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 1.재무정보의 질적특성 중 보강적 질적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①예측역할과 확인역할

검증가능성

③중립성

④완전성


 

문 2.(주)한국이 차입금 ₩1,000과 이자 ₩120을 현금으로 변제 및 지급하였다. 이 거래에 대한 분석으로 옳은 것은?

①(차)자산의 증가 (대)부채의 증가와 수익발생

②(차)자산의 증가 (대)자산의 감소와 수익발생

③(차)부채의 감소와 비용의 발생 (대)자산의 감소

④(차)자산의 증가와 비용의 발생 (대)자산의 감소

 

문 3.유형자산의 감가상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감가상각의 본질은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원가의 배분과정이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감가상각방법으로 정액법, 체감잔액법, 생산량비례법 등을 예시하고 있다.

감가상각방법은 자산에 내재된 미래 경제적 효익의 예상 소비형태를 반영하여야 한다.

감가상각방법이 체계적이어야 한다는 것은 한번 결정된 방법은 매기 계속해서 적용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문 4.(주)한국은 건물신축을 위해 영업용 토지를 ₩1,000,000에 매입하였다. 매입시 지급한 현금은 다음과 같다. 토지의 취득원가는?

구건물 철거비용 ₩225,000

소유권 이전 등기료 ₩70,000

취득세 ₩7,000

전세입주자 모집광고비 ₩80,000

1,382,000

1,302,000

1,077,000

1,000,000

 

문 5.다음은 (주)한국의 기말 현재 각 계정과목에 대한 잔액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금액은?

현금 ₩180 단기대여금 ₩120

매출채권 ₩267 대손충당금 ₩2

상품 ₩85 건물 ₩400

매입채무 ₩80 사채 ₩100

자본금 ( ) 이익잉여금 ₩250

①₩380

②₩620

③₩870

④₩1,050

 

문 6.다음의 보기 중 금융상품으로만 묶인 것은?

ㄱ.선급비용 ㄴ.투자사채 ㄷ.매출채권

ㄹ.대여금 ㅁ.이연법인세자산

①ㄱ, ㄴ, ㄷ

②ㄱ, ㄹ, ㅁ

③ㄴ, ㄷ, ㄹ

④ㄷ, ㄹ, ㅁ

 

문 7.다음은 (주)한국의 재무제표 자료이다. 당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단, 주어진 자료 이외에는 고려하지 않는다)

<재무상태표 자료>

당기말 전기말

매출채권(순액)₩130,000₩150,000

매입채무 ₩50,000₩40,000

토지₩590,000₩390,000

미지급급여 ₩50,000₩70,000

<손익계산서 자료>

당기순이익 ₩3,000,000

①₩2,850,000

②₩2,900,000

③₩2,950,000

④₩3,010,000

 

문 8.(주)한국은 2011년 1월 1일에 액면 ₩50,000의 사채(표시이자율 10%, 만기 3년)를 ₩47,600에 발행하였다. 동 사채로 인하여 만기까지 인식해야 할 이자비용 총액은?

①₩2,400

②₩15,000

③₩17,400

④₩22,500

 

문 9.(주)한국의 2012년 12월 31일 수정전시산표와 추가적 정보는 다음과 같다. 수정분개로 옳은 것은?

<수정전시산표>

계정과목

잔액

매출채권

₩200,000

선수수익

₩60,000

선급임차료

₩120,000

선급보험료

₩24,000

<추가적 정보>

ㄱ.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선수수익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용역을 제공하였다.

ㄴ.2012년 9월 1일 1년분의 보험료를 지급하고, 선급보험료로 회계처리하였다.

ㄷ.대금이 회수되지 않은 용역제공분 ₩6,000에 대하여 회계처리하지 않았다.

ㄹ.6개월분의 선급임차료에 대한 거래는 2012년 10월 1일에 발생하였다.

①ㄱ:(차)선수수익 20,000 (대)매출원가 20,000

②ㄴ:(차)선급보험료 8,000 (대)보험료 8,000

③ㄷ:(차)현금 6,000 (대)용역매출 6,000

④ㄹ:(차)임차료 60,000 (대)선급임차료 60,000

 

문 10.다음은 (주)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건물들에 대한 자료이다. 당기에 매각한 건물들의 취득원가는?

항목

금액

당기 건물 취득가액

210,000

당기 건물 감가상각비

110,000

건물의 기초장부금액

130,000

건물의 기말장부금액

220,000

당기에 매각한 건물의 감가상각누계액

40,000

10,000

50,000

90,000

120,000

 

문 11.(주)한국의 수정전시산표상 소모품은 160,000이고, 기말 현재 남아있는 소모품이 70,000이다. 수정분개로 옳은 것은?

①(차) 소모품비 90,000 (대) 소모품 90,000

②(차) 소모품비 70,000 (대) 소모품 70,000

③(차) 소모품 90,000 (대) 소모품비 90,000

④(차) 소모품 70,000 (대) 소모품비 70,000

 

문 12.(주)한국은 2012년 1월 1일에 영업을 시작하여 2012년 12월 31일 다음과 같은 재무정보를 보고하였다. 재무제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현금 ₩500,000 자본금 ₩200,000

사무용 가구 ₩1,000,000 재고자산 ₩350,000

매출 ₩3,000,000 미지급금 ₩200,000

잡비 ₩50,000 매출원가 ₩2,000,000

매입채무 ₩600,000 감가상각비 ₩100,000

재무상태표에 보고된 총자산은 ₩1,850,000이다.

재무상태표에 보고된 총부채는 ₩800,000이다.

손익계산서에 보고된 당기순이익은 ₩800,000이다.

재무상태표에 보고된 총자본은 ₩1,050,000이다.

 

문 13.(주)한국의 2012년도 거래는 다음과 같다. 계속기록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매출원가는? (단, 개별법을 적용한다)

○1월1일 전기이월된 상품은 ₩3,000이다.

2월9일 (주)대한으로부터 상품을 현금으로 구입하였는데, 매입대금 ₩8,000에는 매입운임 ₩1,000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3월8일 기초상품을 (주)민국에 현금으로 ₩4,000에 판매하였다.

7월9일 (주)대한으로부터 구입한 상품 중 절반을 (주)민국에 외상으로 ₩5,000에 판매하였다.

①₩7,500

②₩7,000

③₩4,500

④₩4,000

 

문 14.다음은 (주)한국의 기말 회계자료 중 일부이다. 포괄손익계산서에 보고될 매출액은?

기초상품재고액 ₩240 당기상품매입액 ₩400

기말상품재고액 ₩220 당기현금매출액 ₩100

매출총이익 ₩180 기초매출채권 ₩160

매출채권회수액 ₩520

①₩500

②₩600

③₩700

④₩800

 

문 15.다음은 (주)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금융자산에 관한 자료이다. 2011년 말 금융자산평가손익이 포괄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단, 매도가능금융자산은 중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

구분

2010.5.1

취득원가

2010.12.31

공정가치

2011.12.31

공정가치

단기매매금융자산

₩1,200,000

₩1,100,000

₩1,400,000

매도가능금융자산

₩1,000,000

₩1,500,000

₩1,700,000

①₩200,000

②₩300,000

③₩500,000

④₩900,000

 

문 16.다음은 (주)한국의 비품과 관련된 내용이다. 오류수정 분개로 옳은 것은?

(주)한국은 2011년 1월 1일 비품에 대해 수선비 ₩10,000을 비용으로 회계처리 했어야 하나 이를 비품의 장부가액에 가산하여 정액법으로 상각하였다. 2011년 1월 1일 수선비 지출시 비품의 잔여 내용연수는 5년이고 잔존가치는 없다. 2013년도 재무제표 마감 전 수선비 지출에 대한 오류가 발견되었다. (단, 법인세효과는 무시하며 해당 비품의 최초 취득원가는 ₩500,000이다)

(차) 이익잉여금 ₩10,000 (대) 비품 ₩10,000

감가상각누계액 ₩6,000 감가상각비 ₩6,000

(차) 이익잉여금 ₩10,000 (대) 비품 ₩10,000

감가상각누계액₩2,000 감가상각비 ₩2,000

(차) 이익잉여금 ₩4,000 (대) 비품 ₩10,000

감가상각누계액₩6,000

(차) 이익잉여금 ₩6,000 (대) 비품 ₩10,000

감가상각누계액 ₩6,000 감가상각비 ₩2,000

 

문 17.다음은 (주)한국의 외상거래와 관련된 내용이다. 2013년도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주)한국은 2012년 4월 1일 계약금 명목으로 거래처로부터 ₩20,000을 수령하고, 2013년 2월 1일 원가 ₩50,000인 제품을 ₩80,000에 외상으로 판매하였다. 외상대금 ₩60,000은 2014년 12월 1일에 회수할 예정이다. (단, 재고자산은 계속기록법을 적용한다)

선수금의 감소

수익의 증가

비유동자산의 증가

순유동자산의 증가

 

문 18.자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무상증자는 자본총계를 증가시킨다.

②주식분할은 총발행주식수를 증가시킨다.

③주식병합으로 자본총계는 변하지 않는다.

④주식배당은 자본금을 증가시킨다.

 

문 19.다음은 (주)한국의 재고자산과 관련된 자료이다. 기말재고자산액은? (단, 평균원가소매재고법을 적용한다)

구분

매출가격기준

원가기준

기초재고

₩200,000

₩150,000

당기 매입액

₩1,000,000

₩750,000

당기 매출액

₩900,000

200,000

210,000

225,000

250,000

 

문 20.다음의 (주)민국 주식에 대한 (주)한국의 회계처리로 옳지 않은 것은?

