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 1.사회복지실천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클라이언트와 함께 문제해결을 위한 목표를 설정한다.

클라이언트와 계약을 할 때는 시간, 기술, 윤리 등을 고려한.

사정에서는 클라이언트와 그를 둘러싼 환경의 부정적 측면 뿐만 아니라 긍정적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클라이언트가 종결에 대한 두려움을 갖지 않도록 가능한 한 종결시기는 명백하게 제시하지 않는다.


 

문 2.사회복지프로그램 성과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개인뿐만 아니라 집단, 조직, 시스템, 지역사회 차원까지도 측정이 가능하다.

②양적 지표와 질적 지표가 모두 가능하다.

③자료수집방법으로 서베이, 면접, 관찰, 시험 등을 활용할 수 있다.

④단일의 지표와 단일의 측정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문 3.다음 글에서 사회복지사가 적용한 사회복지실천기술은?

사회복지사:“지난 면담에서는 절대 체벌을 해서는 안 된다고 말씀하셨는데 오늘은 체벌만큼 효과적인 교육법이 없다고 하시니 제가 혼란스럽네요.”

①환기(ventilation)

②재보증(reassurance)

직면(confrontation)

해석(interpretation)

 

문 4.위기개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ㄱ.클라이언트의 통찰력 강화, 성격변화에 초점을 둔다.

ㄴ.특정 위기상황은 예측할 수 있는 단계를 거치며 단계마다 사람들이 예측할 수 있는 정서적 반응과 행동을 드러낸다고 전제한다.

ㄷ.클라이언트가 최소한 위기 이전의 기능수준으로 회복하도록 돕는다.

ㄹ.정확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진단하는 데 초점을 둔다.

ㄱ, ㄴ

②ㄴ, ㄷ

③ㄴ, ㄹ

④ㄷ, ㄹ

 

문 5.우리나라 자원봉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자원봉사활동을 진흥하기 위해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을 제정하였다.

자원봉사자에 대한 인정 및 보상에는 정서적 보상, 기회 제공, 표창 추천 등이 있다.

안전행정부장관은 5년마다 자원봉사활동의 진흥을 위한 국가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하는데 현재 제3차 5개년 국가기본계획에 따른 사업이 진행 중이다.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과 지방청소년활동진흥센터는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사업을 수행한다.

 

문 6.우리나라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사회복지사는 전문가로서 성실하고 공정하게 업무를 수행하며, 이 과정에서 클라이언트의 요구 외에 어떠한 부당한 압력에도 타협하지 않는다.

사회복지사는 적법하고도 적절한 논의 없이 동료 혹은 다른 기관의 클라이언트와 전문적 관계를 맺어서는 안 된다.

사회복지사는 필요한 사회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사회정책의 수립․발전․입법․집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원해야 한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지불능력에 상관없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이를 이유로 차별대우를 해서는 안 된다.

 

문 7.가족사회복지실천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구조적 가족치료는 역기능적인 가족구조로 인해 가족문제가 비롯된다고 가정하며 주된 기법으로 합류, 경계만들기 등이 있다.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문제가 일어나지 않았던 예외상황에 초점을 두며 주된 기법으로 기적질문, 대처질문 등이 있다.

이야기 가족치료는 사회구성주의 관점에 근거하며 주된 기법으로 문제의 외현화, 시련기법 등이 있다.

전략적 가족치료는 지금까지 가족이 문제해결을 위해 시도해 온 방법을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두며 주된 기법으로 순환적 질문, 역설적 개입 등이 있다.

 

문 8.우리나라 청소년복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학교폭력에는 강제적인 심부름,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폭력 정보 등에 의하여 신체․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 등이 포함된다.

「청소년복지 지원법」에 명시된 청소년복지시설에는 반드시 사회복지사를 배치해야 한다.

③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접근 중 피해자-가해자 조정(Victim-Offender Mediation)프로그램은 제3자인 조정자의 도움으로 피해자와 가해자가 서로 자신들의 피해와 어려움을 이야기하도록 하는 것이다.

④「청소년복지 지원법」에는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에 대한 근거조항이 있다.

 

문 9.샐리베이(Saleebey)가 소개한 강점관점 실천을 위한 유용한 질문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예외질문(exception questions)

변화질문(change questions)

생존질문(survival questions)

④훈습질문(working-through questions)

 

문 10.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사회복지관의 운영이 지방이양사업으로 바뀌고 법인의 자부담을 의무화하였다.

②지역자활센터에서는 자활의욕 고취를 위한 교육, 직업교육 및 취업알선, 생업을 위한 자금융자 알선 등을 행한다.

사회복지협의회는 사회복지 관련 기관․단체 간의 연계․협력․조정을 행한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사회복지공동모금사업, 공동모금재원의 배분, 운용 및 관리 등을 행한다.

 

문 11.먼저 일어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ㄱ.영세교구들이 연합한 빈민공장 설립이 허용되고 원외구호가 조장되었다.

ㄴ.빈민의 구제수준이 노동자의 임금수준보다 낮아야 한다는 원칙이 제시되었다.

ㄷ.수당으로 저임금 노동자의 임금을 보충해 주는 제도가 제정되었다.

①ㄱ→ㄴ→ㄷ

②ㄱ→ㄷ→ㄴ

③ㄴ→ㄷ→ㄱ

④ㄷ→ㄱ→ㄴ

 

문 12.사회복지 예산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품목별 예산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②성과주의 예산은 사회복지 조직이 수행하는 업무에 중점을 둔다.

기획 예산은 사업계획을 세부사업으로 분류하고 각 세부사업을 ‘단위원가×업무량=예산액’으로 표시하여 편성한다.

영기준 예산은 전년도 예산을 고려하지 않고 비용-편익분석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문 13.사회복지정책 결정모형 중 합리주의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새로운 정책은 과거 정책들의 점증적인 수정에 의해 만들어진다.

정책결정은 다양한 이익을 추구하는 이익집단들 간 경쟁의 산물이다.

③정책 대안들의 결과를 정확히 예측하고 비용편익 혹은 비용효과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정책결정은 조직화된 무정부 상태 속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흐름에 의해 우연히 이루어진다.

 

문 14.사회복지전달체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사회복지사업법」상 지역복지협의회는 지역 내 서비스의 연계 및 조정의 기반을 마련하고 지원하는 민간협의체이다.

원스톱서비스센터나 통합사례관리 서비스는 통합조정의 원칙에 근거한다.

클라이언트가 필요할 때 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전달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책임성의 원칙에 근거한다.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게 하기 위하여 시ㆍ도, 시ㆍ군ㆍ구 및 읍ㆍ면ㆍ동에 사회복지사를 둘 수 있다.

 

문 15.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UN은 전체 인구 중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14% 이상인 사회를 고령사회라 한다.

②우리나라 통계청에서는 노년부양비를 경제활동 인구 중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로 본다.

③지니계수는 소득의 불평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④빈곤갭은 빈곤의 심도를 알려 주는 지표이다.

 

문 16.우리나라 사회보험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감액노령연금은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면서 55세 이상으로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아니할 때 본인이 신청해서 받는다.

②개별실적요율은 업종별로 과거 3년간 발생한 재해율을 반영하여 보험료를 산정하는 방식이다.

③DRG포괄수가제는 보험을 관리하는 측과 의사대표 간에 미리 진료비의 총액을 정해 놓고 지불한다.

④연금 슬라이드제는 생활수준, 물가 등을 고려하여 연금 급여 수준을 조정하는 것으로 국민연금은 전국소비자물가변동률을 반영하고 있다.

 

문 17.2012년 1월 26일 개정된 「사회보장기본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평생사회안전망”이란 생애주기에 걸쳐 보편적으로 충족되어야 하는 기본욕구와 특정한 사회위험에 의하여 발생하는 특수욕구를 동시에 고려하여 소득․서비스를 보장하는 맞춤형 사회보장제도를 말한다.

