌리 속의 저장 양분을 소모한 7월경이 좋다.

 

문 9.뿌리의 무기양분 흡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주로 세근이 담당한다.

②무기양분은 물에 용해되어 물과 함께 흡수된다.

③필요한 양분을 선택적으로 흡수한다.

④수목 자체의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는다.

 

문 10.수목의 잎에서 만들어진 탄수화물이 뿌리까지 이동하는 통로는 줄기의 어느 부위에 있는가?

①심재

②변재

③형성층

④내수피

 

문 11.산림작업종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묘포장에서 묘목을 생산하기 위한 작업이다.

②인공조림의 목적으로 나무를 식재하는 작업이다.

③임목에 주어지는 보육, 벌채, 갱신과 관련된 작업이다.

④영림계획 작성을 위하여 산림을 조사하는 작업이다.

 

문 12.조림 수종을 선정하는 조건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야 한다.

②성장속도가 빠르고 재적성장량이 많아야 한다.

③이용가치가 높고 수요가 많아야 한다.

④가지가 굵고 길며, 종자결실이 잘 되어야 한다.

 

문 13.토양 공극내 표면장력에 의해 유지되는 수분으로 식물에 의해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은?

①흡습수

②모세관수

③중력수

④결합수

 

문 14.조림용 묘포의 입지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가 좋다.

②조림지의 기후와 비슷한 환경을 가진 곳이 좋다.

③5° 이하의 완경사지가 바람직하다.

④묘포는 남북으로 길게 설치하는 것이 좋다.

 

문 15.다음 수종 중 내화성이 가장 약한 것은?

①삼나무

②사철나무

③은행나무

④굴참나무

 

문 16.다음 수종 중 종자의 성숙 시기가 다른 계절인 것은?

①황철나무

②왕버들

③동백나무

④사시나무

 

문 17.다음 중 해풍에 강한 수종은?

Pinus densiflora S. et Z.

Pinus thunbergii P.

Pinus koraiensis S. et Z.

Pinus bungeana Z.

 

문 18.기상재해로 인한 산림이나 수목의 피해 현상을 바르게 기술하고 있는 것은?

①나무의 줄기가 세로로 갈라져 터지는 상렬 현상이나 볕데기현상은 줄기의 북쪽 면에 흔히 나타난다.

②늦서리의 피해는 주로 늦은 가을에 수목이 휴면상태에 들어가기 전에 추위가 오면 발생한다.

서리 피해는 맑고 바람이 없으며 기온이 낮은 새벽녘 분지에서 잘 발생한다.

설해에 약한 수종의 경우, 설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임분의 구조를 동령단순림으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 19.주요 수병의 특성에 대하여 바르게 기술하고 있는 것은?

①리지나뿌리썩음병은 산불 피해지에 많이 발생한다.

②잣나무털녹병의 중간기주는 낙엽송이다.

③오동나무빗자루병의 병원균은 담자균의 일종이다.

④소나무의 잎떨림병은 세균에 의한 병이다.

 

문 20.침엽수림 아래에서 잘 발달된 산림토양을 수직으로 파 보았을 때, 토양단면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의 순서가 바르게 배열된 것은?

①낙엽층 → 발효층 → 부식층 → 용탈층 → 집적층

②낙엽층 → 부식층 → 발효층 → 용탈층 → 집적층

③낙엽층 → 발효층 → 부식층 → 집적층 → 용탈층

④낙엽층 → 부식층 → 발효층 → 집적층 → 용탈층

728x90
728x90

문 1.길이의 단위인 나노미터(nm)와 옹스트롱 (Å)과의 관계로 옳은 것은?

①1nm=0.01Å

②1nm=0.1Å

③1nm=10Å

④1nm=100Å

 

문 2.베르누이(Bernoulli)식(p/ρ + 1/2ν2 + gz = 상수)을 적용하기 위한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p는 압력, ρ는 밀도, v는 유속, g는 중력가속도, z는 높이이다)

①비정상상태(unsteady state) 유동

②비압축성(incompressible) 유동

③무마찰(frictionless) 유동

④유선(streamline)을 따르는 유동

 

문 3.액체 수송용 정변위 펌프에서 왕복 펌프가 아닌 것은?

①플런저 펌프(plunger pump)

②피스톤 펌프(piston pump)

③로브 펌프(lobe pump)

④격막 펌프(diaphragm pump)

 

문 4.300°C, 30N/cm2 상태인 수증기를 등엔탈피 변화시켜 압력이 15N/cm2로 되었다면, 온도(°C)는? (단, 측정 압력 범위에서 Joule-Thomson 계수는 10으로 가정한다)

①100

②150

③200

④250

 

문 5.밀도가 2.0g/cm3인 유리구를 물 속에 중력침강시켰을 경우 종말 침강속도가 0.49cm/sec이었다. Stokes법칙이 적용될 때, 이 유리구의 지름(cm)은? (단, 물의 점도는 1.0cP, 밀도는 1.0g/cm3이다)

① 0.03 / √10

② 0.05 / √10

③ 0.07 / √10

④ 0.11 / √10

 

문 6.이상기체의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기체 밀도(density)에 비례한다.

②평균 분자 속도(average molecular velocity)와 비례한다.

③평균 자유 경로(mean free path)에 반비례한다.

④분자 열용량(molar heat capacity)에 비례한다.

 

문 7.물질전달에서 분자 확산에 대한 무차원 수인 Schmidt수(S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Sc는 운동학점도 대 분자확산도의 비이다.

액체에 대한 Sc는 전형적인 혼합물일 경우, 약 102에서 105범위에 있다.

③이상기체의 경우 Sc는 압력에 무관하다.

Sc에 대한 온도의 영향성은 기체가 액체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문 8.100°C에서 밀폐된 용기에 벤젠 7.8g, 톨루엔 18.4g, 자일렌 54.0g의 액체 혼합용액이 증기상과 평형상태에 있다. Raoult의 법칙을 따를 때, 기상에서 세 가지 화합물의 분압크기를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100°C에서 순성분 증기압은 벤젠 1,340mmHg, 톨루엔 560mmHg, 자일렌 210mmHg이고, 분자량은 벤젠 78, 톨루엔 92, 자일렌 108이다)

①벤젠>톨루엔>자일렌

②톨루엔>벤젠>자일렌

③벤젠>자일렌>톨루엔

④자일렌>톨루엔>벤젠

 

문 9.증습(humidification) 조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노점(dew point)은 증기-기체 혼합물이 포화되기까지 냉각되어야 하는 온도이다.

습도도표(humidity chart)는 전압(total pressure)에 관계없이 어떠한 계에 대해서도 만들 수 있다.

Lewis 관계식이 성립한다면 습도선(psychrometric line)은 단열 포화선으로 사용 가능하다.

④모든 습도에서 %습도(percentage humidity)는 상대 습도(relative humidity)보다 크다.

 

문 10.원가회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재료비 등 생산량의 변화에 따라서 증감하는 원가를 변동비라고 한다.

공장장 급여와 같이 생산량 변화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비용을 고정비라고 한다.

③측정경비란 전력비, 수도광열비 등 측정계기에 의하여 산정되어 소비하는 금액을 말한다.

발생경비는 여비, 수선비, 운임비 등을 위해 지급하거나 청구되는 경비를 말한다.

 

문 11.선택적 용해성을 이용하여 비등점 차이(휘발도 차이)가 작은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은?

①훌래쉬(flash) 증류

②증발

③추출

④재결정

 

12.침강 분리에서 사용되는 원심침강 장치가 아닌 것은?

①사이클론(cyclone)

②공기분리기(air-separator)

③에지러너(edge-runner)

④원심분리기(centrifuge)

 

문 13.질량 조성(wt%)으로 O2 16%, CO 56%, N2 28%인 혼합 가스 중 N2의 몰분율은?

① 1/7

② 2/7

③ 3/7

④ 4/7

 

문 14.고-액 추출 공정에서 추제비(solvent ratio)가 5이고, 분리된 추제의 양이 50kg/h일 때, 남은 추제[kg/h]는?

①5

②10

③125

④250

 

문 15.병류(parallel flow)와 향류(countercurrent flow) 열교환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병류는 고온유체와 냉각유체의 흐름 방향이 같다.

병류에서는 냉각유체의 출구 온도가 고온유체의 출구 온도보다 높을 수 없다.