(주)한국은 2010년 1월 15일 (주)민국의 주식을 ₩1,000,000에 취득하면서 매도가능금융자산으로 분류하였다.

(주)민국 주식의 공정가치는 2010년 12월 31일 ₩900,000이고 2011년 12월 31일 ₩1,200,000이다.

2012년 1월 10일에 (주)민국 주식을 ₩1,200,000에 처분하였다.

2010년 12월 31일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실이 ₩100,000 계상된다.

2011년 12월 31일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이 ₩200,000 계상된다.

2011년 12월 31일 매도가능금융자산의 장부가액은 ₩1,200,000이다.

2012년 1월 10일 매도가능금융자산의 처분과 관련된 손익은 발생하지 않는다.

728x90
728x90

문 1.다음 중 그 잔액이 시산표의 대변에 나타나지 않는 항목은?

①대여금

②미지급비용

③자본금

④선수수익


 

문 2.「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의한 재무제표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재무상태표

②포괄손익계산서

③현금흐름표

④사업보고서

 

문 3.(주)한국은 2012년 초 기계장치를 ₩30,000에 취득하였다. 동 기계장치의 내용연수는 3년이고, 잔존가치는 ₩0이며,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한다. 2012년 말 순공정가치가 ₩15,000(사용가치 ₩14,000)으로 급격히 하락하여, (주)한국은 동 기계장치를 손상처리하였다. (주)한국이 원가모형을 채택할 때, 2012년에 인식할 유형자산 손상차손은?

①₩5,000

②₩6,000

③₩7,000

④₩8,000

 

문 4.기초 및 기말 상품재고액이 각각 ₩46,000과 ₩34,000이고, 당기의 매출총이익이 ₩48,000이며, 당기의 재고자산회전율이 4.8회일 때, 당기의 매출액은? (단, 재고자산회전율 계산시 평균금액을 이용한다)

①₩198,000

②₩200,000

③₩220,000

④₩240,000

 

문 5.2011년 8월 1일 (주)한국은 개당 ₩800의 선풍기 400개를 (주)서울에 판매를 위탁하고 운송비용 ₩1,000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2012년 12월 31일 현재 200개의 선풍기를 판매하고 200개는 남아 있으며 판매수수료 10%, 판매촉진비 ₩2,000을 차감한 잔액을 회수하였다. 2012년 12월 31일 현재 (주)한국의 재고자산 금액은?

①₩160,000         ②₩160,500           ③₩142,000         ④₩152,000

 

문 6.(주)한국은 보유하고 있는 토지에 대하여 2009년부터 매년 말 재평가모형을 적용하여 평가하고 있다. 다음은 (주)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토지의 장부가액과 공정가치에 대한 자료이다. 2012년 말 현재 (주)한국의 토지와 관련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은?

연도

장부가액

공정가치

2009

₩28,000

₩30,000

2010

₩30,000

₩27,000

2011

₩27,000

₩35,000

2012

₩35,000

₩31,000

①₩2,000

②₩3,000

③₩4,000

④₩5,000

 

문 7.(주)한국은 2010년 초에 기계장치를 취득하고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하였다. 기계장치의 취득원가는 ₩5,000이며, 내용연수는 4년, 잔존가액은 ₩1,000으로 추정하였다. 2012년 초에 기업환경의 변화로 기계장치의 내용연수가 2015년 말까지 연장될 것으로 추정하였다. 2012년부터 기계장치의 감가상각방법을 정액법에서 연수합계법으로 변경하기로 하였으며, 이러한 변경의 타당성은 인정된다. 2012년도 기계장치의 감가상각비는?

①₩600

②₩700

③₩800

④₩900

 

문 8.(주)한국의 2012년도 사업활동과 관련한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단, 이자지급은 재무활동으로 분류한다)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5,000,000 유형자산감가상각비 ₩750,000

유형자산손상차손 ₩260,000 유형자산처분이익 ₩340,000

매출채권증가 ₩290,000 재고자산감소 ₩300,000

매입채무증가 ₩250,000 미지급이자비용증가 ₩80,000

이자비용 ₩310,000 법인세비용 ₩1,500,000

미지급법인세증가 ₩250,000

①₩4,680,000

②₩4,760,000

③₩4,990,000

④₩5,020,000

 

문 9.(주)한국의 2012년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은 ₩30,000이다. 2011년 말 이연법인세부채는 ₩2,000이며, 2012년 말 현재 장래의 과세소득을 증가시키는 가산할 일시적 차이는 ₩10,000이다. 법인세율은 매년 30%로 일정하고, 법인세에 부가되는 세액은 없다고 가정한다. 2012년 법인세부담액이 ₩7,000일 경우 (주)한국의 2012년 당기순이익과 2012년 말 이연법인세자산(또는 이연법인세부채)은?

당기순이익이연법인세자산(부채)

①₩22,000이연법인세부채 ₩3,000

②₩22,000이연법인세자산 ₩3,000

③₩24,000이연법인세부채 ₩3,000

④₩24,000이연법인세자산 ₩3,000

 

문 10.12월 말 결산법인인 (주)한국은 당기와 전기금액을 비교표시하는 형태로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있다. (주)한국은 2011년 급여 ₩20,000에 대한 회계처리를 누락하고, 2011년도 결산이 마무리 된 후인 2012년 6월 30일에 동 급여를 지급하여 비용으로 계상하였다. (주)한국이 2012년 11월 1일에 이러한 오류를 발견하였다면, 전기오류수정을 위한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

(차변) 급 여 ₩20,000 (대변) 현 금 ₩20,000

(차변) 이익잉여금 ₩20,000 (대변) 급 여 ₩20,000

(차변) 급 여 ₩20,000 (대변) 이익잉여금 ₩20,000

(차변) 미지급급여 ₩20,000 (대변) 급 여 ₩20,000

 

문 11.「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른 비용을 기능별로 분류할 때, 다음 중 매출원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은?

①유형자산을 장부가액보다 낮은 가격으로 처분한다.

②주주총회의 의결에 따라 주주들에게 배당을 지급한다.

③제품 구매의 이행을 위한 계약금을 지급한다.

④공장 건물에 대한 감가상각비를 계상한다.

 

문 12.자산의 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역사적 원가는 자산의 보유에 따라 발생하는 손익을 무시한다.

취득시점에서 취득원가로 기록한 후 자산이나 부채의 기간경과에 따라 조정하는 상각후원가는 현행원가의 범주에 속한다.

순실현가능가치는 당해 자산이 현금 또는 현금등가액으로 전환될 때 수취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에서 이러한 전환에 직접 소요될 비용을 차감한 금액이다.

기업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측정기준은 역사적 원가이며 이러한 역사적 원가는 다른 측정기준과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문 13.(주)한국의 기초상품재고는 ₩200,000(원가), 당기매입액은 ₩900,000(원가), 매출액은 ₩1,000,000(매가)이며, 매출액기준 매출총이익률은 30%이다. 기말에 창고에 화재가 발생한 후 남은 상품이 ₩100,000(원가)일 때, 상품의 화재손실액은? (단, (주)한국은 매출총이익률법에 의하여 상품을 평가한다)

①₩100,000          ②₩200,000            ③₩300,000          ④₩400,000

 

문 14.(주)한국은 2010년 1월 1일에 기계장치를 ₩5,000,000에 매입하였다. 기계장치의 잔존가치는 ₩500,000이고, 내용연수는 5년이다. 매년 12월 31일에 감가상각을 실시하며, 2012년 12월 31일에 해당 기계를 ₩2,000,000에 매각했다. 해당 기계를 연수합계법으로 감가상각할 때, 매각시 인식할 유형자산처분손익은?

①유형자산처분이익 ₩500,000

②유형자산처분이익 ₩600,000

③유형자산처분손실 ₩500,000

④유형자산처분손실 ₩600,000

 

문 15.(주)한국은 액면가액 ₩5,000인 보통주 100주를 주당 ₩15,000에 발행하였다. 발행대금은 전액 당좌예금에 입금하였으며, 주식인쇄 등 주식발행과 직접 관련된 비용 ₩2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유상증자 이전에 주식할인발행차금 미상각 잔액 ₩400,000이 존재할 때, 동 유상증자 후 주식발행초과금의 잔액은?

①₩100,000

②₩500,000

③₩580,000

④₩980,000

 

문 16.사채할인발행차금의 상각이 당기순이익과 사채의 장부금액에 미치는 영향은?

당기순이익사채의 장부금액

①증가증가

②증가감소

③감소증가

④감소감소

 

문 17.(주)한국은 2011년 9월 5일에 취득한 (주)서울의 주식을 매도가능금융자산으로 분류한 후 2012년 12월 31일 현재에도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 동 주식의 공정가치가 다음과 같이 변화하였다면, (주)한국의 2012년 12월 31일의 분개는?

취득시 공정가치

공정가치(시가)

2011년

2011년 말

2012년 말

₩500,000

₩480,000

₩510,000

①(차변) 매도가능금융자산 ₩30,000

(대변)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실 ₩20,000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 ₩10,000

②(차변) 매도가능금융자산 ₩30,000

(대변)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 ₩30,000

③(차변)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실 ₩20,000

(대변) 매도가능금융자산 ₩20,000

④(차변) 매도가능금융자산 ₩10,000

(대변)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 ₩10,000

 

문 18.(주)한국은 사채할인발행차금을 액면이자를 지급하는 매년말 유효이자율법에 의하여 상각한다. 2012년 말 (주)한국의 분개가 다음과 같고, 분개 후 사채의 장부가액은 ₩167,000일 때, 사채의 유효이자율은?