②“사회서비스”란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모든 국민을 보호하고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소득․서비스를 보장하는 제도를 말한다.

③보건복지부장관은 사회서비스의 품질기준 마련, 평가 및 개선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담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④사회보장 업무에 종사하거나 종사하였던 자는 사회보장업무 수행과 관련하여 알게 된 개인ㆍ법인 또는 단체의 정보를 관계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보호하여야 한다.

 

문 18.다음 글에서 설명하고 있는 제도는?

○부의 소득세(negative income tax)의 일종이다.

노동공급유인을 제공하면서 근로빈곤층에게 소득을 보전한다.

○장애인 등과 같이 근로의지와 무관하게 취업을 할 수 없는 계층을 위해서는 별도의 공공부조제도가 필요하다.

①근로장려세제

②취업촉진수당

③ 긴급생계급여

④가족수당

 

문 19.복지국가 위기 이후 등장하는 복지국가 재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저출산․고령화 문제는 대표적인 신사회적 위험이다.

②사회투자국가는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투자보다 시장실패자에 대한 사후 소득보장에 주력한다.

스웨덴과 덴마크는 지속적 경제침체와 고실업의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공공부문을 확대하였다.

④독일과 프랑스는 내부시장을 강화하는 노동감축 방식을 통해 성장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문 20.영리기관과 비영리기관의 선택기준을 제시한 Gilbert(1984)의 주장에 근거해 볼 때 비영리기관이 영리기관보다 더 적합한 경우가 아닌 것은?

①아동, 지적장애인 등과 같이 표현할 능력이 부족한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

②보호관찰이나 기초생활보장 조건부수급자의 서비스와 같이 강제적인 서비스의 제공

공중예방접종과 같은 표준적 절차나 내용을 담고 있는 서비스의 제공

④치료서비스와 같이 사례별로 다른 기술이 필요한 서비스의 제공

728x90
728x90

문 1.다음 설명에 가장 적합한 사회복지 실천모델은?

○시간제한, 제한된 목표, 현재에의 집중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 간 동의에 의한 문제해결 활동을 강조

중기 단계에서는 장애물의 규명과 해결, 문제 초점화 등이 이루어짐

①권한부여모델

②인지행동모델

③과제중심모델

④인간중심모델


 

문 2.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사업은?

학교에서 학생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학생, 가정과 지역사회에 교육, 문화,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학교에 ‘지역사회교육전문가’를 배치하여 학교와 지역사회 기관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연계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하는 사업

①전문상담교사사업

②교육복지(투자)우선지원사업

③아동발달지원계좌사업

④드림스타트사업

 

문 3.다음 예시에서 주된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몸이 불편하고 경제상황이 어려운 노인에게 정기적으로 병원에 동행할 자원봉사자를 연계하였다.

①옹호자(advocate)

②중개자(broker)

③행동가(activist)

④집단촉진자(group facilitator)

 

문 4.사례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복합적인 문제와 욕구를 가진 사람들이 사례관리의 대상이 된다.

②사례관리를 통해 복잡하고 분산된 서비스 체계에서 서비스의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가 여러 기관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를 직접 상담하는 치료자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

 

문 5.사회복지서비스 기획에 필요한 욕구조사의 자료수집 방법으로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것은?

①기존의 공인된 이차적 자료들의 소재를 파악하고, 접근성을 확보한 후 자료를 수집한다.

지역사회에서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들이 보유하는 서비스 실태 자료를 수집한다.

지역사회의 잠재적 서비스 대상자들에 대해 확률표집을 적용한 설문 자료를 수집한다.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반복적 과정을 통해 합의된 의견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다.

 

문 6.소득불평등과 빈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빈곤율(poverty rate)은 빈곤자(가구)가 전체 인구(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소득불평등의 정도를 수치화하여 나타내는 측정치로써 지니계수(Gini coefficient)가 있다.

빈곤은 주관적 기준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라이덴 빈곤선(poverty line)이 한 예이다.

④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의 개념은 소득 빈곤의 결과적 측면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문 7.유엔 아동권리협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우리나라는 1991년 이 협약에 서명하고, 비준서를 유엔에 제출하였다.

②아동의 생존권, 평등권, 자기결정권이 규정되어 있다.

③아동 이익 최우선의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④협약 당사국은 모든 아동들의 인권보장을 위한 법적, 제도적, 행정적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문 8.우리나라의 사회복지 관련 법 중 가장 최근에 제정된 것은?

①「노인장기요양보험법」

②「장애인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③「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④「긴급복지지원법」

 

문 9.가족치료모델 중 행동이론, 학습이론, 의사소통이론을 기초로 하며, 직접적이고 분명한 의사소통과 개인․가족의 성장을 치료 목표로 하는 것은?

①사티어(Satir)의 경험적 가족치료모델

②헤일리(Haley)의 전략적 가족치료모델

③보웬(Bowen)의 다세대 가족치료모델

④미누친(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모델

 

문 10.사회복지 사상 중 인적자원 개발을 강조하는 사회투자국가의 논리와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것은?

①제3의 길(the third way)

②신자유주의(neo-liberalism)

③케인즈주의(Keynesianism)

④페이비언주의(Fabianism)

 

문 11.19세기 후반 등장한 자선조직협회(COS)와 인보관(SH)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OS는 공공의 구빈 활동, SH는 민간의 구빈 활동을 강조했다.

COS는 개별사회사업, SH는 집단사회사업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했다.

COS는 자선의 효율성, SH는 지역사회 참여를 통한 빈곤 문제의 해결을 강조했다.

빈곤 문제의 근원으로 COS는 개인적 측면, SH는 환경적 측면을 강조했다.

 

문 12.제도적(institutional) 사회복지와 잔여적(residual) 사회복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제도적 사회복지는 사회복지를 독자적인 사회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사회제도로 본다.

②잔여적 사회복지는 예외주의와 보수주의 이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제도적 사회복지에서는 사회복지의 대상자에 대한 선별적 사후치료 서비스를 강조한다.

잔여적 사회복지에서는 사회복지의 대상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 효과가 나타나기 쉽다.

 

문 13.우리나라에서 2000년대 이후 확대된 사회서비스의 주된 공급 전략으로, 국가가 서비스 생산자가 아닌 서비스 소비자에게 재정지원을 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게 만드는 방식은?

①서비스구매계약(POSC)

②현금급여(cash)

③바우처(voucher)

④시설보조금(subsidy)

 

문 14.기능주의 관점에서는 사회제도의 분화와 각 제도에 따른 주요 사회기능을 연결시킨다. 정치, 경제, 종교 제도와 구분되는 사회복지 제도의 일차적 사회기능은?

①상부상조

②사회통합

③생산․분배․소비

④사회통제

 

문 15.역사적으로 사회복지실천에 영향을 미친 이념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부자는 그들이 우월해서 부유층으로 살아남는 것이고, 빈곤한 사람은 그들이 게으르고 비도덕적이기 때문에 가난할 수밖에 없다.

①다원주의

②민주주의

③사회진화론

④인도주의

 

문 16.사회복지 이론을 과학적 조사방법을 통해 구성할 때, 두 변수 간 인과관계의 확인을 위해 필요한 3가지 경험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연속성(continuity)

②공변성(covariation)

③시간적 우선성

④통제(외부설명의 배제)

 

문 17.세계보건기구(WHO)가 2001년에 발표한 새로운 국제장애분류체계는?

①ICF

②ICD

③ICIDH

④ICIDH-2

 

문 18.현재 우리나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제도 운용은 기본적으로 사회보험의 원리에 입각한다.

②「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장기요양급여는 65세 이상 노인에게 한정된다.

장기요양급여 중 재가급여의 종류에는 ‘단기보호’ 급여도 포함되어 있다.

④장기요양급여에 ‘가족요양비’를 인정하고 있다.

 

문 19.공공부조의 원리들 중 빈곤함정(poverty trap)의 유발 원인과 가장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은?