③고온유체의 급냉에는 향류보다 병류 사용이 유리하다.

향류의 경우 고온유체의 출구온도가 냉각유체의 출구 온도보다 항상 높다.

 

문 16.전도나 대류와 달리 에너지가 전자파의 형태로 어떤 매체의 존재 없이 전달되는 현상인 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주어진 온도에서 어떤 물질의 열복사 속도는 응집상태 및 분자구조에 따라 변한다.

②이산화탄소를 포함한 다원자(polyatomic) 기체는 여러 파장에서 복사를 방사하고 흡수한다.

③흑체는 파장과 방향에 관계없이 입사하는 모든 복사를 흡수한다.

고체와 액체의 경우 두께와 상관없이 전 스펙트럼 범위에 걸쳐 복사를 흡수하고 방사한다.

 

문 17.유속 8cm/sec인 물이 상온에서 내경 2cm인 관 속으로 흘러갈 때, Fanning마찰계수는? (단, 물의 점도는 1.0cP, 밀도는 1.0g/cm3이다)

①0.001

②0.01

③0.1

④1.0

 

문 18.다음 중 4mm 이하의 입도 원료를 2∼50μm 정도의 분쇄 생성물로 만들 때, 가장 적절한 분쇄기는?

①유체-에너지밀(fluid-energy mill)

②마멸밀(attrition mill)

③롤러밀(roller mill)

④텀블링밀(tumbling mill)

 

문 19. θ는 지연 시간(dead time), τ는 시간 상수(time constant)라 할 때, PID 제어기가 PI 제어기보다 충분한 이점을 줄 수 있는 조건은?

①0<θ/τ<0.1

②0.1<θ/τ<0.3

③0.3<θ/τ<0.5

④1.0<θ

 

문 20.상온에서 내경이 10cm인 직관을 사용하여 2cm/sec의 속도로 물을 운반할 때, 입구로부터 최종속도 분포가 완성되는데 필요한 최소 전이길이(cm)는? (단, 물의 점도는 1.0cP, 밀도는 1.0g/cm3이다)

①100

②400

③600

④1,000

728x90
728x90

문 1.표면장력의 단위로 옳은 것은?

①단위길이당 작용하는 힘

②단위면적당 작용하는 힘

③단위체적당 작용하는 힘

④단위밀도당 작용하는 힘

 

문 2.포름알데히드에서 C성분의 백분율은? (단, 원자량은 C=12, H=1, O=16으로 계산한다)

①40

②6.7

③53.3

④20

 

문 3.상온에서 내경 200mm인 원형강관에 물이 90,000kg/hr의 유량으로 흐른다. 이 강관의 출구에서 내경이 100mm로 축소될 때의 속도[m/sec]는? (단, 강관입구 및 출구에서 압력손실은 무시하며 상온에서 물의 밀도는 1,000kg/m3이다)

① 10/π

② 15/π

③ 20/π

④ 25/π

 

문 4. 직경 20μm인 구형의 고체입자가 스톡스(Stokes) 법칙을 따르면서 10m 상공에서 지상으로 떨어질 때 지표면 바로 위에서의 종말속도(terminal velocity)[m/sec]는? (단, 중력가속도는 9m/sec2, 고체입자의 밀도는 1g/cm3, 상온에서 공기의 점도는 2×10-5Pa․sec로 계산한다. 공기의 밀도는 고체입자의 밀도에 비교하여 무시하며, 고체입자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 부력, 항력만 고려한다)

①0.001

②0.01

③ 0.1

④ 1

 

문 5.오스왈드(Ostwald) 점도계를 사용하여 미지 액체의 점도를 측정할 때 측정된 시간은 3초이고, 동일한 측정조건에서 경우 5초가 소요되었다. 미지 액체의 점도[cP]는? (단, 미지 액체 물의 밀도는 같다고 가정하며 측정조건에서 물의 점도는 1cP이다)

①0.3

②0.6

③0.9

④1.2

 

문 6.습식분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가늘게 분쇄할 때 분쇄능력이 크다.

②소비동력이 적고 수송이 용이하다.

③먼지가 일어나지 않아서 위생적이다.

④기계적 마모가 적다.

 

문 7.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프로펠러형 교반기는 교반중 운반도 할 수 있고 점성이 큰 액체에도 사용할 수 있다.

공기교반기는 액체속에 공기를 불어 넣어서 이 공기의 유동으로 액을 교반시킨다.

③섬유상의 형상을 가진 것은 혼합하기가 어렵다.

본드(Bond)의 법칙에서 분쇄에너지는 생성입자 지름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문 8.복사 에너지가 어떤 물체의 표면에 흡수되는 정도, 즉 흡수율이 모든 파장에서 동일한 물체는?

①흑체

②회색체

③담체

④백색체

 

문 9.목재 벽의 두께가 10cm이고 바깥 표면의 온도가 0oC일 때 안쪽 표면의 온도를 25oC로 유지하면 벽을 통한 단위면적당 열전달속도[kcal/m2․min]는? (단, 목재의 열전도도는 0.1kcal/m․hr․oC이고, 소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①0.42

②1.42

③2.52

④3.52

 

문 10.대류에 의한 열전달에서 무차원 넛셀(Nusselt)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자연대류에서 무차원 넛셀(Nusselt)수는 무차원 그라쇼프(Grashof)수와 무차원 플란틀(Prandtl)수의 함수이다.

강제대류에서 무차원 넛셀(Nusselt)수는 무차원 레이놀즈(Reynolds)수와 무차원 플란틀(Prandtl)수의 함수이다.

③균일 표면 열유속, 층류, 완전발달된 조건들의 특성을 갖는 원형관내 유동에 대한 무차원 넛셀(Nusselt)수는 무차원 이놀즈(Reynolds)수와 무차원 플란틀(Prandtl)수에 대해 항상 독립적이다.

④무차원 넛셀(Nusselt)수가 1이면 속도경계층과 온도경계층이 동일한 속도로 증가함을 의미한다.

 

문 11.유체가 흐를 수 있는 개구의 지름이 파이프의 지름과 거의 같으며, 흐름방향이 변하지 않고, 유량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밸브는?

①글로브 밸브(globe valve)

②게이트 밸브(gate valve)

③첵 밸브(check valve)

④볼 밸브(ball valve)

 

문 12.건구온도가 50oC이고, 습구온도가 30oC일 때 정속건조기간동안 단위면적당 건조속도[g/m2․sec]는? (단, 열전달계수는 10W/m2oC, 습구온도 30oC에서의 기화잠열은 2,000J/g 이다)

①0.01

②0.1

③1

④10

 

문 13.정류탑의 공급단에 원액을 100kgmol/hr로 공급하였을 때, 공급단에 증발하는 증기량이 20kgmol/hr이었고, 회수부에서 공급단으로 들어오는 증기량이 15kgmol/hr이었다. 공급단에서 내려가는 [kgmol/hr]은? (단, 환류와 탑위의 제품에 관한 환류비는 4이다)

①81

②91

③101

④111

 

문 14.흡수조작에서 충전탑의 충전 높이가 3m이며, 도해법으로 작도하여 구해진 이론단수는 6단이다. 한 개 이론단의 상당높이(HETP: Height Equivalent to a Theoretical Plate)[m]는?

①0.2

②0.4

③0.5

④0.6

 

문 15.8kg의 아세트알데히드와 50kg의 톨루엔으로 된 혼합액을 상온에서 매회 25kg의 물을 사용하여 아세트알데히드를 추출한 후, 1회 추출잔류액을 다시 물로 추출한다. 추출액과 추잔액의 평형관계가 Y=2X일 때, 1회에서의 추잔율[%]은?

①30

②40

③50

④60

 

문 16.단일단(single-stage)압축기를 사용하여 25oC, 1atm의 공기를 2atm까지 등온 압축시킬 때 소요되는 동력(P1)과 5atm까지 등온 압축할 때 소요되는 동력(P2)의 비(P2/P1)는? (단, 압축기의 효율은 같다)

① 5/2

②√5/2

③ ln5/ln2

④√ln5/ln2

 

문 17.공업적으로 사용되는 진공펌프를 작동하는 방법에 의해 분류하면 기계식과 분사식으로 나눌 수 있다. 기계식 진공펌프가 아닌 것은?