(차변) 이자비용 40,000 (대변) 사채할인발행차금 7,000

현 금 33,000

①10%          ②15%                ③20%          ④25%

 

문 19.(주)한국의 당좌예금에 대한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2012년 12월 말의 정확한 당좌예금 잔액은?

2012년 12월 31일 (주)한국의 당좌예금계정 잔액은 ₩920,000이다.

은행계정명세서상의 2012년 12월 31일 잔액은 ₩1,360,000이다.

○은행계정명세서와 (주)한국의 장부를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60,000의 부도수표를 (주)한국은 발견하지 못했다.

-은행에서 이자비용으로 ₩5,000을 차감하였다.

-기발행미결제수표가 ₩520,000 있다.

마감시간이 경과한 후 은행에 전달하여 미기록된 예금은 ₩240,000이다.

자동이체를 시켜놓은 임차료가 ₩185,000 차감되었는데 (주)한국은 알지 못했다.

은행에서 (주)서울에 입금시킬 돈 ₩410,000을 (주)한국에 입금하였는데 (주)한국은 알지 못했다.

①₩670,000

②₩680,000

③₩690,000

④₩700,000

 

문 20.다음 (주)한국의 재무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2012년의 당기순이익은?

○2012년의 수정 전 당기순이익은 ₩46,000이다.

○기말에 발견된 오류는 다음과 같다.

-기말재고자산을 ₩10,000 과대계상하였다.

-선급비용 ₩5,000을 당기비용으로 처리하였다.

-미지급비용 ₩3,000을 누락하였다.

2012년 초에 현금으로 지급한 기계장치에 대한 자본적 지출액 ₩20,000을 수선비로 처리하였다.

-기계장치의 잔존가치는 없으며, 내용연수는 2012년 초부터 시작하여 5년이며,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한다.

법인세는 무시하며, 모든 오류는 중대하다고 가정한다.

①₩50,000

②₩54,000

③₩58,000

④₩64,000

728x90
728x90

문 1.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재무제표의 질적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신중한 회계처리는 목적적합성과 관련된 개념으로, 기업의 재무구조를 건실하게 만든다는 장점이 있다.

②감가상각방법을 정률법에서 정액법으로 변경하는 것은 비교가능성을 훼손시킬 수 있다.

③재무제표의 질적특성에는 이해가능성, 목적적합성, 신뢰성 및 비교가능성이 있다.

재무제표 정보가 신뢰성을 갖기 위해서는 편의가 없이 중립적이어야 한다.


 

문 2.잔액시산표의 차변금액합계와 대변금액합계를 일치하지 않게 하는 경우는?

개발비 계정의 잔액을 잔액시산표의 연구비 계정에 기입하였다.

매출채권 계정의 잔액을 잔액시산표의 영업권 계정에 기입하였다.

이자수익 계정의 잔액을 잔액시산표의 주식발행초과금 계정에 기입하였다.

④사채 계정의 잔액을 잔액시산표의 만기보유금융자산 계정에 기입하였다.

 

문 3.매도가능금융자산으로 인하여 수취한 현금배당액에 대한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

①재무상태표에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표시한다.

②매도가능금융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킨다.

③포괄손익계산서에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한다.

④포괄손익계산서에 수익으로 표시한다.

 

문 4.(주)한국의 재무상태표상 기말자산항목과 기말부채항목이 다음과 같을 경우 기말자본의 금액은?

상품 ₩500,000 선급비용 ₩100,000

매입채무 ₩120,000 비품 ₩200,000

미지급금 ₩50,000 현금 ₩60,000

매출채권 ₩140,000 선수수익 ₩70,000

①₩360,000           ②₩560,000              ③₩760,000           ④₩900,000

 

문 5.「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현금흐름표의 작성과 표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직접법과 간접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보고한다.

금융회사가 아닌 다른 업종의 경우 배당금의 지급은 영업활동 또는 재무활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금융회사가 아닌 다른 업종의 경우 이자수입 및 배당금 수입은 투자활동 또는 영업활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④법인세로 인한 현금흐름은 별도로 공시하지 않고 영업활동 현금흐름으로 분류한다.

 

문 6.「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개념체계에서 재무제표 작성과 관련된 기본가정으로 옳은 것은?

거래나 그 밖의 사건의 영향을 현금이나 현금성자산의 수취나 지급시점이 아니라 발생한 기간에 인식하며 해당기간의 장부에 기록하고 재무제표에 표시한다.

②전체 재무제표는 적어도 1년마다 작성한다. 다만, 보고기간이 1년을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과 사유, 재무제표에 표시된 금액이 완전하게 비교가능하지 않다는 사실을 추가로 공시하여야 한다.

기업을 소유주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회계단위로 간주하고, 이 회계단위의 관점에서 그 경제활동에 대한 재무정보를 측정․보고한다.

④「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달리 허용하거나 요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당기 재무제표에 보고되는 모든 금액에 대해 전기 비교정보를 공시한다.

 

문 7.자본이 증감될 수 있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

ㄱ. 주식배당

ㄴ. 임의적립금의 목적달성

ㄷ. 해외사업환산손실의 발생

ㄹ. 자기주식의 취득

①ㄱ, ㄴ

②ㄴ, ㄷ

③ㄷ, ㄹ

④ㄱ, ㄹ

 

문 8.(주)한국은 2011년 1월 1일 만기 3년, 연이자율 10%(매년 12월 31일 이자지급), 액면금액 ₩100,000인 사채를 유효이자율 8% 기준으로 ₩105,151에 발행하였다. (주)한국은 해당 사채를 2012년 12월 31일 ₩103,000에 조기상환을 하였다. 이러한 거래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사채발행차금은 유효이자율법으로 상각하며,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한다)

2011년 1월 1일 사채할증발행차금 ₩5,151을 대변에 기록한다.

2011년 12월 31일 사채할증발행차금의 환입액은 ₩1,588이다.

③2012년 12월 31일 사채이자비용은 ₩8,285이다.

④2012년 12월 31일 사채상환손실 ₩152을 차변에 기록한다.

 

문 9.(주)한국의 2011년 당기순이익은 ₩3,000,000이다. (주)한국의 2011년 1월 1일 유통주식수는 10,000주이며, 4월 1일 자기주식 1,000주를 취득하였고, 10월 1일에는 유상증자를 통해 3,000주를 발행하였다. 2011년 우선주배당금이 ₩400,000인 경우, (주)한국의 주당순이익은? (단, 가중평균유통주식수는 월수로 계산한다)

①₩200

②₩250

③₩260

④₩300

 

문 10.2011년 12월 1일 거래에 대한 회계처리과정에서 나타나는 계정과 금액으로 옳은 것은? (단, 자기주식의 회계처리는 원가법으로 한다)

○2011년 1월 1일:보통주자본금 ₩10,000이고, 주식발행초과금 ₩2,000이며, 이익잉여금 ₩1,000이다.

2011년 4월 1일:자기주식 10주를 주당 ₩700에 취득하였다. 취득한 자기주식은 주당 ₩600(주당액면금액 ₩500)에 발행한 보통주이었다.

2011년 12월 1일:2011년 4월 1일에 취득한 자기주식 5주를 소각하였다.

①자기주식처분손실 ₩1,000

②감자차손 ₩500

③감자차익 ₩500

④자기주식처분이익 ₩1,000

 

문 11.자산총액, 부채총액 및 자본총액 어느 것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거래는?

①건물을 장부금액으로 매각하고, 매각대금을 당좌예입하였다.

보유 중인 단기매매금융자산에 대하여 평가손실이 발생하였다.

③주주총회에서 현금배당을 실시하기로 결의하였다.

④보유 중인 자기주식을 매각하였다.

 

문 12.「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지 않는 것은?

①결산일 현재 만기가 3개월 이내인 특정현금과 예금

②취득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인 상환우선주

③취득당시 3개월 이내의 환매조건인 환매채

④당좌예금

 

문 13.「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의해 보고할 때, 해당하는 금액이 있을 경우 재무상태표에 적어도 표시해야 할 항목이 아닌 것은?

①생물자산

②유동자산

③투자부동산

④지분법에 따라 회계처리하는 투자자산

 

문 14.(주)한국은 2006년 초에 기계장치를 ₩5,000,000에 구입하였으며, 이 기계장치의 잔존가치는 없고 내용연수는 10년이며, 감가상각은 정액법에 의한다. 이 기계장치를 5년간 사용한 후 2011년 초에 ₩1,500,000을 들여 대폭적인 수선을 한 결과 내용연수가 3년 더 연장되었다. 2011년 말에 계상해야 할 감가상각비는?

①₩312,500           ②₩500,000          ③₩520,000           ④₩800,000

 

문 15.다음과 같은 누락 사항을 반영하기 전 당기순이익이 ₩500,000인 경우, 수정후 당기순이익은?

보험료 중 선급분 ₩10,000

이자비용 중 미지급분 ₩13,000

비용으로 처리한 소모품 중 미사용액 ₩18,000

가수금 중 거래처 외상대금 회수분 ₩20,000

①₩485,000        ②₩505,000             ③₩515,000         ④₩535,000

 

문 16.(주)한국의 2011년 12월 31일 현재 당좌예금계정잔액은 ₩200,000이고, 은행의 잔액증명서상 잔액은 ₩150,000으로 그 차이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12월 31일 회사는 현금 ₩150,000을 당좌예입하였으나, 은행에서는 입금처리되지 않았다.