①생존권 보장의 원리

②국가책임의 원리

③무차별 평등의 원리

④보충성의 원리

 

문 20.「사회복지사업법」에서 규정하는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수립 및 시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시․도의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한 후, 이를 토대로 시․군․구의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한다.

보건복지부장관은 시․도의 지역사회복지계획 시행결과를 평가하지 않는다.

시․군․구의 지역사회복지계획은 시․군․구 사회복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수립한다.

계획의 내용에는 사회복지서비스와 보건의료서비스의 연계제공방안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728x90
728x90

문 1.사회복지급여 형태 중 현금급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정책의 목표효율성(target efficiency)을 높일 수 있다.

②현물급여에 비해 프로그램의 운영비용이 적게 든다.

③수급자선택의 자유와 소비자주권(consumer sovereignty)의 측면에서 장점을 가진다.

④인간의 존엄성을 유지시키는 데 현물급여보다 우월하다.


 

문 2.우리나라 「사회복지사업법」에서 제시된 사회복지사업이 아닌 것은?

①「긴급복지지원법」에 의한 보호․선도 또는 복지에 관한 사업

②「성매매방지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에 의한 보호․선도 또는 복지에 관한 사업

「보호관찰등에관한법률」에 의한 보호․선도 또는 복지에 관한 사업

④「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편의증진보장에관한법률」에 의한 보호․선도 또는 복지에 관한 사업

 

문 3.윌렌스키와 르보(Wilensky&Lebeaux)가 분류한 사회복지의 제도적 관점으로 옳은 것은?

①사회복지의 역할은 가족과 시장체제의 보완이다.

②빈곤문제의 발생원인은 개인의 책임이다.

③사회복지의 대상은 요보호대상자만이다.

④사회문제의 발생원인에 대해 사회구조적 책임을 강조한다.

 

문 4.빈곤을 소득의 결핍으로 이해하는 것은 협의의 관점이라고 비판하며 빈곤의 역동적이고 다차원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은?

①빈곤율(poverty rate)

②빈곤갭(poverty gap)

③빈곤의 덫(poverty trap)

④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

 

문 5.우리나라 사회복지 역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1960년대에는 「공무원연금법」, 「생활보호법」, 「재해구호법」, 「아동복리법」 등이 제정되었다.

②1970년대 중반에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 서비스로서 재가복지가 도입되었다.

③2003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지역사회복지계획수립이 지방자치단체의 의무가 되고, 지역사회복지협의체가 도입되었다.

2005년에는 기존 복지제도로 대처하기 어려운 위기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긴급복지지원법」이 제정되었다.

 

문 6.사회복지 역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엘리자베스 구빈법」에서는 빈민의 자유로운 이동을 금지하였다.

ㄴ.1834년 「신구빈법」은 열등처우의 원칙을 전제로 하였다.

ㄷ.독일의 비스마르크는 사회보험제도를 도입하였다.

ㄹ.베버리지 보고서에서는 소득수준에 따른 보험료 차등납부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①ㄱ, ㄴ          ②ㄴ, ㄷ          ③ㄴ, ㄷ, ㄹ             ④ㄱ, ㄴ, ㄷ, ㄹ

 

문 7.조지(George)와 윌딩(Wilding)이 분류한 ‘사회복지 이념체계’에서 자유, 개인주의, 불평등이 중심가치인 것은?

신우파(the new right)

②중도노선(the middle way)

③민주적 사회주의(democratic socialism)

④마르크스주의(marxism)

 

문 8.우리나라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 규정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사의 권익옹호를 최우선의 가치로 삼고 행동한다.

②한국사회복지협의회는 사회복지윤리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③사회복지사는 기관의 정책과 사업 목표의 달성을 위해 노력함으로써 기관에게 이익이 되도록 해야 한다.

사회복지사는 문서․사진․컴퓨터 파일 등의 형태로 된 클라이언트의 정보에 대해 비밀보장의 한계․정보를 얻어야 하는 목적 및 활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야 하며 정보공개 시에는 동의를 얻어야 한다.

 

문 9.지역복지 실천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로스만(Rothman)의 ‘지역사회개발모델’에서는 지역사회내의 모든 집단들이 긍정적 변화를 위한 필수요소들이자 잠재적 파트너로 간주된다.

ㄴ.웨일과 갬블(Weil&Gamble)의 ‘기능적 지역사회조직모델’에서는 공통의 관심사에 근거한 기능적 지역사회조직에 중점을 두어 사회적 이슈나 특정집단의 권익 보호 및 옹호를 목표로 삼고 있다.

ㄷ.테일러와 로버츠(Tayler&Roberts)가 제시한 모델의 주된 특징은 후원자와 클라이언트 간의 의사결정 권한정도를 구체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①ㄱ, ㄴ            ②ㄱ, ㄷ            ③ㄴ, ㄷ           ④ㄱ, ㄴ, ㄷ

 

문 10.점증식 예산 책정의 관행을 타파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모든 프로그램의 정당성을 매년 새롭게 마련해야 하는 예산편성방법은?

영기준 예산(zero-based budgeting)

②성과주의 예산(performance budgeting)

품목별 예산(line-item budgeting)

④계획 예산제도(planning-programming-budgeting system)

 

문 11.사회복지실천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심리사회모델은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내적 갈등을 이해하고 통찰하도록 하기 보다는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자원을 제공, 발굴하며 옹호하는 환경적 요소에 치중한다.

위기개입모델은 클라이언트의 인격을 성장시키거나 변화시키는데 1차적 목표를 두며 단기적인 접근, 과거 탐색에 초점을 둔다.

임파워먼트모델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협력적인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문제해결과정에 함께 참여한다.

④과제중심모델은 클라이언트가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는 특정문제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조언, 환경적 개입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다.

 

문 12.집단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집단사회복지실천모델 중 사회적 목표모델에서는 집단사회복지사가 집단내의 민주적 절차를 개발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집단사회복지사는 집단 전체와 개별성원이 목적을 달성하도록 돕기 위해 중개자(broker), 중재자(mediator), 교육자(educato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③집단사회복지실천은 사회복지방법론 중의 하나이며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 목적, 원리, 윤리에 기초한다.

④집단사회복지실천과정 중 중간단계는 집단구성원이 집단에 대한 불안과 긴장이 높은 시기이므로 사회복지사는 주로 신뢰할 수 있는 분위기를 확립하고 집단활동에 대한 동기와 능력을 고취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문 13.사회복지조사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실험디자인(experimental design)은 인과관계 검증에 유리한 높은 내적 타당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유사실험디자인(quasi-experimental design)에는 시계열디자인(time-series design)과 비동일통제집단 디자인(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이 있다.

③질적조사방법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되지 않은 완전한 객관적인 관찰이라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믿기 때문에 조사자와 조사대상자의 주관적인 인지나 느낌, 해석 등을 정당한 자료로 간주한다.

델파이기법(delphi technique)은 단일한 사례를 대상으로 개입의 효과성을 측정하는데 유용하지만 불명확한 미래 사건에 대한 예측도구로서는 유용성이 낮다.

 

문 14.우리나라 「장애인복지법」에 규정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장애인 종합정책을 수립하고 관계 부처간의 의견을 조정하며 그 정책의 이행을 감독·평가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하에 장애인정책조정위원회를 둔다.

②지방행정기관의 장은 해당 기관의 장애인정책을 효율적으로 수립․시행하기 위하여 소속공무원 중에서 장애인정책조정관을 지정해야 한다.

장애인복지 관련 사업의 기획․조사․실시 등을 하는 데에 필요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에 지방장애인복지위원회를 둔다.

④장애인정책조정위원회는 장애인복지 향상을 위한 제도개선과 예산지원, 장애인 고용촉진정책의 중요한 조정, 장애인 이동보장 정책조정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조정한다.

 

문 15.다음 글이 설명하는 학교사회복지실천모델은?

학교제도가 학생들의 부적응과 학업미성취의 원인이 된다고 보고 학생이 사회적․교육적 기대에 적절하게 부응하는 데 장애가 되는 학교의 역기능적인 규범과 조건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주된 개입의 초점은 학교환경이다.