①왕복식 펌프

②축류식 펌프

③회전식 펌프

④제트 펌프

 

문 18.화학공정장치에 사용되는 파이프와 튜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튜브는 압착(compression)이나 플레어(flare) 이음쇠, 땜질 등의 방법으로 연결된다.

②파이프와 튜브는 지름과 벽 두께를 규정하여 규격을 정한다.

튜브의 벽 두께는 BWG(Birmingham wire gauge)번호로 표시한다.

파이프의 벽 두께는 규격번호로 나타내는데, 벽이 두꺼워질수록 번호가 작아진다.

 

문 19.다음 중 현금 지출을 수반하지 않는 경비는?

①공정 관리비

②기술비

③감가 상각비

④조사 연구비

 

문 20.밀도 0.8g/cm3, 점도 15 P인 기름이 관의 길이가 10m이고 안지름이 30mm인 관 도중에 90o 엘보우 2개, 글로브 밸브 1개가 연결된 관속을 50cm/sec 의 속도로 흐르고 있다. 이 기름을 수송할 경우에 생기는 마찰로 인한 에너지 손실[J/kg]은? (단, n은 상당길이를 구하는 계수이고, 90o 엘보우일 때 n=30, 글로브 밸브일 때 n=40으로 계산하며, 소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 한다)

①333

②433

③533

④633

728x90
728x90

문 1.무차원수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슈미트수(Sc)는 농도경계층에서 운동량 확산과 물질 확산의 상대적 비를 나타낸다.

강제대류에 의한 열전달계에서 넛셀수(Nu)는 레이놀즈수(Re)와 플란틀수(Pr)에 의존한다.

층류에 있어서 속도 및 농도 경계층의 상대적인 두께는 플란틀수(Pr)의 지배를 받는다.

강제대류에 의한 물질전달계에서 셔우드수(Sh)는 레이놀즈수(Re)와 슈미트수(Sc)에 의존한다.

 

문 2.기체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장치로써 옳지 않은 것은?

①정전 필터(electric filter)

②백 필터(bag filter)

③사이클론(cyclone)

④드럼 필터(drum filter)

 

문 3.디젤 사이클의 구성 요소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단열압축-정압가열-단열팽창-정적방열

②단열압축-정적가열-단열팽창-정압방열

③등온압축-정압가열-등온팽창-정적방열

④등온압축-정적가열-등온팽창-정압방열

 

문 4.어떤 공장에서 새로운 장치의 감가상각이 미화 20만불/년이며, 운전비용은 미화 280만불/년이다. 총판매량은 미화 400만불/년이고, 회사에 대한 세율이 30%인 경우 세후 순 이윤(NAPAT:Net Annual Profit After Taxes)은?

①미화 70만불

②미화 80만불

③미화 90만불

④미화 100만불

 

문 5.경기호황으로 공장을 증설하고자 한다. 투자금액은 부지 매입비 10억원, 반응기를 포함한 장치비 15억원, 유틸리티 및 건설비 5억원이다. 제품판매를 위한 영업비용은 10억원이 소요된다. 판매가격을 제품 1개당 10만원으로 책정했을 때, 손익분기점을 맞추기 위한 연간 생산량은? (단, 손익분기점을 맞추기 위한 회전율(turnover ratio)은 2로 하고, 기타 비용은 계산에서 생략한다)

①8만개

②6만개

③2만개

④1.5만개

 

문 6.유체흐름의 경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매끈한 평판 위의 흐름에서, 층류에서 난류로의 대표적인 임계 레이놀즈수는 대략 5×105이다.

②난류일 경우 경계층은 평판 가까이에 얇은 점성저층(viscous sublayer)으로 존재한다.

③경계층에서 점성전단에 의한 항력은 표면마찰로 존재한다.

④외부 유동에서 항력의 형태는 주로 압력차에 의해 야기되는 표면마찰항력(skin friction drag)이다.

 

문 7.두 성분 A와 B의 혼합물이 기체-액체 평형을 이루고 있다. 기상의 조성은 A가 3몰(mole), B가 1몰(mole)이고, 액상의 조성은 A가 0.5몰(mole), B가 0.5몰(mole)일 때 A의 B에 대한 상대휘발도는?

①3

②1.5

③0.5

④0.33

 

문 8.급송 부유물을 가압하에서 여과하고자할 때 여과매체를 비교적 고속으로 통과하는 형태의 여과기는?

①케이크 여과기(cake filter)

②청정 여과기(clarifying filter)

③십자류 여과기(crossflow filter)

④진공 여과기(vacuum filter)

 

문 9.물과 에탄올이 각각 0.5몰(mole)씩 섞여있는 용액을 플래쉬 증류(평형증류)하였다. 증류후 남은 액체는 0.5몰(mole)이고 이 액체에 포함된 에탄올의 몰분율이 0.2라면, 증류된 증기에 포함된 에탄올의 몰분율은?

①0.0

②0.3

③0.5

④0.8

 

문 10.효율이 좋은 냉매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증발열 및 증기의 비열이 작아야 한다.

②증발 압력이 대기압보다 약간 높아야 한다.

③단위 냉동 공정에서 소요 동력이 작아야 한다.

④임계 온도는 상온보다 높아야 한다.

 

문 11.어떤 연료가스를 연소시킬 때 5,000mol/min의 공기를 연소반응기에 급송하였다. 이 연료가스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한 이론공기량이 4,000mol/min이다. 이때 과잉공기백분율[%]은?

①15

②25

③35

④45

 

문 12.농도 80mg/l인 어떤 용액이 유량속도 2l/sec로 분리기에 들어간다. 분리기의 상부로 농도 7mg/l인 용액이 유량속도 1.6l/sec로 유출된다면, 분리기의 하부로 유출되는 용액의 농도[mg/l]는?

①124

②152

③372

④476

 

문 13.유체의 관 수송시 발생하는 손실두(head loss)를 계산하기 위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층류 영역에서는 하겐-포이즐리(Hagen-Poiseuille)식을 사용할 수 있다.

관 이음쇠 또는 밸브에 대해서는 이에 상당하는 관의 길이를 사용할 수 있다.

③층류 영역에서 팬닝(Fanning)마찰계수는 24/Re이다.

(Re:레이놀즈수)

④난류 영역에서는 팬닝(Fanning)마찰계수를 사용할 수 있다.

 

문 14.액체혼합물을 분리하는 증류조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끓는점이 다른 액체 혼합물을 분리하는 조작이다.

②맥카베-틸레(McCabe-Thiele)법은 엔탈피 수지의 필요없이 이용될 수 있다.

③두 성분의 상대휘발도가 일정할 때 최소 이상단수를 펜스크(Fenske)식으로 구할 수 있다.

증류조작시 환류비를 증가시키면 필요한 이론단수가 증가한다.

 

문 15.정지 유체에 구형입자를 스톡스(Stokes)의 법칙에 의해 자유 낙하시킬 때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입도가 작은 입자 흐름에 적용할 수 있다.

②입자낙하속도는 입자와 유체의 밀도차의 제곱에 비례한다.

③입자낙하속도는 입자 직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④입자낙하속도는 유체의 점도에 반비례한다.

 

문 16.정상상태에서 평행하게 마주보고 있는 가벼운 두 평판 사이에 뉴톤 유체가 가득 채워져 있다. 두 평판 중 아래쪽 평판을 고정시키고 위쪽 평판을 일정한 힘으로 아래쪽 평판과 평행하게 이동시킬 때 위쪽 평판에서 유체에 작용하는 주요 힘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평판의 이동한 단위 길이당 힘으로 표시한다.

②평판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수평 힘으로 표시한다.

③평판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수직 힘으로 표시한다.

④평판사이 유체의 단위 체적당 힘으로 표시한다.

 

문 17.길고 곧은 관을 통과하는 난류흐름에서 유체에 가해지는 열전달계를 차원해석하였다. 이때 얻어진 무차원수인 레이놀즈수(Reynolds수, Re), 넛셀수(Nusselt수, Nu), 플란틀수(Prandtl수, Pr), 그리고 스탠톤수(Stanton수, St)와의 상관 관계가 옳은 것은?