12월 10일 발행된 수표 중 지급제시되지 않은 수표 ₩50,000이 있다.

12월 30일 거래처인 (주)충청이 ₩200,000을 (주)한국의 당좌예금계좌에 입금하였으나, 회사에는 통보되지 않았다.

12월 31일 은행은 차입금에 대한 이자 ₩50,000을 회사의 당좌예금계좌에서 차감하였지만 회사는 이에 대한 회계처리를 하지 않았다.

12월 25일 외상매출금을 회수하여 당좌예입한 수표 ₩100,000을 ₩150,000으로 기록하였다.

12월 27일 비품을 처분한 대가로 받은 수표 ₩50,000을 당좌예입하였으나 부도처리되었다.

2011년 12월 31일 현재 재무상태표에 보고되어야 할 정확한 당좌예금잔액은?

①₩150,000           ②₩200,000             ③₩250,000           ④₩300,000

 

문 17.(주)한국의 외부감사를 맡고 있는 A회계법인은 2011년도 12월 말 현재 미착상품(FOB 선적지 인도기준) ₩18,000에 대해 장부에는 매입으로 기록되었으나, 실지재고조사과정에서 기말재고자산에는 포함되지 않았음을 발견하였다. 수정전시산표상 기초재고자산은 ₩50,000이고, 당기매입액은 ₩180,000이고, 실지재고조사법에 의해 조사된 기말재고자산은 ₩48,000이었다. 감사과정에서 발견된 사항을 반영하였을 경우 매출원가는? (단, 재고감모손실은 없다)

①₩164,000          ②₩178,000             ③₩182,000        ④₩200,000

 

문 18.(주)한국은 포괄손익계산서를 현금주의회계에 의해 작성하였으나 발생주의회계로 전환하려고 한다. 현금주의회계에 의한 2011년도 수익은 ₩3,800,000이고, 기말매출채권은 ₩870,000이고, 기초매출채권은 ₩350,000이고, 선수수익은 ₩30,000이라고 할 때, 발생주의회계에 따른 2011년도 수익은?

①₩3,310,000              ②₩3,830,000              ③₩4,290,000               ④₩4,320,000

 

문 19.다음은 2011년도 (주)한국의 매입채무와 관련된 자료이다.

기초매입채무 ₩80 당기매입액 중 현금지급액 ₩350

기초상품재고 ₩120 기말상품재고 ₩110

당기매출액 ₩500 매출총이익률 20%

2011년 말 재무상태표상 표시되는 매입채무 금액은? (단, 제시된 자료 이외의 사항은 고려하지 않는다)

①₩110              ②₩120           ③₩130                 ④₩140

 

문 20.기업의 안전성을 나타내는 비율이 아닌 것은?

①부채비율          ②자기자본비율            ③이자보상비율               ④배당성향

728x90
728x90

문 1.회계처리를 왜곡시켜 당기 경영성과나 당기 말 재무상태를 실제보다 좋게 표시한 기업이 있다. 이 기업이 실제보다 당기 경영성과나 당기 말 재무상태를 좋게 표시하기 위하여 회계처리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①자산 과소계상 또는 부채 과대계상

②자산 과소계상 또는 비용 과대계상

③비용 과대계상 또는 수익 과소계상

④자산 과대계상 또는 부채 과소계상


 

문 2.2009년 7월 1일 (주)갑의 한 창고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으나신속한 화재진압으로 보관 중인 상품 중 60%는 피해를 입지 않았다. 2009년도 기초상품재고액은 ₩5,000이었으며, 화재직전까지의 매입액과 매출액은 각각 ₩17,000과 ₩20,000이었다. 이 회사의 평균 매출총이익률이 20%라고 할 때, 화재로 인한 재고손실액을 추정하면?

①₩2,400           ②₩4,000               ③₩5,000           ④₩6,000

 

문 3.(주)갑은 2008년도 중에 (주)을의 발행주식 10%에 해당하는 500주를 장기투자목적으로 주당 ₩1,000에 취득하였다. 2008년도 말 (주)을의 1주당 시장가격은 ₩1,200이고, 2009년도 말 1주당 시장가격은 ₩900이었다. (주)갑이 매도가능증권으로 보유하고 있는 (주)을 주식과 관련하여 2009년도 말 현재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표시될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으로 옳은 것은?

①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 ₩50,000

②매도가능증권평가손실 ₩50,000

③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 ₩150,000

④매도가능증권평가손실 ₩150,000

 

문 4.기업회계기준에 의한 희석주당이익을 산정할 때, 잠재적보통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전환우선주          ②신주인수권           ③주식선택권          ④상환우선주

 

문 5.손익계산서의 작성과 표시에 관한 기업회계기준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매출원가의 산출과정은 손익계산서 본문에 표시하거나 주석으로 기재한다.

②중단사업손익은 중단사업영업손익과 영업외손익을 합한 금액에서 중단사업손익법인세비용을 차감하는 형식으로 손익계산서 본문에 표시한다.

③당기순손익은 계속사업손익에 중단사업손익을 가감하여 산출한다.

④당기순손익에 기타포괄손익을 가감하여 산출한 포괄손익의 내용은 주석으로 기재한다.

 

문 6.시산표를 작성하는 목적 중의 하나는 회계기록상의 오류를 발견하는 데 있다. 다음 중 시산표에서 발견될 수 없는 오류는?

①특정거래를 중복하여 기입한 오류

②총계정원장의 대변금액을 시산표의 차변에 기입한 오류

③총계정원장의 현금계정 잔액을 시산표에 기입하지 않은 오류

④분개장의 차변금액을 총계정원장의 대변에 기입한 오류

 

문 7.(주)갑은 2001년도 초에 3년 만기, 액면가 ₩1,000,000인 사채를 발행하였다. 액면이자율은 6%이고, 발행당시 유효이자율은 5%이며, 이자는 매년 말에 지급하기로 하였다. (주)갑이 사채발행차금을 매 회계연도 말에 유효이자율법으로 상각할 경우, 옳지 않은 것은? (단, 회계기간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다)

(주)갑의 2001년도 초 사채의 발행가액은 2003년도 말 사채의 상환가액보다 크다.

②(주)갑의 2002년도 말 사채의 장부가액은 2001년도 말 사채의 장부가액보다 작다.

(주)갑의 2002년도 사채이자비용은 2001년도 사채이자비용보다 작다.

④(주)갑의 2002년도 사채이자비용은 2002년도 현금이자지급액보다 크다.

 

문 8.(주)갑은 매출채권의 회수불능액을 연령분석법에 의하여 추정한다. 2009년 12월 31일 매출채권에 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2009년 12월 31일 현재 수정전시산표상의 대손충당금잔액이 ₩450,000일 경우 기말에 계상할 대손상각비는?

경과기간

매출채권 금액

대손추정률

30일 이하

2,000,000

5%

31일~60일

1,500,000

10%

61일~180일

1,000,000

30%

181일 이상

500,000

50%

①₩350,000          ②₩450,000          ③₩800,000          ④₩1,250,000

 

문 9.기말 결산시 수정분개를 할 때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차기에 현금유입는 유출을 수반하는 계정 중에 ‘미수수익’과 ‘미지급비용’이 있다. 두 계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당기 미지급비용이 증가하든 미수수익이 증가하든 차기 현금이 감소한다.

당기 미지급비용이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차기 현금이 감소하지만 당기 미수수익이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차기 현금은 증가한다.

당기 미지급비용이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차기 현금이 증가하지만 당기 미수수익이 증가하면 차기 현금의 증감에는 영향이 없다.

당기 미지급비용이 증가하든 미수수익이 증가하든 차기 현금이 증가한다.

 

문 10.(주)갑의 당기 매출액은 50,000,000이다. 그리고 (주)갑의 기말 현재 유동부채는 ₩3,000,000, 유동비율은 300%, 당좌비율은 200%이다. 재고자산회전율이 12회일 경우 매출총이익은? (단, 재고자산회전율은 기말재고자산과 매출원가를 기준으로 산정된 것이다)

10,000,000             ②14,000,000             20,000,000             ④24,000,000

 

문 11.우리나라의 주식회사는 직전연도의 자산총액이 100억원 이상인 경우에 의무적으로 공인회계사로부터 외부회계감사를 받아야 한다. 이와 같이 기업이 공인회계사로부터 매년 회계감사를 받는 주요 이유는?

①외부전문가의 도움에 의한 재무제표 작성

②회사 종업원들의 내부공모에 의한 부정과 횡령의 적발

③경영자의 재무제표 작성 및 표시에 대한 책임을 외부전문가에게 전가

④독립된 외부전문가의 검증을 통한 회계정보의 신뢰성 제고

 

문 12.회계상의 거래는 분개와 전기의 과정을 거쳐 계정에 기입된다. 다음은 어떤 계정에 대한 전기내역의 일부이다. 이때 ( ㉠ ) 속에 기입할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

( ㉠ )

(차변)

(대변)

3월 5일 매출 ×××

3월 30일 대손충당금 ×××

3월 10일 현금 ×××

3월 15일 매출환입 ×××

①매출채권           ②상품            ③대손상각비              ④매입채무

 

문 13.(주)갑의 2009년도 기초자산은 400,000, 기초부채는 200,000, 기말자산은 600,000, 기말부채는 340,000이다. 2009년도 총비용이 350,000인 경우 2009년도의 총수익은? (단, (주)갑의 자본은 자본금과 이익잉여금으로만 구성되어 있고, 2009년도 중에 증자(또는 감자)나 배당은 없었다고 가정한다)

340,000           ②360,000           410,000           ④460,000

 

문 14.보수주의는 오랜 회계관행 중의 하나이다. 다음의 회계처리내용 중 보수주의 개념에 가장 부합되는 회계처리는?