①학교변화모델

지역사회학교모델

사회적 상호작용모델

전통적 임상모델

 

문 16.「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규정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누구든지 가정폭력 범죄를 알게 된 때에는 이를 수사기관에 신고할 수 있다.

판사는 피해자 또는 가정구성원의 주거, 직장 등에서 300미터 이내의 접근금지와 같은 임시조치를 할 수 있다.

검사는 가정폭력사건을 수사한 결과 행위자의 성행교정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상담조건부 기소유예를 할 수 있다.

④진행중인 가정폭력범죄에 대하여 신고를 받은 사법경찰관리(司法警察官吏)는 즉시 현장에 임하여 폭력행위의 제지, 행위자․ 피해자의 분리 및 범죄수사, 피해자의 가정폭력관련상담소 또는 보호시설 인도(피해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 한함)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문 17.공적연금의 재원조달방식 중 부과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제도를 도입함과 동시에 급여를 지급할 수 있다.

②세대 간 소득재분배가 발생한다.

③적립방식에 비해 인플레에 취약하다.

④인구노령화에 따른 인구구조의 변화에 취약하다.

 

문 18. 「노인복지법」에 규정된 노인학대의 정의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신체적 폭력

ㄴ. 성적 폭력

ㄷ. 방임

ㄹ. 경제적 착취

①ㄱ, ㄴ           ②ㄱ, ㄴ, ㄷ             ③ㄱ, ㄴ, ㄹ             ④ㄱ, ㄴ, ㄷ, ㄹ

 

문 19.사례관리 서비스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기능과 독립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보호의 연속성을 중시한다.

사례관리자의 직접적 개입에는 클라이언트와 서비스 제공자의 연결, 기관 간의 조정 등이 있다.

③개별적인 실천기술과 지역사회 실천기술을 통합한 형태이다.

④개입과정에서 클라이언트의 참여와 자기결정을 촉진시킨다.

 

문 20.사회복지실천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명료화기술은 클라이언트의 메시지가 추상적이거나 혼란스러운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도록 클라이언트에게 요청하는 것을 말한다.

②사회복지사의 자기노출은 클라이언트가 사회복지사를 진솔한 인간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가능한 자주 사용하는 것이 좋다.

③재보증(reassurance)기술은 클라이언트의 말한 내용과 행동 또는 말한 내용들 간에 일치되지 않는 부분이 있을 경우 클라이언트 메시지의 불일치된 내용을 지적할 때 사용하는 기술이다.

사회복지사는 초기단계부터 문제원인과 관련하여 사회복지사가 생각한 초기 가설에 대해 클라이언트와 허심탄회하게 활발히 논의해야 한다. 

728x90
728x90

문 1.「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급여제공의 기본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장기요양급여는 노인등이 온전한 심신상태를 유지하여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노인성질환 예방급여를 제공하여야 한다.

②장기요양급여는 노인등이 가족과 함께 생활하면서 가정에서 장기요양을 받는 재가급여를 우선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장기요양급여는 노인등의 심신상태나 건강 등이 악화되지 아니하도록 의료서비스와 연계하여 이를 제공하여야 한다.

④장기요양급여는 노인등의 심신상태․생활환경과 노인등 및 그 가족의 욕구․선택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필요한 범위 안에서 이를 적정하게 제공하여야 한다.


 

문 2.보육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사업주가 직장보육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사업장은 상시 여성근로자 300명 이상 또는 상시근로자 50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이다.

②영유아란 6세 미만의 취학 전 아동을 말한다.

국공립 보육시설 외의 보육시설을 설치․운영하고자 하는 자는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가정보육시설의 정원은 상시 영유아 5인 이상 20인 이하이다.

 

문 3.「건강가정기본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건강가정사업’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가족단위 복지증진

②이혼예방 및 이혼가정지원

③성별분리에 근거한 가족관계의 확립

④가족단위의 시민적 역할증진

 

문 4.조세제도를 활용한 소득보장정책으로 특정가구의 소득이 가구규모별로 설정된 최저생계비에 미달할 때 그 차액의 일정비율만큼을 조세환급의 형태로 정부가 지급해주는 제도는?

①누진세제도       ②조세감면제도           ③목적세제도        ④부(負)의 소득세제도

 

문 5.사회복지급여 중 현물급여에 비해 교환가치가 크면서 계획된 목적 외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현금급여의 단점을 보완한 급여 형태는?

①서비스          ②기회          ③권력        ④바우처(증서)

 

문 6.매슬로우(Maslow)가 제시한 인간의 욕구체계와 그에 따른 산업복지의 내용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생존의 욕구-산업재해보상보험, 직업안정, 직업훈련 등

안전과 안정의 욕구-노사협의, 재임용, 성과배분제, 경영참가, 소득보장 등

③소속과 애정의 욕구-친목행사, 취미집단활동, 운동회, 가족프로그램, 가족상담 등

④자아실현의 욕구-실적 표창, 공정한 인사고과, 장려금 등

 

문 7.「장애인복지법」에 근거하여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지급할 수 있는 급여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장애수당

ㄴ.장애아동수당

ㄷ.보호수당

ㄹ.장애연금

①ㄱ, ㄴ, ㄷ

②ㄱ, ㄷ

③ㄴ, ㄹ

④ㄱ, ㄴ, ㄷ, ㄹ

 

문 8.복지국가 위기 이후 복지국가 재편과 관련하여 제숍(Jessop)이 제시한 ‘슘페테리안 워크페어 국가(Schumpeterian Workfare State)’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국민국가의 강화

②노동의 유연성 강조

③신보수주의 영향

④국가개입의 축소

 

문 9.2000년 이후 한국에서 나타난 사회복지발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국민의 정부는 자활을 위한 사회적 투자개념의 도입 등 생산적 복지개념을 구체화하였다.

②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시행으로 저소득층에 대한 국가책임을 강화하였다.

③소득보장중심의 복지정책에서 의식주 전반의 생활권보장의 개념으로 복지정책이 확대되었다.

사회복지시설 허가제 및 평가제도 도입 등을 통해 민간의 복지참여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였다.

 

문 10.개인과 조직의 갈등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며, 갈등을 순기능적으로 보는 사회복지행정 모형은?

①구조주의 모형

②인간관계 모형

③행정관리 모형

④과학적관리 모형

 

문 11.사회보험제도를 시장원리에 입각한 민간보험방식에 맡겼을 때 우려되는 ‘도덕적 해이’ 및 ‘역선택’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양자 모두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이다.

②보험에 가입한 사람들이 사고를 방지하려는 노력을 줄이는 것을 역선택이라고 한다.

③사회보험에서는 역선택을 방지하기 위해 강제가입의 원칙을 채택한다.

사회보험 중 건강보험과 고용보험에서 상대적으로 도덕적 해이가 발생할 빈도가 높다.

 

문 12.사회복지 가치로서의 평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량적 평등은 소득재분배를 목적으로 모든 사람에게 능력이나 기여와 상관없이 똑같이 사회적 자원을 배분한다.

비례적 평등은 개인의 욕구, 노력, 능력 등에 따라 사회적 자원을 상이하게 배분한다.

③결과의 평등은 기여에 따라 급여를 배분하는 것으로, 이를 흔히 공평(equity)이라고 한다.

기회의 평등은 최소한의 국가개입을 주장하는 보수주의자 내지 (신)자유주의자들이 선호하는 개념이다.

 

문 13.에스핑-안데르센(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 유형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복지국가의 유형을 자유주의적 복지국가, 조합주의적 복지국가, 사회민주주의적 복지국가로 구분하였다.

②복지국가의 유형들 중에서 자유주의적 복지국가가 탈상품화 정도가 가장 낮다.

탈상품화는 복지정책의 시장영향력 완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개념 틀이다.