①Nu=Re․Pr․St

②Re=St․Pr․Nu

③St=Re․Pr․Nu

④Pr=Re․St․Nu

 

문 18.복사에 의한 열전달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스테판-볼츠만(Stefan-Boltzmann)법칙에 의해 완전 흑체의 단위 표면적에서 단위 시간에 복사되는 총복사 에너지는 그 물체의 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한다는 법칙으로 프랑크(Plank)의 복사 법칙을 적분하여 유도할 수 있다.

키르호프(Kirchhoff)의 법칙은 열적 평형상태의 동일 온도에서 흑체가 아닌 물체의 전체 복사력은 흡수율의 제곱근에 비례한다는 법칙이다.

비인(Wien)의 변위법칙은 파장과 최대 방사능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법칙으로 어떤 온도에서 최대 복사강도의 파장은 절대 온도에 반비례함을 나타낸다.

프랑크(Plank)의 분배관계식은 흑체의 단색광 복사력을 온도와 파장의 함수로 하여 흑체 복사가 파장에 따라 연속적으로 방출됨을 나타낸다.

 

문 19.벤젠(40wt%)과 톨루엔(60wt%)의 혼합물이 15,000kg/hr의 속도로 연속식 증류탑에 공급되고 있다. 증류탑의 상부(유출액)에서 97wt% 벤젠을, 하부(관출액)에서 98wt% 톨루엔을 얻고자 할때, 유출액[kg/hr]과 관출액[kg/hr]은?

    유출액             관출액

① 5,820               9,180

② 9,180               5,820

③ 9,000               6,000

④ 6,000               9,000

 

문 20.최저 공비혼합물은 비점 도표에서 최저 비점의 공비혼합물을 나타내며, 증기압선도에서 극대점을 나타낸다. 다음 중 최저 비점 공비혼합물의 예로 옳지 않은 것은?

①에탄올+벤젠

②아세톤+클로로포름

③아세톤+이황화탄소

④에탄올+물

728x90
728x90

문 1.다음 중 3개의 유효숫자로 표현되어 있지 않은 것은?

①5.12         ②0.51          ③5.10         ④50.0

 

문 2.다음 중 압력차를 측정하여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가 아닌 것은?

①오리피스 미터           ②벤투리 미터         ③로터 미터           ④피토우 관

 

문 3.분체의 입도 분리용으로 산업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100mesh (sieve)의 1in.2에는 몇 개의 체구멍이 있는가? 그리고 100mesh 체를 통과한 입자는 200mesh 체를 통과한 입자보다 큰가, 작은가?

①100, 작다        ②100, 크다         ③10000, 작다         ④10000, 크다

 

문 4.분진과 같은 미립자를 분리하는 장치들이다. 미립자가 포함된 기체를 용기 내에서 고속 회전시켜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미립자를 용기 벽 주변에 침강시켜 분리하는 장치는?

①싸이클론(cyclone)         ②코트렐(cottrel)             ③백필터(bag filter)           ④스크러버(scrubber)

 5.이온용액의 총괄성을 계산할 때 K2SO4용액의 반트호프계수(Van’t Hoff factor)는 얼마인가?(단, K2SO4 용액 상태에서 완 해리된다고 가정한다)

①1        ②2          ③3         ④4

 

문 6.입자모양(particle shape)을 나타내는 구형도(sphericity)에 관여하는 직접적인 변수가 아닌 것은?

①입자의 상당지름         ②한 개 입자의 표면적           ③한 개 입자의 크기         ④한 개 입자의 부피

 

7.충전 흡수탑에서 에탄 1mole%를 포함하는 기체가 30°C, 전압 10atm에서 탑 밑 부분에서 들어오고, 물은 액체 분사기로부터 충전물의 표면을 적시면서 탑 아래쪽으로 흘러 기체와 접촉하여 물질 전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평형에 도달하였다고 가정할 때 용해된 에탄의 몰 분율은?(단, 헨리 상수는 2.5×104atm이다)

①10-6       ②2×10-6          ③3×10-6         ④4×10-6

 

문 8.수력도약의 시각적 관찰과 수학적 해석방법으로부터 충격파를 다루는 데 사용하는 Froude 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속도        ②중력가속도           ③길이         ④압력

 

문 9.다음 중 빙햄(Bingham) 유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시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유체

작은 전단응력에는 무한대로 저항하지만 전단응력이 항복점을 넘어서면 쉽게 흐르는 유체

③속도 구배가 증가함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는 유체

전단응력이 작을 때는 아래로 오목해졌다가 전단응력이 커지면 거의 직선으로 퍼져 흐름이 어려운 유체

 

문 10.과열 증기를 이용하여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액체의 온도를 50°C에서 100°C로 올리고 싶다. 과열 증기가 액체에 공급하는 열량은 500cal/kg이고, 액체는 1000kg/hr로 공급되고 있다면 단위 시간당 요구되는 과열 증기의 양[kg]은?(단, 액체의 비열은 0.5cal/kg․°C로 가정한다)

①50         ②60           ③80         ④100

 

문 11.진공 상태인 우주를 운항하는 우주선 표면의 적정 온도 유지를 위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열 이동 현상은?

①전도         ②대류            ③복사          ④확산

 

문 12.일정한 온도에서 시험편에 일정한 하중을 가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시료의 길이변화를 측정하는 시험은?

①충격시험         ②인장시험         ③크리프시험           ④피로시험

 

문 13.물질 전달을 나타내는 Fick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물질 확산 계수의 단위는 m2/hr이다.

②단위시간당 전달된 물질의 양은 농도구배에 비례한다.

③액상에서 물질 확산 계수는 액상의 점도에 무관하다.

④전달되는 물질의 양은 전달 면적에 비례한다.

 

문 14.비중이 1.6g/cm3인 사염화탄소가 흐르는 관의 압력차를 비중이 13.6g/cm3인 수은으로 채워진 U자 형의 마노미터관으로 측정한다. 마노미터 수은의 높이 차이가 10cm일때 압력차[N/m2]는?(단, g는 10m/sec2으로 가정한다)

①1.52×104         ②1.6×104           ③1.36×104          ④1.2×104

 

문 15.제조 원가 중에서 변동비로만 되어 있는 것은?

①원료비, 노무비, 감가상각비

②설비비, 판매경비, 감가상각비

③원료비, 노무비, 설비 보수비

④설비비, 원료비, 일반 관리비

 

문 16.유체에 가해지는 열전달을 취급하는데 사용되는 무차원군이 아닌 것은?

①Graetz 수       ②Peclet 수          ③Fourier 수         ④Weber 수

 

문 17.넓이가 1.0m2 인 평행한 2개의 흑판이 있다. 각각의 표면 온도가 127°C 및 227°C 일 때 복사에 의한 열전달량은 대략 몇 kW인가? (단, 스테판 볼츠만 상수 σ≈5.0×10-8W/m2․K4, ε1=ε2=1)

①2.0       ②5.0          ③10.0        ④20.0

 

문 18.노벽을 통하여 전열이 일어난다. 노벽의 두께는 600mm, 평균 열전도도는 3kcal/m․hr․°C일 때 노벽 1m2당 전열저항[°C․hr/kcal]은?

①0.2 ②1.8 ③2.5 ④5.0 

 

문 19.벤젠-톨루엔 혼합물이 90°C, 전압 700 mmHg에서 기-액 평형에 도달하였다. 벤젠과 톨루엔의 순성분증기압은 각각 1000mmHg, 500mmHg 이다. 벤젠의 액상 및 기상에서의 조성을 구하면?

      액상   기상

① 0.3       0.37

② 0.3       0.47

③ 0.4       0.57

④ 0.4       0.67

 

문 20.화공기계의 제어에서 잔류편차(off-set)를 없애주고 reset시간도 단축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제어기는?

①비례제어기         ②비례미분제어기          ③비례적분제어기         ④비례적분미분제어기

728x90
728x90

문 1.반지름이 2mm, 무게가 0.3g인 구형입자가 액체로 채워진 시험관에서 자유침강할 때, 정상상태에서 액체의 밀도가 1.0g/cm3이라면 입자에 작용하는 대략 저항력[dyne]은?

(단, π=3으로 계산한다)

①163          ②263          ③363          ④463

 

문 2.열전도의 기본 법칙에 해당되는 것은?

①Fourier 법칙          ②Raoult 법칙

③Dalton 법칙           ④Stokes 법칙

 

문 3.안쪽 반지름이 4cm, 바깥쪽 반지름이 6cm, 길이가 3m인 원통형 관의 열전달 평균 면적의 대략값[m2]은?