유형자산의 수선·유지를 위한 지출을 수익적 지출보다는 자본적 지출로 처리

유형자산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가액에 미달하는 경우에 그 차액을 손실로 처리

③물가상승시 선입선출법에 의한 재고자산의 평가

④경상개발비를 무형자산인 개발비로 처리

 

15.(주)갑은 판매한 제품에 대해 품질보증을 실시하고 있다. 2009년도 말 현재 품질보증과 관련하여 미래에 지출될 충당부채의 최선의 정치는 1,700이고, 수정전시산표의 제품보증충당부채 계정잔액은 1,000이다. 2009년도 중에 품질보증과 관련되어 100의 지출이 있었다. 2009년도 재무제표에 보고될 제품보증충당부채와 제품보증비용은?

       제품보증충당부채                   제품보증비용

1,000                                    700

1,600                                    800

1,700                                    700

1,700                                    800

 

문 16.(주)갑은 회사사옥 건립을 목적으로 기존건물이 있는 토지를 300,000에 취득하였다. 이 토지의 취득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추가지출과 수입이 발생하였다. 토지의 취득원가는?

기존건물철거비용 20,000

철거건물 부산물 매각액 4,000

취득세와 등록세 6,000

토지의 구획정리비용 3,000

285,000           ②319,000              325,000            ④333,000

 

문 17.(주)갑은 제조기업이다. 다음 자료에 의하여 당기의 매출원가를 산출하면?

기초제품재고액

1,500

당기총제조비용

5,000

기초재공품재고액

1,000

기말재공품재고액

800

기말제품재고액

1,200

4,500           ②5,000            5,300          ④5,500

 

문 18.(주)갑은 2009년도 초에 내용연수가 3년이고 잔존가치는 없는 기계장치를 구입하였다. 회사는 감가상각방법으로 정액법, 연수합계법, 중체감법을 고려하고 있다. 이 기계장치를 구입한 후 3년째 되는 마지막 회계연도에 보고할 감가상각비가 큰 순으로 감가상각방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정액법>연수합계법>이중체감법

②정액법>이중체감법>연수합계법

③이중체감법>정액법>연수합계법

④이중체감법>연수합계법>정액법

 

문 19.(주)갑의 2009년도 수정후시산표의 계정잔액은 다음과 같다. (주)갑의 2009년도 말 자본의 총계를 계산하면?

매출채권

₩3,600

매입채무

3,450

건물

89,800

현금

7,800

자본금

30,000

보험료

3,300

급여

18,000

용역매출

95,250

중간배당

5,000

이익잉여금(기초)

6,800

감가상각비

22,000

단기차입금

14,000

①₩76,950            ②₩80,450           ③₩83,750            ④₩85,250

 

문 20.(주)갑의 10월 한 달간의 상품매입과 매출에 관한 자료는 아래와 같다. 회사는 실사법에 의해 기말재고수량을 파악하고, 원가흐름에 대한 가정으로 선입선출법을 적용한다. 10월 31일 현재 실사결과 상품재고수량은 100개로 파악되었다. (주)갑의 10월 31일 현재 상품재고액은?

일자별

내역

수량

매입(또는 판매)단가

금액

10월1일

전월이월

100개

1,000

100,000

10월10일

매입

300개

1,200

360,000

10월11일

매입에누리(10월10일 매입상품)

30,000

10월20일

매출

350개

2,000

700,000

10월25일

매입

50개

1,300

65,000

65,000            ②75,000             120,000             ④125,000

728x90
728x90

문 1.시산표에서 대차평형의 원리를 이용하여 오류를 적발할 수 있는 경우는?

①특정 거래 전체를 이중으로 기입한 경우

②분개할 때 잘못된 계정과목을 사용한 경우

③특정 거래 전체를 누락시킨 경우

④분개할 때 대변계정과목의 금액을 잘못 기입한 경우


 

문 2.(주)갑은 거래처의 부도로 인하여 회수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된 매출채권 ₩1,000,000을 대손처리하였다. 이 때 대손충당금 잔액은 ₩700,000이었다. 매출채권의 대손확정에 관한 회계처리가 (주)갑의 유동자산과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옳은 것은?

     유동자산                   당기순이익

① 감소                             감소

② 감소                             불변

③ 불변                             감소

④ 불변                             불변

 

문 3.회계기말의 유가증권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단기매매증권과 매도가능증권은 원칙적으로 공정가치로 평가한다.

②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은 당기손익항목으로 처리한다.

③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은 당기손익항목에 포함하지 않고 자본항목으로 처리한다.

시장성 있는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은 공정가치로 평가하고 공정가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분가액으로 평가한다.

 

문 4.다음은 (주)갑의 2009년도 회계자료의 일부이다. (주)갑의 2009년도 매출과 매입은 모두 외상으로 거래되었다. (주)갑의 2009년도 손익계산서에 보고될 매출총이익은?

기초매출채권₩400,000

기초매입채무300,000

기초상품재고액150,000

기말상품재고액300,000

기말매출채권₩750,000

기말매입채무400,000

매출채권회수액1,235,000

매입채무지급액1,270,000

①₩345,000              ②₩355,000          ③₩365,000              ④₩375,000

 

문 5.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당기순이익을 산정하면?

기초자산₩600,000

기말자본500,000

기초부채₩400,000

기중의 추가출자금액200,000

①₩100,000          ②₩200,000            ③₩300,000          ④₩400,000

 

문 6.다음은 2009년 4월 1일에 영업을 시작한 (주)갑의 4월의 상품 매입과 매출 자료이다. (주)갑은 매출원가를 산정하기 위해 수량파악은 계속기록법, 원가흐름은 선입선출법을 적용한다.

일자별

매입

매출

수량(개)

구입단가(₩)

수량(개)

판매단가(₩)

4월 1일

1,000

25

4월 8일

900

40

4월 14일

600

30

4월 20일

500

50

4월 28일

800

40

4월 30일

600

65

(주)갑의 2009년 4월 30일의 재고상품금액과 4월의 매출총이익은?(단, 4월 말 현재 재고상품의 실사결과 재고수량은 400개이다)

      재고상품금액           매출총이익

① ₩16,000                    ₩43,000

② ₩10,000                    ₩35,000

③ ₩16,000                    ₩41,000

④ ₩10,000                    ₩36,000

 

문 7.다음은 12월 말 결산법인인 (주)갑의 설비자산에 관한 자료이다.

◦2003년 1월 1일에 ₩120,000의 기계를 취득하였고, 취득당시 운반비와 설치비 ₩30,000이 추가로 발생하였다. 내용연수는 5년이며 잔존가치는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감가상각방법으로 정액법을 적용하였다.

2006년 1월에 대대적인 유지보수를 위해 ₩40,000을 지출하였고, 이로 인하여 내용연수가 3년이 더 증가하였다. 그러나 잔존가치는 여전히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2009년 1월 1일에 이 기계를 ₩60,000에 처분하였다.

2009년 1월 1일 (주)갑의 기계처분에 대한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

         (차변)                  (대변)

①현 금 ₩60,000             기 계₩190,000

감가상각누계액 150,000   기계처분이익20,000

②현 금 ₩60,000             기 계 ₩150,000

감가상각누계액 90,000

③현 금 ₩60,000             기 계₩150,000

감가상각누계액 124,800   기계처분이익34,800

④현 금 ₩60,000             기 계₩190,000

감가상각누계액 123,333

기계처분손실 6,667

 

문 8.다음은 (주)갑의 자본관련 계정들이다. (주)갑의 자본총액은?

자기주식₩13,000

주식발행초과금57,000

자본금500,000

미교부주식배당금10,000

이익준비금₩100,000

자기주식처분이익8,000

별도적립금18,000

①₩670,000        ②₩680,000         ③₩683,000        ④₩693,000

 

문 9.(주)갑의 2009년 12월 31일 현재 실제재고액은 ₩100,000이다. 실제재고액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반영되지 않았으며, 주어진 금액은 모두 원가이다.

2009년 12월 29일 FOB선적지인도조건으로 구입한 상품 ₩15,000이 12월 31일 현재 운송 중에 있다.

2009년 12월 26일 FOB도착지인도조건으로 판매한 상품 ₩20,000이 12월 31일 현재 운송 중에 있다.

◦위탁판매분 중 수탁자가 12월 31일까지 판매하지 못한 위탁품 ₩30,000이 있다.

◦시용판매분 중 고객이 12월 31일까지 매입의사를 표시하지 않은 시송품 ₩20,000이 있다.

위 사항을 모두 반영할 경우 2009년 12월 31일 올바른 재고자산은?

①₩155,000         ②₩165,000        ③₩170,000         ④₩185,000

 

문 10.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간접법으로 계산하면?

당기순이익₩5,000

유형자산처분이익1,000

재고자산의 증가500

재고자산감모손실₩700

감가상각비400

①₩3,500       ②₩3,900         ③₩4,100       ④₩4,600

 

문 11.(주)갑은 2009 회계연도 말 재고실사할 때 외부에 판매를 위탁한 적송품 중 미판매된 상품을 누락시킨 사실이 회계감사 도중에 발견되었다. 이 오류가 2009 회계연도의 기말재고자산, 매출원가, 기말이익잉여금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기말재고자산             매출원가               기말이익잉여금

① 영향 없음                   과소계상                 과대계상

② 과소계상                    과대계상                 과소계상

③ 과소계상                    과대계상                 과대계상

④ 과대계상                    영향 없음                과소계상

 

문 12.(주)갑에서는 2009년 중 재고자산의 도난사건이 발생하였다. (주)갑의 2009년 1월 1일 기초재고자산은 ₩500이며, 2009년 중의 매입액은 ₩1,500이고, 매출액은 ₩2,000이다. (주)갑의 매출총이익률은 매년 30%로 일정하며, 2009년 중에도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재고자산 실사액이 ₩400이라면 재고자산의 도난추정금액은?