개별 복지국가의 유형들은 국가별 경제상황과 경제정책의 특성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문 14.사회복지실천의 목적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사회정책의 개발과 향상에 기여

ㄴ.체계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의 향상

ㄷ.자원, 서비스, 기회를 제공하는 체계와 개인의 연결

ㄹ.개인의 문제해결 및 대처 능력의 고양

①ㄱ, ㄴ

②ㄷ, ㄹ

③ㄱ, ㄴ, ㄷ

④ㄱ, ㄴ, ㄷ, ㄹ

 

문 15.사회복지발달이론 중 수렴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현대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주요 변수로 산업화와 경제발전을 들고 있다.

산업사회의 사회구조를 결정짓는 열쇠는 기술 즉, 산업화이며 어느 수준의 산업화를 이룬 국가들의 사회복지제도들은 어느 한 점으로 수렴되어 비슷하다고 주장한다.

인도주의 사상에 기초하여 이타주의와 사회적 책임성 맥락에서 사회복지제도의 발달을 설명한다.

④일단 산업화가 시작되면 사회복지제도의 도입은 거의 필연적이며, 기술이 발전하면 할수록 사회복지는 발달하게 된다고 본다.

 

문 16.사회복지 이념 및 사상으로서 ‘제3의 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사회민주주의와 신자유주의의 장점을 결합하고 단점을 시정한 것이다.

②인간의 얼굴을 한 시장경제를 추구한다.

적극적인 복지시민의 위상정립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자유, 평등, 우애를 중심 가치로 하고 국민최저선의 설정, 기회평등의 촉진, 취약자에 대한 적극적 차별의 시행을 강조한다.

 

문 17.사회복지의 이념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신자유주의는 사회복지에 대한 민영화를 강조한다.

②사회민주주의는 기회와 소득에서의 불평등을 인정하지 않고 결과의 평등을 강조한다.

마르크스주의는 복지국가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취한다.

자유주의는 사회복지에 대한 정부의 최소한의 개입을 강조한다.

 

문 18.‘사회복지 평가’의 목적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역기능적 상호작용을 수정한다.

②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이론 형성에 기여한다.

③프로그램 계획이나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④국가나 사회로부터의 책임성을 이행한다.

 

문 19.‘심리사회적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상황 속의 인간이라는 개념을 중요시 한다.

ㄴ.인간의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으로 바꾸는 것에 초점을 둔다.

ㄷ.정신분석이론, 생태체계론 등을 이론적 기반으로 한다.

ㄹ.주된 기법으로 직접 영향주기, 탐색-기술-환기기법, 유형-역동성 고찰 등이 있다.

ㅁ.개입에 있어 구조화된 절차를 가지고 교육적 접근을 강조한다.

①ㄱ, ㄴ, ㄷ

②ㄱ, ㄷ, ㄹ

③ㄴ, ㄹ, ㅁ

④ㄷ, ㄹ, ㅁ

 

문 20.생태체계적 관점에 입각하여 유기체로서의 개인이 그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어떻게 적응관계를 유지하는가에 주요 관심을 두고, 사람과 환경간, 특히 인간의 욕구와 환경적 자원간의 적합수준(level of fit)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복지실천모델은?

①행동수정모델           ②인지모델        ③생활모델          ④심리사회모델

728x90
728x90

문 1.사회복지와 관련된 개념들을 구분하여 기술한 프리드랜더(Friedlander)와 압테(Apte)의 정의에서 ㉠과 ㉡에 적절한 것은?

㉠은(는) 개인과 집단을 원조하여 건강상 만족스러운 기준에 도달할 때까지 행하는 계획적인 사회적 서비스와 시설의 조직 제도이다. 반면 ㉡은(는) 개인으로 하여금 개인을 집단의 일원으로서 사회적․인간적인 만족과 독립을 성취하도록 원조하여 주고 인간관계에 관한 과학적 지식과 숙련을 기초로 한 전문적 활동이다.

㉠                              

①사회사업                   사회보장

②사회보장                   사회복지서비스

③사회복지서비스         사회복지

④사회복지                   사회사업

 


문 2.사회보험과 공공부조에 대한 비교로서 옳지 않은 것은?

사회보험은 기여와 위험 발생을 수급조건으로 하지만 공공부조는 자산조사를 수급조건으로 한다.

사회보험은 수입과 지출 총액이 예측되기 어려운 반면 공공부조는 그 재정을 예측하기가 용이하다.

사회보험은 위험에 대한 사전적 대책인 반면 공공부조는 위험에 대한 사후적 대책이다.

사회보험은 보험료를 통해 재원을 충당하지만 공공부조는 일반조세를 통해 재원을 충당한다.

 

문 3.사회복지 역사에서 거택보호를 처음으로 인정한 법은?

①스핀햄랜드법(Speenhamland Act)

②개정구빈법(Poor Law Reform)

③길버트법(Gilbert Act)

④정주법(Settlement Act)

 

문 4.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zation Society)와 인보관운동(Settlement House Moveme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자선조직협회는 빈곤자들이 어떤 종류의 원조도 중복하여 받지 못하도록 조치하고자 하였다.

인보관운동은 사회문제의 실태에 대한 조사를 통한 사회구조적 문제해결을 강조하였다.

인보관운동은 사회적 진화론에 기초하여 집단사회사업과 지역사회조직의 발달에 기여하였다.

④자선조직협회의 우애방문자들은 빈곤자들의 도덕성을 고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문 5.1601년 엘리자베스 구빈법(Poor Law)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열등처우의 원칙이 마련되었다.

②빈민을 노동능력 유무에 따라 차별 처우하였다.

③친족부양의 책임을 강조하였다.

④빈민구제를 지방정부의 책임으로 인식하였다.

 

문 6.사회복지 이념 중 보편주의에 입각한 사회복지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사회문제는 개인적 결함으로 발생한다.

②사회문제는 공공의 노력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③사회복지의 제도적 개념에 기초한다.

④국민 전체가 사회복지의 대상이 된다.

 

문 7.우리나라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 명시된 윤리적 기준이 아닌 것은?

①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적 기준

②국가에 대한 윤리적 기준

③동료에 대한 윤리적 기준

④기관에 대한 윤리적 기준

 

문 8.개인의 감정이나 행동변화를 위해 부정적 감정의 근원이 되는 비합리적 신념을 밝혀내고 도전함으로써 사고를 재구조화하도록 돕는 사회복지 실천모델은?

①임파워먼트모델            ②심리사회모델

③인지행동모델               ④과제중심모델

 

문 9.사례관리의 등장배경이 아닌 것은?

①다양한 문제와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의 증가

②탈시설화의 영향

③복잡하고 분산된 서비스 연계의 필요성 증가

④클라이언트에 대한 직접적 서비스의 필요성 증가

 

문 10.사회복지실천에서 클라이언트와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기본원칙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개별화:모든 클라이언트는 개별적인 욕구를 가진 존재로 존중되어야 한다.

②의도적 감정표현:클라이언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감정을 의도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통제된 정서적 관여:클라이언트가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흐르지 않도록 도와야 한다.

수용:클라이언트가 지닌 부정적이거나 비정상적인 모든 측면들을 용서하고 허용해야 한다.

 

문 11.사회복지 실천과정의 접수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확인하여 기관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자격여부를 결정한다.

②클라이언트와 긍정적 관계를 형성한다.

③클라이언트의 문제를 기관에서 해결할 수 없을 경우 적합한 다른 기관으로 클라이언트를 의뢰한다.

④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확인하고 개입 전략을 수립한다.

 

문 12.사회복지사가 수행한 (가)와 (나)의 역할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가)학교에 있는 사회복지사가 비행학생과의 상담을 통해 자신의 문제해결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였고,

(나)학교로 하여금 부당한 학생징계 방침을 철회하도록 개입하였다.

   (가)                             (나)

①교육자(educator)            중개자(broker)

②조정자(coordinator)        행동가(activist)

③훈련가(trainer)                창시자(initiator)

④조성자(enabler)              옹호자(advocate)

 

문 13.긴급복지지원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위기상황에 처한 사람을 신속하게 지원하기 위한 제도이다.