(단, π=3으로 계산한다)

①6.0        ②9.0           ③0.6        ④0.9

 

문 4.복사에 의한 열전달과 관계가 없는 법칙은?

①Planck 법칙         ②Wien 법칙          ③Fourier 법칙          ④Kirchhoff 법칙

 

문 5.관이나 유로에서 유체 전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을 전구경식 유량계라 하며, 유로의 한 점에서 측정하는 것을 삽입식 유량계라 한다. 전구경식 유량계가 아닌 것은?

①벤튜리미터         ②피토관         ③오리피스미터          ④로타미터

 

문 6.정류탑에서 환류비는?

①공급량의 몰수/환류액의 몰수

②공급량의 몰수/유출액의 몰수

③환류액의 몰수/유출액의 몰수

④유출액의 몰수/환류액의 몰수

 

문 7.물질전달계수와 관계 없는 무차원수는?

①Prandtl수         ②Schmidt수        ③Sherwood수          ④Reynolds수

 

문 8.화학공장이 성립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계획-설계-조업-건설-보전

②계획-조업-설계-건설-보전

③계획-건설-설계-조업-보전

④계획-설계-건설-조업-보전

 

문 9.회분식 반응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반응에 필요한 원료를 한꺼번에 투입하여 일정시간 반응시킨 후, 생성물을 한꺼번에 배출시킨다.

②성분의 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비정상 상태의 조작이다.

③인건비가 저렴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④정밀화학제품의 생산, 신제품 시험생산 등에 많이 이용된다.

 

문 10.장치 구입비를 추산할 때, 정확한 가격 자료가 없을 경우에는 량지수와 비용지수를 사용한다. 2000년도에 20m2의 면적을 진 열교환기를 300만원에 구입하였다. 2007년도에 60m2의 면적을 가진 열교환기의 가격을 바르게 추산한 것은?

(단, 열교환기의 용량지수는 0.6이고, 2000년도에 비용지수는 460이며, 2007년도에 비용지수는 530으로 가정한다)

① (300)(530/460)(60/20)0.6 만원

② (300)(530/460)0.6(60/20)만원

③ (300)0.6(530/460)(60/20)만원

④ (0.6)(300)(530/460)(60/20)만원

 

문 11.수분과 목재로 구성된 습윤 목재 10kg에는 4kg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다. 20무게%의 수분이 유지되도록 하려면 이 목재에서 제거해야 하는 수분의 양[kg]은?

①1.5         ②2.5         ③3.5         ④4.5

 

문 12.두 동심관 사이의 환상 유로에서의 상당지름은?

(단, Do와 Di는 각각 환상 유로의 외경과 내경이다)

① Do- Di       ② Do+ Di  

③ (Do- Di)/4 ④ (Do+ Di)/ 4

 

문 13.공기는 질소와 산소의 혼합물이며 O2 21몰%, N2 79몰%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무게%로 환산하였을 때 공기 중 산소의 대략 무게%는?

①11        ②15         ③19        ④23

 

문 14.수평관을 통해 뉴튼 유체가 층류로 흐를 때 Hagen-Poiseuille 흐름이 된다. 관의 반지름을 1/2로 줄이고, 수평관 두 끝에 작용하는 압력차를 2배로 한다면 부피유량(volumetric flow rate)은 어떻게 변하는가?

(단, 관의 길이와 유체 점도는 변하지 않고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① 1/16배       ② 1/8배      ③ 1/4배         ④변하지 않는다

 

문 15.점토의 진밀도가 1.5g/cm3이고, 겉보기밀도가 1.2g/cm3일 때 공극률은?

①0.2       ②0.4       ③0.6        ④0.8

 

문 16.흑체 복사에 대한 기본관계는 Stefan-Boltzmann법칙이다. 복사에너지, 복사면적, 절대온도와의 상호관계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①복사에너지는 복사면적에 비례하고 절대온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복사에너지는 복사면적에 반비례하고 절대온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복사에너지는 복사면적에 비례하고 절대온도의 네제곱에 비례한다.

④복사에너지는 복사면적에 반비례하고 절대온도의 네제곱에 비례한다.

 

문 17.점도, 운동점도, 밀도를 각각 μ, ν, ρ라고 할 때, 이들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① μ = ρν       ② ν = ρμ         ③ μ2 = ρν       ④ ν2 = ρμ

 

문 18.밀도 50kg/m3, 점도 0.1P인 유체가 내경 20cm인 관내를 3m3/sec의 유량으로 흐를 때, Reynolds수를 구하고 층류인지 난류인지를 구별하면?

(단, π=3으로 계산한다)

①10,000, 난류

②100,000, 난류

③1,000, 층류

④2,500, 층류도 난류도 아닌 전이영역

 

문 19.연속증류탑으로 무게분율 0.4인 A와 0.6인 B의 원료 10,000kg/hr를 처리하고자 한다. 탑정으로부터 무게분율 0.94인 A와 탑저로부터 무게분율 0.96인 B로 분리하고자 할 때, 탑정유출액(D)과 탑저유출액(B)의 각각의 양은?

(단, 단위는 kg/hr이다)

①D=3,000, B=7,000

②D=4,000, B=6,000

③D=5,000, B=5,000

④D=6,000, B=4,000

 

문 20.연속 증류탑에서 원료가 포화액체로 들어온다. 공급원료 1몰을 원료공급단에 넣었을 때, 그 중에서 탈거부로 내려가는 액체의 몰수는?

①1         ②0과 1사이            ③1보다 크다          ④0보다 작다

728x90
728x90

문 1.100°C의 커피 150g이 커피잔에 담겨있다. 여기에 0°C의 30g 더하면 커피의 온도[°C]는? (단, 커피와 물의 비열은 1cal/(g∙°C)로 같다고 가정하고 커피잔에 의한 열전달은 무시하며, 커피와 물의 상변화는 없다고 가정한다)

①91.7

②83.3

③78.5

④64.6

 

문 2.내부 공기의 온도가 20°C이고 외부 공기의 온도가 10°C일 때, 0.04W/(m°C)의 열전도도를 갖는 단열재를 통한 열손실을 계산하고자 한다. 표면적 1m2, 두께 10cm인 단열재 A와 표면적 2m2, 두께 20cm인 단열재 B의 열손실 관계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A가 B보다 2W만큼 열손실이 크다.

②A가 B보다 4W만큼 열손실이 크다.

③B가 A보다 2W만큼 열손실이 크다.

④A와 B를 통한 열손실은 같다.

 

문 3.다관식 열교환기에서 방해판의 역할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유체가 가열관으로부터 직각으로 흐르게 하여 전열계수를 높인다.

가열관과 유체가 수평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전열계수를 낮춘다.

③유로의 단면적을 크게 한다.

④유체의 유속을 감소시킨다.

 

문 4.입자가 유체 속에서 일정한 속도로 침강하기 위한 조건은? (항력: drag force, 중력: gravitational force, 부력: buoyant force)

①항력=0

②항력=중력+부력

③중력=부력+항력

④부력=중력+항력

 

문 5.유체를 수송하는 펌프 중 그 원리가 다른 것은?

①터빈 펌프(turbine pump)

②프런저 펌프(plunger pump)

③피스톤 펌프(piston pump)

④다이아프램 펌프(diaphram pump)

 

문 6.유체를 수송하는 관의 단면적이 급격히 확대되거나 축소될 때 흐름의 충돌이 생겨 소용돌이가 일어나 압력 손실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의 마찰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표면마찰(surface friction)

②흐름마찰(flow friction)

③형상마찰(form friction)

④충돌마찰(collision friction)

 

문 7.절대온도 0K의 환경에서 복사면적이 2m2이고 10K의 온도를 지니는 흑체복사물질이 1.13×10-3 W의 복사에너지를 방출한다. 같은 0K의 환경에서 방사 물질의 온도를 100K로 올렸을 때 방출되는 복사에너지[W]는?

①2.26×10-3

②1.13×10-2

③2.26

④11.3

 

문 8.어떤 화학공장의 연간 고정비, 경상비 및 일반비의 합이 2억 원이다. 만일 연간 직접생산비는 1.5억 원이며 제품의 연간 총 판매액이 3억 원이고 제품 단위당 판매 가격이 20,000원이라면 손익분기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연간 생산단위가 얼마로 되어야 하는가?