①₩100         ②₩200             ③₩1,000          ④₩1,100

 

문 13.자본변동표의 금액에 변화를 초래하지 않는 것은?

①자기주식취득

②유상증자

③회계정책의 변경으로 인한 누적 효과

④이익잉여금의 법정적립금 처분

 

문 14.발생주의회계를 사용하는 (주)갑의 2009년 손익계산서상의 이자비용은 ₩1,000,000 급여는 ₩5,000,000이었다. (주)갑의 2008년 말과 2009년 말 대차대조표의 관련계정이 다음과 같을 때 2009년에 현금으로 지급한 이자비용과 급여는?

구 분

2008년 말

2009년 말

미지급이자비용

₩200,000

₩100,000

미지급급여

300,000

500,000

      이자비용             급 여

①₩1,100,000           ₩4,800,000

② ₩900,000             ₩5,200,000

③₩1,100,000           ₩5,200,000

④₩1,000,000           ₩5,000,000

 

문 15.재무회계개념체계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회계기준제정기구가 회계기준을 제정 또는 개정함에 있어서 기본적 방향과 일관성 있는 지침을 제공한다.

외부감사인이 감사의견을 표명하기 위해 회계기준 적용의 적정성을 판단하거나, 회계기준이 미비된 거래 또는 경제적 사건에 대한 회계처리의 적정성을 판단하는데 일관된 지침을 제공한다.

재무회계개념체계가 특정 회계기준과 상충되는 경우에는 재무회계개념체계가 특정 회계기준에 우선한다.

④재무제표 이용자가 회계기준에 의해 작성된 재무제표를 해석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재무제표작성에 기초가 되는 기본가정과 개념을 제시한다.

 

문 16.매출채권의 대손 회계처리 중 옳지 않은 것은?

기말 현재 대손충당금 잔액이 없는 상태에서 매출채권 ₩1,000이 대손 추정되는 경우

(차) 대손상각비 ₩1,000           (대) 대손충당금 ₩1,000

②대손충당금 잔액이 ₩2,000인 상태에서 매출채권 ₩1,000이 회수 불가능한 것으로 확정된 경우

(차) 대손충당금 ₩1,000           (대) 매출채권 ₩1,000

대손충당금 잔액이 ₩500인 상태에서 매출채권 ₩1,000이 회수 불가능한 것으로 확정된 경우

(차) 대손충당금 ₩500             (대) 매출채권 ₩1,000

대손상각비 500

대손으로 확정된 ₩1,000의 매출채권 가운데 ₩500을 현금으로 회수한 경우

(차) 현금 ₩500                      (대) 매출채권 ₩500

 

문 17.주식분할과 주식배당이 다음 항목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항 목                           주식분할                     주식배당

① 유통주식수                        증가                           증가

② 이익잉여금                        변동 없음                  변동 없음

③ 총자본                              감소                           변동 없음

④주당액면가액(보통주)          감소                             증가

 

문 18.자본항목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기업합리화적립금, 재무구조개선적립금 등과 같은 기타 법정적립금을 적립할 경우 적립한 금액과 동일한 현금을 금융기관에 예치시켜야 한다.

②매 결산기마다 금전배당액의 10% 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을 자기자본의 50%에 달할 때까지 이익준비금을 적립해야 한다.

③회계정책변경의 누적효과와 중대한 전기오류수정손익은 손익계산서에 보고해야 한다.

배당건설이자가 발생한 경우에는 자본조정으로 처리하고, 배당건설이자의 상각은 이익잉여금으로 처리해야 한다.

 

문 19.아래의 (가)와 (나)에 해당하는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은?

(가)는 미래사건의 결과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거나 과거의 평가를 확인 또는 수정시켜 줄 수 있고, 회계정보이용자에게 정보가 적시에 제공되는 질적 특성을 말한다.

(나)는 정보가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충실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중립적인 입장에서 마련되었고, 객관적으로 검 가능한 질적 특성을 말한다.

       (가)               (나)

① 유용성            신뢰성

② 적시성            중립성

③이해가능성       검증가능성

④목적적합성       신뢰성

 

문 20.(주)갑은 2007년 1월 1일 액면가액이 ₩10,000이고 표시(액면)이자율이 연 8%이며, 매년 12월 31일에 이자를 지급하는 만기 3년의 사채를 ₩9,503에 발행하였다. 이 사채의 발행당시 시장이자율은 10%이며, 시장이자율과 유효이자율은 같다. 사채할인발행차금은 유효이자율법으로 상각한다. 2007년 말 대차대조표상 사채장부가액은 ₩9,653이고, 위 사채외의 차입금은 없다. (주)갑의 2008 회계연도(2008.1.1~12.31) 손익계산서상의 사채이자비용과 2008년 말 대차대조표상의 사채장부가액의 합계액은?(단, 금액계산 시 원단위 미만은 반올림한다)

①₩10,303           ②₩10,618            ③₩10,783           ④₩10,800

728x90
728x90

문 1.(주)한국은 2007년 초에 주식발행을 통해 ₩20,000의 자금을 조달하였다. 주식은 액면발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분개하였다.

(차) 현금 ₩20,000

(대) 매출 ₩20,000

(주)한국의 회계담당자는 2007년도의 회계기록을 마감하기 전에 위와 같은 기록상의 오류를 발견하였다. 이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분개로 가장 옳은 것은?

①(차) 현 금 ₩20,000(대) 자 본 금 ₩20,000

②(차) 매 출 ₩20,000(대) 자 본 금 ₩20,000

③(차) 이익잉여금 ₩20,000(대) 자 본 금 ₩20,000

④(차) 매 출 ₩20,000(대) 이익잉여금 ₩20,000


 

문 2.다음 현금흐름표에 관한 설명에서 ( )에 들어갈 단어를 순서대로 옳게 연결한 것은?

현금흐름표를 간접법으로 작성할 때, 당기순이익과 기타 자산․부채의 변동 등 다른 조건이 일정할 경우, 매출채권의 증가는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 ㉠ )를 가져오고, 매입채무의 감소는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 ㉡ )를 가져온다.

    ㉠                                         

①증가       증가             ②증가          감소

③감소       감소             ④감소          증가

 

문 3.(주)갑을은 판매비와관리비를 지출 시점에서 모두 비용으로 기록하고 있다. 2007년 5월 1일에 1년분 보험료 ₩12,000을 지급하였다. (주)갑을이 2007년 말에 수행할 결산수정분개와 이를 누락했을 때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가장 옳게 표시한 것은?

수정분개:(차) 선급보험료 ₩4,000 (대) 보험료 ₩4,000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 미치는 영향:₩4,000 과소계상

수정분개:(차) 보험료 ₩8,000 (대) 선급보험료 ₩8,000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 미치는 영향:₩4,000 과소계상

수정분개:(차) 선급보험료 ₩4,000 (대) 보험료 ₩4,000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 미치는 영향:₩4,000 과대계상

수정분개:(차) 보험료 ₩8,000 (대) 선급보험료 ₩8,000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 미치는 영향:₩4,000 과대계상

 

문 4.(주)ABC가 계속기록법과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여 계산한 기말상품 원가(단위원가)는 @₩10이다. 기말 현재 당해 상품의 순실현가능가치(예상판매가격에서 판매비용을 차감)는 @₩9이다. 그리고 장부상 기말상품 수량은 100개이며, 실사에 의한 기말상품 수량은 90개이다. (주)ABC가 기말상품에 대한 평가손실을 기록하기 위해 수행할 결산수정분개로서 가장 옳은 것은?

①(차) 재고자산감모손실 ₩90 (대) 상 품 ₩90

②(차) 재고자산평가손실 ₩90 (대) 재고자산평가충당금 ₩90

③(차) 재고자산평가손실 ₩100 (대) 재고자산평가충당금 ₩100

④(차) 재고자산평가손실 ₩100 (대) 상 품 ₩100

 

문 5.다음은 (주)화천의 회계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몇 가지 재무비율이다.

◦총자산회전율 : 1.00

◦자기자본순이익률(ROE:return on equity) : 0.12

◦매출액순이익률 : 0.08

위의 자료만을 이용하여 (주)화천의 부채비율(=부채/자기자본)을 구하면?

①2.0          ②1.0              ③0.8          ④0.5

 

문 6.(주)갑을은 재고자산 평가일인 2007년 말에 화재로 인하여 창고에 보관 중이던 재고자산의 20%가 소실되었다. (주)갑을은 재고자산 구입원가에 30%의 판매이익을 가산하여 판매가격을 결정하고 있다. (주)갑을의 2007년 기초 재고자산은 ₩600,000이고, 2007년 한 해 동안의 매입액은 ₩2,800,000이며, 매출액은 ₩3,900,000이었다. 화재로 소실된 (주)갑을의 재고자산 금액을 구하면?