②2006년 3월부터 시행된 한시적인 제도이다.

③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를 대상으로 한다.

④생계지원, 의료지원, 주거지원, 사회복지시설 이용 지원 등을 제공한다.

 

문 14.「노인복지법」에서 노인요양시설이 속한 노인복지시설은?

①노인주거복지시설                ②노인의료복지시설

③재가노인복지시설                ④노인여가복지시설

 

문 15.「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ㄱ.장기요양보험사업의 보험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다.

ㄴ.장기요양급여는 재가급여, 시설급여, 특별현금급여로 구분된다.

ㄷ.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의료급여수급권자는 장기요양인정을 신청할 수 있다.

ㄹ.재가장기요양기관을 설치하고자 하는 자는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①ㄱ, ㄴ                 ②ㄷ, ㄹ

③ㄱ, ㄴ, ㄷ            ④ㄱ, ㄴ, ㄷ, ㄹ

 

문 16.사회복지의 급여를 현금과 현물로 구분할 경우, 현금급여에 비해 현물급여가 가지는 장점은?

①선택의 자유를 극대화할 수 있다.

②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③용도 외 사용을 막아 목표달성에 효과적일 수 있다.

④사회적 낙인을 줄일 수 있다.

 

문 17.「정신보건법」의 기본 이념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모든 정신질환자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받는다.

②모든 정신질환자는 최적의 치료를 받을 권리를 보장받는다.

③모든 정신질환자는 보호자의 동의에 의한 입원이 권장되어야 한다.

미성년자인 정신질환자에 대하여는 필요한 교육을 받을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문 18.클라이언트가 가진 강점과 자원에 초점을 두고, 클라이언트의 역량을 강화 또는 향상시키는 것을 강조하는 사회복지 실천모델은?

①기능주의모델              ②과제중심모델

③임파워먼트모델           ④심리사회모델

 

문 19.사회복지사의 비밀보장 윤리원칙의 예외상황을 모두 고르면?

ㄱ.여성 클라이언트가 이혼한 남편에게 거주지를 알려 주지 말라고 요청하는 경우

ㄴ.클라이언트가 자신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라는 사실을 이웃에 알리기 싫어하는 경우

ㄷ.에이즈에 걸린 클라이언트가 배우자와의 계속적인 성관계를 위해 배우자에게 비밀로 해 달라고 요청하는 경우

ㄹ.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가 다른 사람에게는 비밀이라고 하면서 숨겨둔 재산이 많다고 고백하는 경우

①ㄱ, ㄴ            ②ㄷ, ㄹ

③ㄱ, ㄷ, ㄹ       ④ㄱ, ㄴ, ㄷ, ㄹ

 

문 20.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에게 일정기간 동안 다른 가정에서 대리보호를 제공하는 아동복지서비스는?

①가정위탁서비스            ②입양서비스

③보육서비스                   ④시설보호서비스

728x90
728x90

문 1.리더십의 유형 중 참여적 리더십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조직 목표에 대한 구성원들의 참여 동기를 증대시킨다.

②책임이 집중되어 효율성이 증대된다.

③집단의 지식과 기술 활용이 용이하다.

④참여에 따르는 시간 소모가 많다.

 


문 2.클라이언트의 ‘문제나 결핍’보다는 클라이언트의 ‘내적 혹은 외적 자원’을 더욱 강조하고 활용하는 실천이론은?

①클라이언트 중심 모델            ②강점관점 모델

③문제해결 모델                      ④긍정적 관점 모델

 

문 3.사례 관리의 고유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다양한 기관과 조직들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조정한다.

클라이언트 지원망으로부터의 서비스 수혜 양상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적합한 포괄적 서비스 계획을 수립한다.

④클라이언트의 심리내적인 문제의 치료에 집중한다.

 

문 4.개별 동사무소에 분산 배치되어 있던 사회복지사들을 하나의 지사무소로 집중 배치하여 근무하게 할 경우, 사회복지전달체계가 갖추어야 할 요건 중 가장 심대하게 위협받을 수 있는 것은?

①충분성          ②전문성

③접근성          ④책임성

 

문 5.현행 「사회복지사업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외의 자가 사회복지시설을 설치․운하고자 하는 때에는 관할 시장․군수․구청장으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한다.

시장․군수․구청장은 보호대상자에게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시설입소에 우선하여 재가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여야 한다.

③시․군․구에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둔다.

시장․군수․구청장은 시․군․구의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시․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문 6.지역사회복지모델 중 사회계획모델과 사회행동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사회계획모델은 주요 사회문제의 해결을 추구하지만, 사회행동모델은 기본 제도의 변화를 추구한다.

②사회계획모델에서 사회복지사는 분석가와 계획가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사회행동에서는 대변자 및 행동가의 역할을 수행한다.

③사회계획모델은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이해관계가 쉽게 조정될 수 없다고 보지만, 사회행동모델은 조정가능한 것으로 파악한다.

사회계획모델에서 권력자는 전문가의 후원자 혹은 고용자이지만, 사회행동모델에서는 수정되어야 할 외부의 표적이다.

 

문 7.연금재정방식 중 ‘부과방식’ 연금제도에서 기대할 수 있는 주요한 소득재분배 효과는?

①수평적 재분배           ②수직적 재분배

③세대내 재분배           ④세대간 재분배

 

문 8.가정의 역할과 부모의 양육기능을 중심으로 카두신(Kadushin)이 분류한 아동복지서비스 유형이 아닌 것은?

①지지적 서비스(supportive service)

②감독적 서비스(supervisory service)

③보완적 서비스(supplementary service)

④대리적 서비스(substitute service)

 

문 9.노인이 혼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동작을 어느 정도 할 수 있는지를 가늠하기 위해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과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이라는 개념이 사용되고 있다. IADL에 해당하는 것은?

①물건사기           ②목욕하기

③집안 내 걷기      ④화장실 사용하기

 

문 10.교통사고로 양다리가 절단된 사람이 탁월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술을 소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업을 구하기 힘든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걷기 기능의 손상과 관련된 일차적 장애에 관한 설명이다.

②장애로 인해 직업 수행 능력이 저하되었음을 의미한다.

③신체 손상의 극복을 위한 재활 훈련서비스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④사회적 장애, 즉 사회적 차원의 3차적인 장애를 의미한다.

 

문 11.윌렌스키(Wilensky)와 르보(Lebeaux)가 제시한 현대 산업사회의 사회복지활동을 특징짓는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공식적인 조직을 통해 제공되어야 한다.

②영리추구가 주된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③사회적으로 승인된 목적과 방법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④소득재분배 기능을 가져야 한다.

 

문 12.브래드쇼우(Bradshaw)가 제시한 욕구(need)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잠재적 욕구(latent need)

규범적 욕구(normative need)

③비교 욕구(comparative need)

④느낀 욕구(felt need)

 

문 13.사회복지제도의 발달을 산업화 이론으로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산업재해, 실업 등의 사회문제들은 복지수요를 증대시켰다.

②도시화에 부수된 사회문제들은 복지욕구를 증대시켰다.

노동자 계급의 정치적 세력 증대가 복지서비스를 확대시켰다.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 및 가족구조의 변화 등이 복지서비스의 확대를 불러왔다.

 

문 14.영국의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zation Society)와 인보관 운동(Settlement House Moveme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자선조직협회는 자선단체간의 협력, 조사에 의거한 처우방침 결정 등과 같이 근대적 사회복지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였다.