①10,000단위/년

②15,000단위/년

③20,000단위/년

④30,000단위/년

 

문 9.어떤 화학 장치의 취득가격이 설치비를 포함하여 5,200만 원이다. 이 장치의 내용연수는 10년이며, 내용연도 말에 잔존가격은 200만 원으로 추정된다. 고정자산의 가치가 시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한다면 5년 후에 이 장치의 장부가격은?

①2,700만 원

②2,600만 원

③2,500만 원

④2,400만 원

 

문 10.게이지압이 2kgf/cm2일 때, 절대압을 atm의 단위로 구하면?

①1.55

②2.94

③3.03

④4.0

 

문 11.다음 중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막는 데 쓰이는 밸브는?

①게이트 밸브(gate valve)

②콕 밸브(cock valve)

③글로브 밸브(glove valve)

④체크 밸브(check valve)

 

문 12.라울(Raoult)의 법칙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기상은 이상기체로 가정한다.

②액상은 이상용액으로 가정한다.

③고압의 기체에 적용될 수 있다.

④계를 이루는 성분들이 화학적으로 유사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문 13.유체가 관로를 따라 흐를 때 관로의 직경(D)이 갑자기 줄어든다. 줄어든 부분의 레이놀즈수(NRe)는 줄어들기 전의 부분에 비하여 어떻게 되는가? (단, 유체의 질량유속은 일정하다)

①NRe는 작아진다.

②NRe는 커진다.

③NRe는 차이가 없다.

NRe는 직경에 비례하므로 작아지다가 본래의 값으로 돌아간다.

 

문 14.이중 열교환기에서 1,000kg, 110°C의 뜨거운 기름이 관 속으로 들어가서 100°C로 되어 나간다. 20°C의 냉각수는 관 외부로 들어가서 70°C로 되어 나간다. 이 때 총괄 전열 계수는 500kcal/(m2∙hr∙°C)이고 유체 흐름이 병류라면, 열 전달 속도를 구하위한 대수(logarithm) 평균 온도차는? (단, ln3= 1.1,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①30.5

②42.5

③54.5

④67.5

 

문 15.충전흡수탑의 충전물 선택에서 다음 글의 괄호 안에 알맞은 말은?

( )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하기 위하여 충전 흡수탑 지름의 1/8 이하의 지름을 갖는 충전물로 탑 내부를 고르게 충전해야 한다.

①확산(diffusion)

②역류(flowing backward)

③편류(channeling)

④일류(flooding)

 

문 16.표준상태(760mmHg, 0℃)의 공기의 밀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380mmHg, 273℃의 산소(O2) 32kg의 비중은 얼마인가?

(단, 기체는 이상기체로 간주하며, 소수는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고, 공기와 O2의 분자량은 29와 32로 계산한다)

①0.1

②0.2

③0.3

④0.4

 

문 17.벤젠과 톨루엔 혼합물을 100kmol/hr로 증류탑에 급송하며 혼합액을 이상 용액으로 보고, 전압 1atm, 90°C에서 순수한 벤젠과 톨루엔의 증기압은 각각 1120mmHg, 400mmHg이며, 유출액과 관출액에서 벤젠의 몰분율은 각각 0.94와 0.06이다. 이때 환류비가 최소 환류비의 2배이면 농축부 조작선 방정식은? (단, 소수 둘째 자리 이하는 절사한다)

①y=0.2x+0.1

②y=0.7x+0.2

③y=0.5x+0.7

④y=0.5x+0.1

 

문 18.두 평판이 10mm의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정상상태에서 아래 평판은 정지되어 있고, 위 평판은 0.4m/s의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 위 평판의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단위면적당 힘인 0.02N/m2이 필요하다면 두 평판 사이에 채워진 뉴튼 유체의 점도는 몇 centipoise(cP)인가?

①0.2

②0.5

③1.0

④2.0

 

문 19.기체의 확산계수는 근사적으로 절대온도 T1.75에 비례하고 압력 P에 반비례한다. 298K, 1atm에서 공기 중으로 확산하는 어떤 기체의 확산계수가 0.08cm2/s라면 353K, 2atm에서 이 기체의 확산계수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①DAB =(0.08)(298/353)1.75(1/2)

②DAB =(0.08)(353/298)1.75(1/2)

③DAB =(0.08)(298/353)1.75(2/1)

④DAB =(0.08)(353/298)1.75(2/1)

 

문 20.유동층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최저유동화속도에서 입자층에 걸리는 압력강하량은 유동층의 단면적당의 무게와 같다.

발열반응을 위한 촉매로 구성된 유동층 내의 온도 분포는 유동층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크게 증가한다.

③유동층 내의 입도 분포는 위치에 따라 비교적 균일하다.

좋은 유동층이 되려면 채널링과 슬러깅이 적게 일어나야 한다.

728x90
728x90

문 1.공동정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공모자들이 그 공모한 범행을 수행하는 도중에 파생적인 범행 하나하나에 대해 개별적인 의사연락이 없었다 하더라도 부수적인 다른 범죄가 파생되리라고 충분히 예상되었다면 그 범행 전부에 대해 공모와 기능적 행위지배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②절도를 모의한 3인 가운데 2인이 시간적․장소적으로 협동관계를 이루어 절도의 실행행위를 한 경우 모의에는 참여하였으나 현장에서 실행행위를 직접 분담하지 않는 자에 대해서는 합동절도의 공동정범이 성립할 여지가 없다.

③공모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다른 공모자의 실행에 영향을 미친 공모자는 범행을 저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여 실행행위에 미친 영향력을 제거해야만 공모관계에서의 이탈이 인정된다.

④공범자의 범인도피행위 도중에 그 범행을 인식하면서 그와 공동의 범의를 가지고 기왕의 범인도피상태를 이용하여 스스로 범인도피행위를 계속한 자는 범인도피죄의 공동정범의 죄책을 진다.

 

문 2.다음 중 적법행위에 대한 기대가능성이 인정되지 않는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ㄱ.비서가 주종관계에 있는 상사의 지시에 따라 공무원에게 뇌물을 공여한 경우

ㄴ.사용자가 퇴직금 지급을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였으나 경영부진으로 인한 자금사정 등으로 도저히 지급기일 내에 퇴직금을 지급할 수 없었던 경우

ㄷ.입학시험에 응시한 수험생이 우연한 기회에 미리 출제될 시험문제를 알게 되자 그에 대한 답을 암기하여 그것을 답안지에 기입한 경우

ㄹ.국가정보기관의 직원이 소속 상관의 중대하고 명백한 위법명령에 따라 범법행위를 한 경우

①ㄱ, ㄴ         ②ㄱ, ㄷ         ③ㄴ, ㄷ          ④ㄷ, ㄹ

 

문 3.「형법」 제16조(법률의 착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형법」 제16조는 일반적으로 범죄가 되는 경우이지만 자기의 특수한 경우에는 법령에 의하여 허용된 행위로서 죄가 되지 아니한다고 그릇 인식한 경우에 관한 규정이다.

②정당한 이유가 있는지 여부는 행위자가 자기 행위의 위법성에 대해 심사숙고하거나 조회할 수 있는 계기가 있었는데도 자신의 지적 능력을 다하여 진지한 노력을 다하지 못한 결과 위법성을 인식하지 못한 것인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

③위법성의 인식에 필요한 노력의 정도는 구체적인 행위정황과 행위자 개인의 인식능력에 따라 달리 평가되어야 하며, 행위자가 속한 사회집단에 따라 달리 평가될 수는 없다.

④단순한 법률의 부지에 불과한 경우에는 「형법」 제16조에 해당하는 법률의 착오라고 볼 수 없다.

 

문 4.다음 중 甲의 행위가 과잉방위로서 ‘야간 기타 불안스러운 상태 하에서 공포, 경악, 흥분 또는 당황으로 인한 때’(「형법」 제21조 제3항)에 해당하는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甲은 자신의 아내와 함께 밤늦게 귀가하는 도중 술에 취한 乙이 갑자기 甲의 아내를 땅에 넘어뜨려 깔고 앉아서 구타하여 甲이 乙을 제지하였지만 乙이 자신의 말을 듣지 아니하고 돌로 아내를 때리려는 순간 그 침해를 방위하기 위하여 乙의 복부를 한차례 발로 차서 외상성 십이지장 천공상을 입게 하여 사망에 이르게 하였다.

