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 1.국제법의 법원(法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국제관습법은 법으로 수락된 일반관행의 증거로서의 국제관습을 말한다.

문명국에 의하여 인정된 법의 일반원칙은 국제사법재판소(ICJ)의 재판준칙이 될 수 있다.

국제사법재판소는 당사국이 합의하는 경우 형평(衡平)과 선(善)에 의해 재판할 수 있다.

④조약과 국제관습법의 충돌이 있는 경우 조약이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문 2.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국제사법재판소는 국제법의 국내법에 대한 우위 원칙을 견지해 왔다.

이원론의 입장에 따르면 국제법을 국내적으로 수용하기 위해서는 변형 절차를 거쳐야 한다.

국가는 국제의무를 회피할 목적으로 자국의 국내법을 원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헌법은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를 국내법의 일부로서 수용한다는 의사를 표명하고 있다.

 

문 3.[1933년 국가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몬테비데오협약] 상 국가 성립요건이 아닌 것은?

①영구적 주민(a permanent population)

②정부승인(recognition of government)

③명확한 영역(a defined territory)

타 국가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the capacity to enter into relations with other states)

 

문 4.정치범 불인도의 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국가원수와 그 가족에 대한 살해는 오늘날 정치범죄로 인정된다.

②일반적으로 피청구국이 범죄의 정치적 성격을 결정한다.

③전쟁관련범죄, 항공기납치 등은 오늘날 정치범죄로 인정되지 않는다.

오늘날 대부분의 범죄인 인도조약은 정치범죄를 인도대상에서 제외시키고 있다.

 

문 5.국제연합(UN) 총회의 권한 중 안전보장이사회의 권고 없이 단독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은?

①사무총장의 임명

②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의 선출

③회원국으로의 승인

④회원국의 권리와 특권의 행사 정지

 

문 6.국제법 상 자위권(right of self-defen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UN헌장] 상 합법적으로 무력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이다.

②상대국의 위법한 무력사용이 선행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③개별적 행사는 가능하나 집단적 행사는 인정되지 않고 있다.

④급박하고 현존하는 무력공격에 대하여 발동할 수 있다.

 

문 7.스팀슨주의(Stimson Doctrin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부전조약(不戰條約)에 위반된 방법으로 성립한 국가승인을 반대하는 것이다.

②국제분쟁 해결수단으로서의 전쟁을 반대하는 것이다.

실효적 지배력을 가지지 못한 정부의 승인을 반대하는 것이다.

④상조의 승인을 반대하는 것이다.

 

문 8.세계무역기구(WTO)의 분쟁해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제소국의 일방적인 패널설치요청으로 패널이 설치된다.

제소국은 협의를 요청한 후 60일 이전이라도 패널설치를 요구할 수 있다.

③패널설치는 모든 회원국이 반대하지 아니하는 한 자동적으로 설치된다.

④패널설치 이후에는 주선, 중개, 조정절차를 이용할 수 없다.

 

문 9.[1982년 UN해양법협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군도수역제도의 신설

②영해 범위의 확정

③대륙붕 기준의 변경

④접속수역제도의 신설

 

문 10.국제법 상 추적권 행사의 요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추적권은 추적당하는 외국선박이 그 기국 또는 제3국의 영해 내로 도주해 들어갔을 때에도 계속된다.

외국선박이 추적국의 내수, 군도수역, 영해, 접속수역에 있어야 추적을 개시할 수 있다.

추적은 중단 없이 계속되어야 하며, 정선명령을 한 선박은 영해 또는 접속수역에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

추적은 시각이나 음향 정선신호가 외국선박이 보거나 들을 수 있는 거리에서 발신된 후 시작되어야 한다.

 

문 11.[국제연합(UN)헌장] 제2조에 규정된 UN 및 그 회원국이 준수해야행동의 기본원칙이 아닌 것은?

①국내문제 불간섭의 원칙

②인권존중의 원칙

③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원칙

④주권평등의 원칙

 

문 12.[기후변화협약]에 따른 후속 합의로서 주요 국가들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 의무를 규정하고 있는 것은?

①교토의정서

②바젤협약

③오존층보호협약

④몬트리올의정서

 

문 13.1969년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협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국가 간에 체결된 조약에만 적용되며 협약이 발효된 이후 성립된 합의에만 적용된다.

명칭에 관계없이 국가 간에 체결된 서면의 형식으로 이루어진 합의면 조약에 해당한다.

③국내법에 따른 비준 동의 절차를 거치지 아니한 조약은 당연 무효이다.