인보관 운동의 창시자인 토인비(A. Toynbee)를 기념하여 토인비홀(Toynbee Hall)이 세워졌으며, 인보관 운동은 집단 및 지역사회복지실천기술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자선조직협회의 우애방문원은 가정방문과 면접을 통하여 민을 돕는 역할을 담당하였고, 이후 공식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사회사업가가 됨으로써 전문 사회사업가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인보관 운동은 지식인과 대학생 등이 중심이 되어 빈민과 함께 거주하며, 빈곤문제를 사회개량적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문 15.우리나라의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전문’에 포함된 사회복지 전문직의 실천가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클라이언트의 주체성과 자기결정권의 보장

②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지식과 기술의 개발

③전문가로서의 능력과 품위 유지의 노력

④전문가로서의 권위와 지위 향상의 노력

 

문 16.어느 자치단체가 ‘저소득층 가정의 6세 이하 어린이와 임산부에게 영양과 문화생활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 경우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는 복지이념은?

①기회의 평등         ②결과의 평등

③비례적 평등         ④수량적 평등

 

문 17.사회복지 대상자 선정 기준 중 ‘잔여적 사회복지’의 개념에 가장 충실한 기준은?

①귀속적 욕구 기준           ②자산조사 기준

③보상 기준                      ④진단적 등급 분류 기준

 

문 18.베버리지 보고서가 채택하고 있는 기본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적용 포괄성의 원칙           ②행정책임 통합의 원칙

③차등 기여의 원칙              ④급여 적절성의 원칙

 

문 19.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는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자와 클라이언트를 연결시키기 위한 조직적 장치라 할 수 있다. 전달체계가 갖추어야 할 주요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지속성의 원칙:개인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중단 없이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포괄성의 원칙:인간의 욕구와 문제는 다양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사회복지서비스는 이러한 문제들을 동시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제공되어야 한다.

전문성의 원칙:사회복지서비스는 그 양과 질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의 욕구충족에 충분할 정도로 제공되어야 한다.

④통합성의 원칙:클라이언트의 문제는 매우 복합적이고 상호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관련 기관들의 사회복지서비스를 연계합하여 제공하도록 하여야 한다.

 

문 20.사회복지실천모델 중 과제중심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년 이상의 장기적인 개입이 행해지며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이 강조된다.

실천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만들어졌으며 사회복지사가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모델이다.

개입과정이 구조화되어 있으며 개입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이 강조된다.

여러 가지 이론적 정향을 절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천의 틀을 제시하고 있다.

728x90
728x90

문 1.현대사회에서 사회복지가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①인간다운 생활 보장

②개인 스스로 생활할 수 있는 자립성 증진

③효율적 시장체계 구축

④사회성원 및 사회집단 간의 사회통합


 

문 2.사회복지의 개념에 포함된 속성을 모두 고르면?

ㄱ. 사회구성원의 행복 추구

ㄴ. 인간의 기본적․사회적 욕구 충족

ㄷ. 개인과 가족의 노력과 활동

ㄹ. 재화와 서비스의 효율적 생산,배분,소비

①ㄱ

②ㄱ, ㄴ

③ㄱ, ㄴ,ㄷ

④ㄱ, ㄴ,ㄷ,ㄹ

 

문 3.사회복지의 제도적 개념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시장이나 가족제도의 불완전성을 전제로 한다.

사회복지의 기능은 다른 사회제도가 수행하는 기능과 구별된다.

시장에 의한 자원의 분배에 대하여 수정․보완이 필요하다.

④사회문제를 병리적 관점에서 파악한다.

 

문 4.사회복지이념에 따른 국가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자유주의: 사회복지에 대한 국가의 최소 개입 강조

②사회민주주의: 개인 및 가족의 욕구 해결을 위한 국가의 적극적 개입 지향

③보수주의: 국가에 의한 사회복지체계의 독점화 주장

마르크스주의: 국가가 사회복지에 전적으로 개입하여 욕구에 따른 분배 실현

 

문 5.다음은 사회복지실천기술 중 어떤 유형의 의사소통기술인가?

자신의 상황이나 능력에 대해 회의하고 있는 클라이언트에게 신뢰를 전달함으로써 자신감을 회복, 향상시키는 것

①환기법

②격려

③재보증

④직면

 

문 6.사회보험과 민간보험의 특징을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구분

사회보험

민간보험

가입 형태

강제

임의

보험료 산정

소득

지불 능력

수급 자격

자산조사

계약

급여 수준

사회적 적절성

형평성

 

문 7.우리나라 사회복지역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일제강점기의 조선구호령은 광복 후 생활보호법이 제정되기 전까지 공공부조의 지침 구실을 했다.

1970년대에 들어 사회복지사업법과 사회보장기본법이 제정되었다.

③조선시대의 구제제도로 상평창, 의창, 사창 등의 비황제도가 있었다.

우리나라 사회보험 중 가장 먼저 도입된 제도는 산업재해보상보험이다.

 

문 8.복지국가 위기 이후 자유주의 복지국가의 재편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시장원리의 강조

②긴축재정

③탈규제화

④국가복지의 확대

 

문 9. 사회복지사의 윤리 및 가치문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사회복지문제가 가치지향적이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는 윤리적 딜레마에 빠질 위험이 적다.

②사회복지사는 자신의 가치와 클라이언트의 가치 사이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③사회복지사는 법, 도덕 등의 사회규범에 익숙해야 한다.

④사회복지사는 전문적 윤리강령을 통해 가치들 간의 위계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문 10.사례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사회복지실천의 관심이 치료에서 케어(care)로 변화하면서 등장하였다.

②욕구와 자원의 연결이 주된 개념이다.

③클라이언트 욕구의 다양화가 증대되면서 강조되었다.

④클라이언트의 보호방법이 재가복지에서 시설복지로 전환함에따라 활성화되었다.

 

문 11.사회복지실천모델 중 역량강화(empowerment) 모델에서 제시하는 내용이 아 것은?

①클라이언트는 경험과 역량을 가진 원조과정의 파트너이다.

②클라이언트의 진술은 전문가에 의해 해석되어 진단에 활용된다.

③클라이언트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와 서비스를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소비자이다.

④클라이언트가 처한 문제는 성장을 위한 기회로 재개념화된다.

 

문 12.지역사회시니어클럽(community senior club)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자립형 노인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ㄴ.노인이 서비스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의 주체가 된다.

ㄷ. 노인은 사회적 약자라는 노인관에 입각하고 있다.

①ㄱ

②ㄱ, ㄴ

③ㄴ, ㄷ

④ㄱ, ㄴ, ㄷ

 

문 13.다음은 카두신(A. Kadushin)이 제시한 아동복지서비스의 유형 중 무엇을 설명한 것인가?

부모의 실직, 장애, 사망 등으로 인해 부모의 보호, 양육의 질이 부적절하거나 약화되었을 경우 제공되는 서비스로서, 공공부조에 의한 보호나 빈곤가정의 아동을 위한 아동수당제도를 예로 들 수 있다.

①지지적 서비스

②대리적 서비스

③보충적 서비스

④보호적 서비스

 

문 14.사회복지실천과정 중 접수단계에서 요구되는 사회복지사의 과업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①클라이언트의 욕구와 문제를 정확하게 확인한다.

②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긍정적 친화관계를 형성한다.

③클라이언트의 저항감과 양가감정을 해소한다.

④클라이언트의 문제를 발견하고 개입목표를 설정한다.

 

문 15.‘환경 속의 인간’에 초점을 두고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과거 혹은 현재의 경험과 관련된 내적 갈등을 이해하고 통찰함으로써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것을 강조하는 사회복지실천모델은?

①기능주의적 모델

②심리사회적 모델

③행동수정 모델

④과제중심 모델

 

문 16.사회복지행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사회복지서비스의 효과를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표준척도가 많이 개발되어 있어 비용-효과분석이 용이하다.

사회복지행정은 사회복지정책을 사회복지서비스로 전환시키는 데 필요한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총체적 활동이다.

사회복지전달체계란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 중앙과 지방 일선에 이르는 모든 공․사 조직의 서비스 전달망을 말한다.

④사회복지조직은 클라이언트 중심적, 탄력적, 전문적인 특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 17.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주무부처는 보건복지부이며, 직접적인 시행은 지방자치단체에서 담당한다.