①₩80,000

②₩108,000

③₩134,000

④₩160,000

 

문 7.(주)경기산업은 2007년 1월 1일에 3년 만기의 액면가액 ₩20,000,000인 사채를 ₩19,005,000에 발행하였다. 발행당시 액면이자율은 8%, 유효이자율은 10%였다. 그리고 이자는 매년 12월 31일에 현금 지급한다. 유효이자율법에 의해 사채이자비용을 계산할 경우, 2007년 12월 31일(결산일)에 (주)경기산업이 수행할 가장 적절한 분개는?

(차) 이자비용

₩1,600,000

(대) 현 금

₩1,600,000

(차) 이자비용

₩1,600,000

(대) 현 금

₩1,600,000

사채할인발행차금상각

200,000

사채할인발행차금

200,000

(차) 이자비용

₩1,900,500

(대) 현 금

₩1,600,000

사채할인발행차금

300,500

(차) 이자비용

₩1,931,667

(대) 현 금

₩1,600,000

사채할인발행차금

331,667

 

문 8.기업은 일반적으로 원가흐름의 가정에 따라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자산을 파악한다. ㉠최근의 시가에 가장 가까운 가액으로 기말재고자산을 보고하는 방법과 ㉡최근의 시가에 가장 가까운 가액으로 매출원가를 보고하는 방법을 각각 바르게 연결한 것은?

      ㉠                              

①후입선출법                     선입선출법

②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③이동평균법                     후입선출법

④선입선출법                     총평균법

 

문 9.(주)ABC는 당기에 대손처리했던 매출채권 ₩90,000을 당기에 다시 현금으로 회수하였다. 상각된 매출채권의 회수와 관련하여 가장 옳은 분개는?

(단, 대손처리 당시의 대손충당금계정 잔액은 ₩30,000이었다)

(차) 현 금

₩90,000

(대) 대손상각비

₩90,000

(차) 현 금

₩90,000

(대) 대손충당금

₩60,000

대손상각비

30,000

(차) 현 금

₩90,000

(대) 대손충당금

₩30,000

대손상각비

60,000

(차) 현 금

₩90,000

(대) 매출채권

₩90,000

 

문 10.다음은 (주)ABC와 관련된 자료이다. 이를 활용하여 주가이익비율(PER:price earnings ratio)을 구하면?

◦당기순이익

₩200,000

◦우선주배당금

₩20,000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100주

◦보통주시가(1주)

₩9,000

①0.2             ②4.5             ③4.8              ④5.0

 

문 11.다음 글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복식부기제도 하에서 모든 회계거래는 반드시 어떤 계정의 차변과 다른 계정의 대변에 같은 금액을 기입한다. 따라서 아무리 많은 거래를 기입하더라도 계정 전체의 차변합계금액과 대변합계금액은 반드시 일치해야 하는데 이것을 ( ) (이)라고 한다.

①계정기입의 법칙

②검증가능성

③전기(posting)의 원칙

④대차평균의 원리

 

문 12.회사가 불법적 비자금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수단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불량 원자재를 구입하면서 정상 원자재처럼 실제보다 고가로 구입금액을 기록

②가공인물에게 임금을 지급한 것으로 기록

③매출액을 고의적으로 축소 기록

④수익적 지출을 자본적 지출로 기록

 

문 13.휴지통, 스테이플러, 종이클립 등과 같은 단순한 사무용 자산은 꽤 오랫동안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더라도 회사의 규모나 매출액에 비하여 자산의 취득가액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다고 한다면, 일반적으로 이를 자산으로 계상하지 않고 편의상 취득한 기간에 비용으로 계상할 수 있다. 이와 관련이 있는 회계의 기본 개념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보수주의(conservatism)

②중요성(materiality)

③발생주의(accrual basis)

④계속기업(going concern)의 가정

 

문 14.기업회계기준서 제4호(수익인식)에 기초할 때 재화의 판매로 인한 수익의 인식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재화의 판매에서 소유에 따른 위험과 효익의 이전시점은 법적소유권의 이전시점과 다를 수 있으나 물리적 이전시점과는 같아야 한다.

거래 이후에도 판매자가 관련재화의 소유에 따른 위험의 대부분을 부담하는 경우에는 판매로 보지 아니하므로 수익을 인식하지 않는다.

③거래와 관련하여 발생했거나 발생할 거래원가와 관련 비용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없을 때는 수익을 인식하지 않는다.

판매대가를 받을 것이 불확실한 경우에는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시점까지 수익을 인식하지 않는다.

 

문 15.강원상사는 기말에 은행계정조정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자료를 입수하였다. 기말 현재 강원상사의 장부상에 기록될 당좌예금의 정확한 잔액은?

◦은행측 수정전 당좌예금잔액

₩117,300

◦은행측 미기입예금

12,000

◦기발행 미지급수표

6,500

◦당좌차월이자와 은행수수료(회사측 미기록)

2,400

◦당좌예금 ₩8,600을 은행측에서 ₩6,800으로 오류기장

①₩124,600

②₩129,300

③₩122,800

④₩125,200

 

문 16.기업회계기준서 제3호(무형자산)에서 규정하고 있는 무형자산 상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무형자산의 상각이 다른 자산의 제조와 관련된 경우에는 판매비와관리비로 처리한다.

②무형자산의 잔존가치는 없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③무형자산의 상각기간은 원칙적으로 제한이 없다.

④무형자산은 정액법에 의해서만 상각한다.

 

문 17.행복상사가 기말에 보유하고 있는 매도가능증권의 공정가치가 장부가액에 비해 ₩30,000만큼 상승하였다. 이 경우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 ₩30,000은 다음 중 어디에 포함되는가?

①손익계산서의 영업이익

②대차대조표의 자본조정

③손익계산서의 영업외수익

④대차대조표의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문 18.(주)승리는 기존에 운영해온 A, B, C 사업부문 중 C 사업부문을 2007회계기간 중에 처분한 바 있다. 아래의 내용은 (주)승리의 2007년 회계기간의 손익에 관한 자료이다.

항 목

중단된 사업부문

계속 사업부문

수익총액

₩1,500,000

₩5,000,000

비용총액

(법인세비용 제외)

800,000

3,000,000

법인세비용

100,000

500,000

(주)승리의 2007년 회계기간의 손익계산서를 작성할 경우, 중단사업손익으로 표시될 금액은?

①₩700,000

②₩600,000

③₩500,000

④₩400,000

 

문 19.(주)한국은 아파트 건설공사를 전년도에 수주하였다. 이 아파트의 건설기간은 3년으로 예상되며 공사계약금액은 1,000억원이다. 이 건설공사는 진행기준에 따라 수익을 인식할 수 있는 요건이 충족된다. 총공사예정원가가 800억 원이고, 그 중 전기에는 160억 원, 당기에는 400억 원의 공사원가가 각각 발생하였다. 이 경우 당기의 공사수익과 공사원가의 차액은?

(단, 공사진행률은 총공사예정원가와 누적공사원가발생액에 기초하여 산정하고 회계기간은 1년으로 한다)

①100억 원           ②140억 원             ③160억 원           ④200억 원

 

문 20.아래 대화는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에 관한 내용이다. 대화의 내용에 기초하여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영란:복사기가 너무 흐리게 나오네. 낡았나봐.

영철:그래? 그거 3년 전에 1,000,000원 주고 산건데?

영란:이 복사기의 수명은 얼마쯤 되는데?

영철:아직도 2년은 남았는데, 회계장부를 보니까 잔존가치가 100,000원으로 되어 있더라.

영란:그래? 그럼 감가상각액도 적혀 있었니?

영철:글쎄, 540,000원이 감가상각누계액으로 적혀 있던데.

영란: 휴. 복사기 바꾸려면 아직도 멀었구나.

감가상각방법은 정액법이고, 관련자산의 평가계정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내용년수는 5년이다.

감가상각방법은 정률법이고, 관련자산의 평가계정을 사용하고 있으며, 미상각액은 460,000원이다.

감가상각방법은 정액법이고, 관련자산의 평가계정을 사용하고 있으며, 취득원가는 1,000,000원이다.

감가상각방법은 정률법이고, 관련자산의 평가계정을 사용하고 있으며, 당기상각액은 180,000원이다.

728x90
728x90

문 1.다음 중 회계정보가 신뢰성을 갖기 위한 속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회계정보는 그 정보가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을 충실히 표현하고 있어야 한다.

②회계정보는 예측가치와 피드백가치를 가져야 한다.

③회계정보는 객관적으로 검증 가능해야 한다.

④회계정보는 중립적이어야 한다.


 

문 2.기초자산총액 ₩40,000, 기초부채총액 ₩18,000, 기말부채총액 ₩39,000이다. 기중에 경영활동으로 수익총액 33,000, 비용총액 24,000이 발생하였다면 기말자산총액과 기말자본총액은?

기말자산총액          기말자본총액

① ₩70,000            ₩31,000

② ₩61,000            ₩31,000

③ ₩70,000            ₩22,000

④ ₩61,000            ₩22,000

 

문 3.다음 중 거래요소의 결합관계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차 변                        대 변

①자산의 증가           자산의 감소

②부채의 감소           부채의 증가

③자산의 증가           수익의 발생

④비용의 발생           자본의 감소

 

문 4.재무제표 작성과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을 기술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대차대조표에 표시되는 자산, 부채 및 자본은 총액으로 표시하며, 자산과 부채의 배열은 유동성배열법을 적용한다.

손익계산서의 모든 수익과 비용은 그것이 발생한 기간에 정당하게 배분되도록 처리한다. 단, 수익은 실현시기를 기준으로 계상하고 미실현수익은 당기의 손익계산에 산입하지 않는다.

재무제표는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와 자본변동표이며, 이에 대한 적절한 주기, 주석 및 부속명세서는 재무제표에 포함되지 않는다.