②甲은 남편에 대해 이혼소송을 제기하고 별거하던 중 남편이 찾아와 가위로 폭행하고 변태적 성행위를 강요하는 데에 격분하여 칼로 남편의 복부를 찔러 사망에 이르게 하였다.

③술에 만취한 乙이 누나와 말다툼을 하다가 누나의 머리채를 잡고 때리자 이를 본 누나의 남편 甲이 화가 나서 乙과 싸움을 하는 과정에서 몸무게가 85kg이나 되는 乙이 62kg의 甲을 침대 위에 넘어뜨리고 甲의 가슴 위에 올라타 목 부분을 누르자, 호흡이 곤란하게 된 甲이 안간힘을 쓰면서 허둥대다가 침대 위에 놓여 있던 과도로 乙에게 상해를 가하였다.

④甲이 乙로부터 뺨을 맞는 등 폭행을 당하자 乙의 멱살을 잡고 다투었고 이를 본 주위 사람들이 싸움을 제지하였으나 甲이 乙에게 대항하기 위하여 깨어진 병으로 乙을 찌를 듯이 겨누어 협박하였다.

 

문 5.다음 중 甲과 乙에 대하여 과실범의 공동정범이 성립하지 않는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甲이 차량운전행위를 살펴보고 잘못된 점이 있으면 지적하여 교정해 주려고 운전자 乙의 부탁으로 차량의 조수석에 동승하였는데 운행 중 사고가 난 경우

②정기관사 甲의 지휘감독을 받는 부기관사 乙이 정기관사와 사고열차의 후진에 관하여 서로 상론, 동의한 후 후진하다가 다른 열차와 충돌한 경우

③터널굴착공사를 도급받은 건설회사의 현장소장 甲과 공사를 발주한 한국전력공사의 지소장 乙이 철로 밑 굴착공사를 하다가 무너져 통과하던 열차가 전복된 경우

④식품회사 대표이사 甲과 공장장 乙이 먼저 제조한 빵을 늦게 배식하여 수 명의 아동이 식중독에 걸려 사망하고 다른 수 명은 병원에 입원한 경우

 

문 6.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甲이 위조한 乙명의의 차용증을 바탕으로 乙에 대한 차용금채권을 丙에게 양도하고, 이러한 사정을 모르는 丙으로 하여금 乙을 상대로 양수금 청구소송을 제기하게 한 경우 甲은 소송사기죄의 간접정범의 죄책을 진다.

②甲이 타인을 비방할 목적으로 허위의 기사자료를 그 정을 모르는 기자 乙에게 제공하여 신문에 보도되게 한 경우 甲은 출판물 등에 의한 명예훼손죄의 간접정범의 죄책을 진다.

③사법경찰관 甲이 乙을 구속하기 위하여 진술조서를 허위로 작성한 후 이를 기록에 첨부하여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진술조서가 허위로 작성된 정을 모르는 검사와 영장전담판사를 기망하여 구속영장을 발부받은 후 그 영장에 의하여 乙을 구금하였다면 甲은 직권남용감금죄의 죄책을 진다.

④甲이 변심한 애인 乙을 강요하여 乙로 하여금 스스로 코를 절단하게 한 경우 甲은 강요죄의 죄책을 지는 것은 별문제로 하고 중상해죄의 간접정범의 죄책을 지지는 않는다.

 

문 7.경찰관 甲은 순찰도중 잠깐 휴식을 취하기 위해 장전된 권총을 잠시 길 위에 놓아두었는데, 그 옆을 지나가던 정신병자 乙이 갑자기 권총을 집어 들고 甲과 지나가는 사람을 겨냥하면서 “꼼짝 마. 움직이면 쏜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객관적 위법성론에 따르면 乙의 행위는 위법하므로 甲은 乙에 대하여 정당방위를 할 수 있다.

②주관적 위법성론에 따르면 乙의 행위는 위법하지 않으므로 甲은 乙에 대하여 정당방위를 할 수 없다.

③사회윤리적 관점에서 정당방위를 제한하는 견해에 따르면 乙과 같은 책임무능력자의 침해에 대해서는 정당방위가 제한된다.

④乙의 행위는 의도적으로 도발된 침해에 해당하므로 정당방위가 허용되지 않는다.

 

문 8.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신분관계로 인하여 형의 경중이 있는 경우에 신분이 있는 자가 신분이 없는 자를 교사하여 죄를 범하게 한 경우에는 「형법」 제33조 단서가 아니라 「형법」 제31조 제1항이 적용되므로 신분이 있는 교사범은 신분이 없는 정범과 동일하게 처벌된다.

②정범의 성립은 교사범의 구성요건의 일부를 형성하고, 교사범이 성립함에는 정범의 범죄행위가 인정될 것을 전제로 한다.

③甲이 A를 모해할 목적으로 乙을 교사하여 위증을 하게 한 경우 乙에게 A를 모해할 목적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형법」 제33조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甲을 모해위증교사죄로 처단할 수 있다.

④甲이 乙에게 A의 주거에 방화하도록 지시하여 乙이 이를 승낙하고는 甲의 지시와는 무관하게 산책 중인 A를 살해하였다면 甲은 현주건조물방화예비․음모죄의 죄책을 질 따름이다.

 

문 9.위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주관적 정당화요소 불요설에 따르면 칼을 숨긴 채 자기가 운전하는 차량에 접근한 강도범을 평소 좋지 않은 감정을 가지고 있던 사람으로 오인하고 그를 치어 상해를 입힌 경우 위법성이 조각될 수 있다.

②남자 대학생이 자기를 짝사랑하는 이웃집의 12세 소녀의 간청에 못 이겨서 간음하였다면 이는 피해자의 승낙에 의한 행위로서 위법성이 조각된다.

③피해자의 승낙이 있더라도 법률상 처벌하는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추정적 승낙도 허용되지 않는다.

④가해자의 행위가 피해자의 부당한 공격을 방위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서로 공격할 의사로 싸우다가 먼저 공격을 받고 이에 대항하여 가해하게 된 경우 그 행위는 정당방위 또는 과잉방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문 10.책임능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책임의 본질을 행위에 대한 행위자의 심리적 사실관계로 이해하는 견해에 대해서는 고의 또는 과실은 있으나 책임조각사유(예컨대 강요된 행위)에 의해 책임이 부정되는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②인간의 자유의사를 부정하면서 인간의 의사와 행위는 개인의 유전적 소질과 환경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견해에 따르면 책임은 ‘의사책임’이며 ‘행위책임’의 성격을 갖는다.

③충동조절장애와 같은 성격적 결함도 원칙적으로 형의 감면사유인 심신장애에 해당한다.

④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에 관한 「형법」 제10조 제3항은 위험의 발생을 예견할 수 있었는데도 자의로 심신장애를 야기한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문 11.법조경합의 한 형태로서 ‘행위자가 특정한 죄를 범하면 비록 논리 필연적인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전형적으로 다른 구성요건을 충족하고 이때 그 구성요건의 불법이나 책임 내용이 주된 범죄에 비하여 경미하기 때문에 처벌이 별도로 고려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동일한 피해자에 대한 폭행행위가 업무방해의 수단이 된 경우의 폭행죄와 업무방해죄

②공갈의 수단으로 협박을 한 경우의 공갈죄와 협박죄

③감금행위가 강간의 수단이 된 경우의 감금죄와 강간죄

④강취한 신용카드를 자기의 신용카드인 양 가맹점의 점주를 기망하여 점주로부터 주류 등을 제공받아 취득한 경우의 사기죄와 신용카드부정사용죄

 

문 12.각 사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특별법은 논외로 함)

①甲, 乙, 丙은 재물을 절취하기로 공모한 후 丙은 약 100m 떨어진 곳에서 망을 보고 甲과 乙은 현장에 가서 재물을 절취하였다.-甲, 乙, 丙은 모두 특수절도죄의 죄책을 진다.

②甲과 乙은 보석절도를 모의하고 주간에 함께 A의 주거에 침입하여 乙은 1층에서 망을 보고 甲은 2층에서 보석을 찾았으나 발견하지 못하자 화가 난 甲이 갑자기 장식장을 깨 버렸다.-甲은 주거침입죄, 특수절도미수죄 및 손괴죄의 죄책을 지고 乙은 주거침입죄와 특수절도미수죄의 죄책을 진다.