②대상자 선정 기준으로 연령, 근로능력 여부를 설정하였다.

저소득층의 최저생활을 법적으로 보장하는 권리의 성격을 강조하고 있다.

④과거 생활보호제도와 비교하여 주거급여가 신설되었다.

 

문 18.개별 사회서비스(personal social servic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클라이언트의 욕구 차이에 따른 서비스의 조정이 이루어지지않는다.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직접적인 대면 접촉 없이 제공된다.

개인, 가족, 집단의 보편적 욕구 충족이 목적이며, 개별적 욕구는 무시된다.

④신체적․정신적 재활과 기능 향상을 위한 무형의 서비스라는 특징을 가진다.

 

문 19. 로스만(J. Rothman)이 제시한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중 사회행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사회복지사는 옹호자, 선동자, 협상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②클라이언트집단이나 수익집단의 개념은 희생자이다.

③지역사회 내 권력관계와 자원 및 제도 변화를 활동의 목표로 삼는다.

지역사회 주민 스스로의 활동 능력 배양을 통한 자조, 자립의 과정을 중시한다.

 

문 20.노인복지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노인복지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노인전문병원은 노인복지시설에 포함되지 않는다.

노인복지시설의 종류에는 노인주거복지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여가복지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 노인보호전문기관이 있다.

실비양로시설에서는 일정 소득 이하의 노인을 입소시켜 저렴한 요금으로 급식과 기타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한다.

재가노인복지시설에는 가정봉사원파견시설, 주간보호시설, 단기보호시설이 있다. 

728x90
728x90

문 1.전력이 100[W]인 신호가 어떤 회로를 통과하여 전력이 36[dBm]이 되었다고 할 때,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전력비는? (단, log2=0.3, log3=0.48로 한다)

①4:1

②9:1

③16:1

④25:1

 


문 2.전파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장애물 뒤쪽으로 전파의 일부가 휘어져서 전파되는 현상은?

①전파의 회절

②전파의 감쇄

③전파의 굴절

④전파의 편파

 

문 3.반송파를 삽입하는 진폭 변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반송파를 삽입하지 않는 방식에 비해 수신기가 복잡하다.

②변조지수가 1보다 작으면 비동기식 복조가 가능하다.

③전력 효율이 낮은 전송방식이다.

④SSB 방식에 비해 대역 효율이 낮다.

 

문 4.다음 디지털 변조 방식 가운데 대역 효율이 가장 높은 방식은?

①BPSK

②QPSK

③16-QAM

④32-ary orthogonal FSK

 

문 5.최대 초당 2,400[baud] 심볼률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사용하여 5,000[bps] 디지털 음성을 보내고자 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의 심볼 상태 수는?

①2

②4

③8

④16

 

문 6.수신기에서 1[MHz]의 주기적인 신호가 2.7[MHz] 정현파를 출력하는 국부 발진기와 혼합된 후, 600[kHz]의 차단주파수를 갖는 저역통과필터(LPF)를 통과한다. 이러한 수신기의 저역통과필터(LPF) 출력에 나타나는 신호의 주파수[kHz]는?

①300

②400

③500

④550

 

문 7.길이가 7.5[cm]인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로 수신할 때, 수신감도가 가장 우수한 신호는? (단, 전파의 속도는 3x108[m/s]이다)

① s(t) = 7.5cos(2x108πt)

② s(t) = 7.5cos(4x108πt)

③ s(t) = 15cos(2x109πt)

④ s(t) = 15cos(4x109πt)

 

문 8.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안테나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여 전송률을 높일 수 있다.

②송수신 다이버시티를 기대하기 힘들다.

③송수신 안테나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도 있으며 한 사용자에 모두 할당할 수도 있다.

④무선통신 시 다중경로 페이딩과 같은 현상으로 인한 전송률 저하를 개선시킬 수 있다.

 

문 9.무선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OFDM 전송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다중경로에 효율적인 전송방식이다.

②CP(Cyclic Prefix)의 삽입으로 대역폭 효율이 증가한다.

③단일주파수망이 가능하여 방송용에도 장점으로 작용한다.

협대역 간섭이 일부 부반송파에만 영향을 주기 때문에 협대역 간섭에 강하다.

 

문 10.위성통신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저궤도 위성과 비교하였을 때, 정지궤도 위성은 지상 기지국에서 동일한 수신 전력을 얻기 위하여 보다 큰 송신 출력이 요구된다.

②저궤도 위성 시스템의 경우, 지상 기지국에서 위성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정지궤도 위성의 경우, 3개의 위성으로 지구 대부분의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다원접속(Multiple access)이라 함은 하나의 기지국이 여러 대의 위성에 동시 접속하는 것이다.

 

문 11.마이크로파(Microwave)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전리층의 반사를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다.

②우수한 지향성, 직진성, 반사성을 갖는다.

TV 중계, 위성 중계, 레이더 및 고속 데이터 통신에 사용된다.

④300MHz∼30GHz의 UHF와 SHF대의 전파가 마이크로파에 포함된다.

 

문 12.진폭 변조(AM)와 비교하여 주파수 변조(FM)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진폭 리미터(limiter)에 의해 진폭에 중첩되어 있는 잡음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AM에 비해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채널당 주파수 간격을 충분히 취함으로써 간섭을 피하고 잡음이 적은 통신이 가능하다.

③AM에서 100%이상 변조 시 신호 왜곡이 일어나는데 비해, FM에서는 이러한 왜곡이 문제가 되지 않아 신호대 잡음비의 개선이 비교적 용이하다.

AM 송신기와 수신기는 변조와 복조를 위한 회로가 복잡해지고 장치의 크기와 가격이 증가하지만, FM의 경우 상대적으로 소형․경량․저가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문 13.셀룰러 이동통신의 핵심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핸드오프 기술

②동기 검파 기술

③주파수 재사용 기술

④셀 분할 기술

 

문 14.안테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안테나 크기는 작아진다.

②안테나의 지향성은 안테나의 전력 이득과 무관하다.

③야기 안테나는 지향성 안테나이다.

④패치 안테나는 안테나 어레이를 만들기에 적합하다.

 

문 15.대역폭이 400[Hz]인 신호를 변조지수가 2인 FM 변조하였다. 카슨(Carson)의 법칙을 이용할 때, 변조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Hz]은?

①400

②1,200

③2,400

④3,600

 

문 16. 15[GHz]에서 동작하는 경찰 레이더가 차량의 속도를 추적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만약 차량이 180[km/h]의 속도로 움직이고 경찰 레이더에 일직선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다면, 도플러 이동 주파수[Hz]는? (단, 전파의 속도는 3x108 [m/s]이다)

①1,500

②1,800

③5,000

④8,944

 

문 17.레이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표적의 거리는 송신신호가 표적에 도달하고 다시 돌아오는 데 걸린 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②표적의 방향은 귀환신호(Returned signal)의 도래각(Arrival angle)으로 결정한다.

③표적의 상대운동(Relative motion)은 귀환신호의 반송파에서 도플러 이동(Doppler shift)으로 결정할 수 있다.

④레이더는 표적의 거리, 방향, 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지만, 암흑․안개․우천 시와 같은 악천후 날씨와 장거리 영역에서 동작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문 18.광대역 무선 액세스 시스템을 설계할 때, 무선 채널의 페이딩 현상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다수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한다.

②변조지수를 증가시킨다.

③채널 부호화(Channel coding)를 적용한다.

④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고, 시공간 부호(Space-time code)를 적용한다.

 

문 19.셀룰러 이동통신에서 RF 중계기의 사용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신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수의 중계기를 설치함으로 인해 전송 커버리지가 확대된다.

③기지국 설치비용이 절감된다.

④전계 강도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부분적인 음영지역을 해소할 수 있다.

 

문 20.무선 도시지역 통신망 기술인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s)의 기술을 규정한 국제 표준명은?

①IEEE 802.11

②IEEE 802.15

③IEEE 802.16

④IEEE 802.21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