현금흐름표는 현금흐름을 표시함에 있어서 기업의 활동을 영업활동, 투자활동 및 재무활동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활동에서 유입되고 유출되는 현금을 세분하여 표시하는 재무보고서이다.

 

문 5.다음은 (주)서울의 손익계산서 계정과목 중 일부이다. 괄호 ㉠, ㉡, ㉢ 안에 들어갈 금액이 옳게 연결된 것은?

2005년

2006년

매출액

₩11,000

₩12,000

기초상품

1,200

( ㉡ )

당기매입

9,400

( ㉢ )

기말상품

1,400

1,500

매출총이익

( ㉠ )

2,000

                                   

①₩1,800       ₩1,400         ₩10,100

②₩1,800       ₩1,200         ₩10,300

③₩1,600       ₩1,400         ₩10,000

④₩1,600       ₩1,200         ₩10,300

 

문 6.대차대조표의 기본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자산은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서 현재 기업실체에 의해 지배되고 미래에 경제적 효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이다.

부채는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서 현재 기업실체가 부담하고 미래에 자원의 유출 또는 사용이 예상되는 의무이다.

③대차대조표에 표시되는 자본의 총액은 발행주식의 시가총액으로서, 자본잉여금의 발생금액 및 이익잉여금의 총액에 의해 결정된다.

기업실체의 재무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대차대조표의 기본요소는 자산, 부채 및 자본이다.

 

문 7.2006년 초에 설립된 甲회사는 모든 제품을 신용으로 판매하고 있다. 2006년도 甲회사의 매출액은 총 ₩50,000이고, 2006년말 매출채권잔액은 8,000이다. 2006년 5월에 乙회사에 판매한 매채권 ₩500은 乙회사가 2006년 11월에 파산하여 모두 대손처리 하였다. 甲회사는 신용매출액의 2%를 회수불가능하다고 추정였다. 신용매출액 비례법(손익계산서접근법)에 의해 회계처리할 경우 甲회사의 2006년도 기말 대차대조표에 표시되는 대손충당금은?

①₩160           ②₩1,000                  ③₩500             ④₩10

 

문 8.주당 액면가액이 ₩5,000인 신주 10주를 주당 ₩4,500에 발행하면서 신주 발행비용이 주당 ₩100 발생하였다. 신주발행 전 대차대조표에는 주식발행초과금과 주식할인발행차금은 계상되어 있지 않다. 기업회계기준에 의하여 주식발행을 회계처리할 경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자본의 순증가는 ₩45,000이다.

②주식할인발행차금은 ₩3,000으로 표시된다.

신주발행비용 1,000은 3년 내에 상각하여 상각연도 비용으로 처리한다.

④대차대조표상 자본금 증가는 ₩50,000이다.

 

문 9.유가증권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매도가능증권의 처분 시에는 장부가액과 처분가액의 차이를 매도가능증권처분손익으로 인식하여 손익계산서상의 영업외 손익으로 보고한다.

②단기매매증권과 매도가능증권에 대한 미실현보유손익은 당기손익항목으로 처리한다.

기보유증권에 대하여 감액손실(손상차손)로 인식하는 금액은 유가증권 취득당시의 유효이자율로 할인한 기대현금흐름의 현재가치(회수가능가액)와 장부가액의 차이이다.

단기매매증권과 다른 증권과목 간에는 분류변경을 할 수 없으나, 단기매매증권이 시장성을 상실한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매도가능증권으로 재분류할 수 있다.

 

문 10.다음 자료에서 甲회사가 기업회계 기준에 따라 2006년 말 현재 대차대조표에 현금 및 현금성자산으로 보고해야 할 금액은?

∘ 지폐 및 주화

₩105,000

∘ 乙회사 발행 수표

200,000

2006년 12월 27일 취득하여

보유중인 우표

150,000

∘ 2006년 12월 27일 취득한

양도성예금증서(만기 2007.9.1)

800,000

∘ 2006년 12월 27일 취득한

수익증권(만기 2007.2.20)

700,000

합 계

1,955,000

①₩1,955,000            ②₩1,255,000              ③₩1,005,000            ④₩1,155,000

 

문 11.다음 중 유동비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거래는?

①사채의 만기가 되어 현금으로 상환하였다.

②건물을 매각하고 대금은 1개월 후에 받기로 하였다.

③장기성 지급어음을 발행하고 기계장치를 취득하였다.

④상품을 실사한 결과 감모손실이 발생하였다.

 

문 12.(주)서울은 2005년 1월 1일에 취득원가 1,000,000, 내용연수 3년, 잔존가액 ₩100,000인 기계장치를 취득하였다. (주)서울은 이 기계장치를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하다가 2007년 1월 1일에 450,000을 받고 처분하였다. 이 기계장치의 처분손익은?

①₩50,000손실           ②₩50,000이익            ③₩150,000손실           ④₩150,000이익

 

문 13.해동상회의 10월 중 상품매매 거래는 다음과 같다. 계속기록법에 의한 후입선출법 적용 시 10월의 매출원가와 월말재고액은?

(단, 매입에누리와 매입환출, 매입할인은 없다)

일자

적요

수량

단가

금액

10. 1

기초재고

200

10

₩2,000

10. 4

매 입

100

15

₩1,500

10.10

판 매

100

10.15

매 입

300

20

₩6,000

10.20

판 매

200

10.31

기말재고

300

매출원가            월말재고액

①₩5,500           ₩4,000

②₩3,500           ₩6,000

③₩3,500           ₩6,500

④₩5,500           ₩4,500

 

문 14.성북회사의 2006년도 기말 회계자료는 다음과 같다.

매출액

₩200,000

매출원가

₩92,000

급 여

20,000

매출채권대손상각비

3,000

이자비용

1,000

유형자산처분이익

2,500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 4,000

감가상각비

2,000

성북회사가 2006년 손익계산서에 보고하여야 할 영업이익은?

①₩83,000          ②₩82,000           ③₩79,500          ④₩74,500

 

문 15.수정전 수익과 비용의 차액이 ₩1,000(이익)이었다. 다음의 결산수정분개 사항을 반영하고 난 후 수정후 수익과 비용의 차액은?

(단, 아래 항목 외에는 수정사항이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기초 소모품 100, 당기매입 소모품 500, 기말 소모품 ₩200 (단, 소모품 구입 시 자산계정인 소모품계정에 기록한다)

∘당기에 발생하였으나 지급하지 않은 이자비용 ₩250

①₩250 손실           ②₩850 이익               ③₩1,350 이익          ④₩350 이익

 

문 16.액면 ₩100,000, 만기 3년, 표시이자율 연10%인 사채를 연초에 발행하였다. 발행시점에서 시장이자율을 고려하여 계산된 사채의 발행가액은 88,000이다. 이 회사가 발행차금을 유효이자율법으로 회계처리해야 한다고 할 경우, 향후 3년간 손익계산서에 인식해야 할 이자비용 총액은?

①₩30,000

②₩26,400

③₩42,000

④유효이자율이 없으므로 계산할 수 없음

 

문 17.매출수익의 실현에 관한 아래의 설명 중 기업회계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과 다른 것은?

①할부매출은 상품 등을 인도한 날에 실현되는 것으로 한다.

②건설형 공사계약의 수익은 진행기준에 따라 실현되는 것으로 한다.

위탁매출은 수탁자가 위탁자에게 위탁품 판매통지서를 발송한 날에 실현되는 것으로 한다.

④시용매출액은 매입자가 매입 의사표시를 한 날에 실현되는 것으로 한다.

 

문 18.다음은 서울상사의 2006년도 기말 대차대조표의 유동자산과 유동부채에 관련된 내용이다.

대 차 대 조 표

당좌자산

₩1,000,000

유동부채

?

재고자산

?

2006년도 기말 서울상사의 당좌비율이 100%이고, 유동비율은 200%이다.

또한 매출원가가 ₩10,000,000이고, 당기매입액이 ₩8,000,000이라면 기초 재고자산은?

①₩2,000,000             ②₩3,000,000             ③₩4,000,000             ④₩1,000,000

 

문 19.(주)서울의 2007년 회계기간 동안 매출원가는 ₩500,000이고, 재고자산과 매입채무의 비교대차대조표 자료는 다음과 같다.

2007.1.1

2007.12.31

재고자산

₩100,000

₩200,000

매입채무

30,000

60,000

위의 정보를 이용하여 2007년도 재고자산의 매입으로 인한 현금유출액을 구하면?

①₩430,000             ②₩570,000                    ③₩600,000             ④₩630,000

 

문 20.<보기>는 아래의 대차대조표를 설명한 것이다. 이 중 바르게 설명한 항목으로 묶인 것은?

대차대조표

자 산

금액

부채 및 자본

금액

현금및현금성자산

₩100,000

매 입 채 무

₩100,000

매 출 채 권

200,000

미 지 급 금

100,000

상 품

300,000

장기차입금

200,000

건 물

400,000

사 채

200,000

비 품

100,000

자본금

500,000

₩1,100,000

₩1,100,000

<보 기>

ㄱ. 유동자산은 ₩600,000이고 당좌자산은 ₩200,000이다.

ㄴ. 유형자산은 ₩500,000이고 재고자산은 ₩300,000이다.

ㄷ. 타인자본은 ₩500,000이고 유동부채는 ₩200,000이다.

ㄹ. 비유동부채는 ₩400,000이고 자기자본은 ₩500,000이다.

①ㄱ, ㄴ             ②ㄱ, ㄷ             ③ㄴ, ㄷ              ④ㄴ, ㄹ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