③甲은 오토바이 판매점을 경영하는 자로서 乙에게 “오토바이를 훔쳐 오라. 그리하면 장물은 내가 사 주겠다.”라고 말하여 乙은 인근에서 오토바이를 절취하였다.-甲, 乙은 절도죄의 공동정범의 죄책을 진다.

④甲과 乙은 강도를 공모하고 혼자 사는 여성 A의 집에 침입하여 甲이 재물을 강취하기 위해 A를 폭행하던 중 욕정이 발동하여 A를 강간하였고 乙은 그 사실을 알지 못한 채 물건을 가지고 나왔다.-甲은 강도강간죄, 乙은 특수강도죄의 죄책을 진다.

 

문 13.미수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피해자에게 위조한 예금통장 사본을 보여 주면서 외국회사에서 투자금을 받았다고 거짓말하며 자금 대여를 요청한 후 피해자와 함께 투자금의 입금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은행에 가던 중 범행이 발각될 것이 두려워 은행 입구에서 차용을 포기하고 돌아간 경우에는 중지미수로 볼 수 없다.

②다른 공범의 범행을 중지하게 하지 아니한 이상 자기만의 범의를 철회 또는 포기하여도 중지미수로는 인정될 수 없다.

③신용카드를 절취한 사람이 대금을 결제하기 위하여 신용카드를 제시하고 카드회사의 승인까지 받았다면 매출전표에 서명한 사실이 없고 최종적으로 매출취소로 거래가 종결되었더라도 신용카드부정사용죄는 기수에 이르렀다고 보아야 한다.

④준강도는 강도죄의 예에 따라 처벌되므로 준강도죄의 기수 여부는 절도행위의 기수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문 14.죄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사람을 살해한 후 사체를 다른 곳으로 옮겨 유기한 경우 살인죄와 사체유기죄의 실체적 경합이 성립한다.

②은행예금통장을 절취하고 이를 이용하여 마치 진실한 명의인이 예금을 찾는 것처럼 은행원을 기망하여 예금을 인출한 경우 절도죄 외에 따로 사기죄가 성립한다.

③타인의 사무를 업무로 처리하는 자가 본인을 기망하여 재산상 이익을 취하고 본인에게 재산상 손해를 가한 경우 사기죄와 업무상배임죄의 상상적 경합이 성립한다.

④배우자 있는 자의 허락을 받아 그 집에 들어가 그와 간통을 한 경우 간통죄만 성립할 뿐이고 별도로 주거침입죄는 성립하지 않는다.

 

문 15.S회사의 대표이사인 甲은 전임 대표이사가 A와 B에게 회사소유의 상가를 분양하여 대금전액을 완납 받았음을 알면서도 乙과 공모하여 이중분양하기로 하고 乙에게 위 상가의 소유권이전등기를 해 주었다. 甲과 乙의 죄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배임죄에 있어서 타인의 사무를 처리할 의무의 주체가 법인이 되는 경우라도 법인은 사법상의 의무주체가 될 뿐 범죄능력이 없다.

②법인이 처리할 의무를 지는 타인의 사무에 관하여는 법인이 배임죄의 주체가 될 수 없고 그 법인을 대표하여 사무를 처리하는 자연인인 대표기관이 배임죄의 주체가 된다.

③「형법」은 배임죄에 관하여 양벌규정을 두고 있으므로 대표이사 甲 이외에 S회사에 대해서도 벌금형을 부과할 수 있다.

④乙이 상가가 A와 B에 매도된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 甲과 공모하여 자기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함으로써 甲의 배임행위에 적극 가담한 경우 乙은 배임죄의 공동정범으로 처벌될 수 있다.

 

문 16.결과적가중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상해치사죄의 공동정범은 상해행위를 공동으로 할 의사가 있으면 되고 사망의 결과를 공동으로 할 의사는 필요 없으며, 여러 사람이 상해의 고의로 공동하여 범행을 하던 중 한 사람이 중상을 입혀 피해자가 사망에 이른 경우 나머지 사람은 사망의 결과를 예견할 수 있는 한 상해치사죄의 죄책을 진다.

②현주건조물방화치사죄는 부진정 결과적가중범이므로 현주건조물에 방화하여 그 건조물에서 탈출하려는 사람을 막아 소사하게 한 경우 현주건조물방화치사죄만 성립하고 별도로 살인죄는 성립하지 않는다.

③부진정 결과적가중범에서 고의로 중한 결과를 발생하게 한 행위가 별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고 그 고의범에 대하여 결과적가중범에 정한 형보다 더 무겁게 처벌하는 규정이 있는 경우 그 고의범과 결과적가중범의 상상적 경합이 성립한다.

④부진정 결과적가중범에서 중한 결과의 고의범에 대하여 더 무겁게 처벌하는 규정이 없는 경우에는 결과적가중범이 고의범에 대하여 특별관계에 있으므로 결과적가중범만 성립하고 고의범에 대하여는 별도의 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문 17.정당방위와 긴급피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정당방위는 부당한 침해에 대한 방어행위인데 반해 긴급피난은 부당한 침해가 아닌 위난에 대해서도 가능하다.

②피고인이 스스로 야기한 강간범행의 와중에서 피해자가 피고인의 손가락을 깨물며 반항하자 물린 손가락을 비틀어 잡아 뽑다가 피해자에게 치아결손의 상해를 입힌 행위는 긴급피난에 해당하지 않는다.

③피고인이 경찰관의 불심검문을 받아 운전면허증을 교부한 후 경찰관에게 큰 소리로 욕설을 하였는데, 경찰관이 피고인을 모욕죄의 현행범으로 체포하려고 하자 피고인이 반항하면서 경찰관에게 상해를 가한 경우 피고인의 행위는 정당방위에 해당한다.

④정당방위와 달리 긴급피난에 있어 피난행위는 위난에 처한 법익을 보호하기 위한 유일한 수단일 필요는 없다.

 

문 18.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특별사면에 의하여 형의 집행이 면제된 후 3년 이내에 다시 금고 이상에 해당하는 죄를 범한 자에 대하여는 누범가중을 할 수 있다.

②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형의 집행유예기간 중에 다시 금고 이상에 해당하는 죄를 범한 자에 대하여는 누범가중을 할 수 없다.

③상습범 중 일부 행위가 누범기간 내에 있고 나머지 행위가 누범기간 경과 후에 행하여진 경우 그 행위 전부에 대하여 누범가중을 하는 것은 위법하다.

④누범가중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누범에 해당하는 전과사실과 새로이 범한 범죄 사이에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문 19.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구체적 위험범은 현실적 위험의 발생을 객관적 구성요건요소로 하지만 그 위험은 고의의 인식대상이 아니다.

②타인의 범죄행위를 인식하면서도 그것을 방지해야 할 직무상의 의무가 있는 자가 방지조치를 취하지 아니하여 타인의 실행행위를 용이하게 하는 경우에는 부작위에 의한 공동정범이 성립된다.

③부진정부작위범에 있어서 보증인지위와 보증의무를 구분하는 견해에 따르면 보증인지위에 관한 착오는 위법성의 착오가 된다.

④소극적 구성요건표지이론에 따르면 범죄의 성립단계는 총체적 불법구성요건(불법)과 책임으로 나누어지고,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관한 착오는 구성요건착오가 되어 고의가 부정되고 과실범 성립의 문제만 남는다.

 

문 20.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양심적 병역거부자에게 그의 양심상의 결정에 반한 행위를 기대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는 행위 당시의 구체적 상황을 기초로 하여 행위자의 관점에서 판단하여야 한다.

②강요된 행위(「형법」 제12조)에 의해 법익을 침해당하는 자는 자신의 법익을 침해하는 피강요자에 대하여 정당방위를 할 수 있다.

③행위당시의 판례에 의하면 처벌대상이 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던 행위를 사후적으로 판례를 변경하여 처벌하는 것은 형벌불소급의 원칙에 반한다.

④타인이 소유권을 포기하고 버린 물건으로 오인하여 이를 취득한 경우에는 절도죄의 고의가 부정되지 아니하나 정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책임이 조각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