④조약이 발효되기 위해 UN사무국에 등록될 필요는 없다.

 

문 14.다음 분쟁해결기관 중 그 해결 방식이 다른 것은?

①UN해양법재판소(ITLOS)

②국제투자분쟁해결센터(ICSID)

③상설중재재판소(PCA)

④이란-미국청구법원(Iran-United States Claims Tribunal)

 

문 15.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의 지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GATT 1947의 체약국은 WTO의 회원국으로 간주된다.

②회원국은 WTO협정과 동 부속서 등에 규정된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된다.

③국가만이 회원 자격을 가지며 독자적 관세영역은 회원국이 될 수 없다.

④신규 회원국의 가입은 각료회의가 결정한다.

 

문 16.조약의 유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국제사법재판소(ICJ)에 따르면 국가는 당해 유보가 조약의 대상 및 목적과 양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보할 수 없다.

첨부된 유보는 언제든지 자유롭게 철회될 수 있으며 그 철회를 위해서는 동 유보를 수락한 국가의 동의를 필요로 한다.

유보한 국가는 이 유보를 수락한 국가에 대하여 자국이 유보에 의하여 면제된 조약 상의 의무 이행을 요구할 수 없다.

유보국과 유보반대국 간에도 조약관계는 성립되며 유보로 인한 조약관계 성립을 부인하려는 국가는 그러한 의사표시를 하여야 한다.

 

문 17.[1982년 UN해양법협약] 상 국제해협의 통과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통과통항은 모든 선박과 항공기가 향유할 수 있으므로 군함에게도 인정된다.

통항로의 한 쪽 입구가 외국영해로 연결되는 해협에서는 통과통항권이 인정된다.

잠수함의 경우 통과통항한다면 잠수항행이 인정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통과는 무해통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계속적이고 신속하여야 한다.

 

문 18.조약의 종료 및 시행정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조약의 종료 또는 당사국의 탈퇴는 다른 체약국과 협의 후 모든 당사국의 동의를 얻는 경우 언제든지 가능하다.

②강행규범(jus cogens)이 새로 출현하는 경우 그 규범과 충돌하는 현행 조약은 무효가 되어 종료한다.

조약의 대상과 목적의 달성에 필수적인 규정 위반의 경우 조약을 종료할 수 있다.

④조약이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다자조약은 그 당사국 수가 발효에 필요한 수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종료한다.

 

문 19.국제법 상 무력행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UN헌장」은 무력의 행사뿐만 아니라 무력에 의한 위협도 금지하고 있다.

②오늘날 무력행사금지는 「UN헌장」에 의한 것으로 UN회원국에게만 적용된다.

③「국제연맹규약」에서는 전쟁에 이르지 않는 무력사용은 가능하다는 해석의 여지를 두고 있다.

무력사용금지 원칙에는 직접적인 무력사용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무력사용도 포함된다.

 

문 20.[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치적 난민뿐만 아니라 경제적 난민도 보호의 대상으로 인정된다.

난민의 개인적 지위는 1차적으로 거소지 국가의 법률에 의하여 규율된다.

③난민은 체약국 내에서 재판을 받을 권리, 공공교육, 사회보장 제도에 대하여 내국민대우를 받는다.

강제송환금지 규정은 국제관습법 상 확립된 원칙을 명문화 것이다.

728x90
728x90

문 1.공해상에서 A국 국적의 해적들에 의해 피랍된 B국 선박과 관련된 사건에 대하여 C국이 관할권을 행사하기 위한 근거가 될 수 있는 이론은?

①속지주의             ②속인주의

③보호주의             ④보편주의

 


문 2.조약의 체결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조약의 체결권자는 조약문 교섭에 관한 권한을 전권대표에게 위임할 수 있다.

국제회의에서 체결되는 다자조약의 본문은 교섭에 참석한 모든 국가의 2분의 1 다수결에 의해 채택된다.

조약에 대한 국가의 기속적 동의의 방법으로는 서명과 비준만이 인정된다.

④조약은 당사국간의 합의에 관계없이 비준서를 기탁한 날에 효력을 발생하는 것이 원칙이다.

 

문 3.영해의 무해통항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무해란 연안국의 평화와 질서 또는 안전을 해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②통항이란 타국의 영해를 횡단하거나 내수로 출입하기 위하여 그 영해를 지나는 것이다.

③연안국은 외국선박의 자국 영해통항에 관한 법령을 제정하여 준수를 요구할 수 있다.

④무해통항권은 타국의 영해를 잠수 항행하여 통과하는 잠수함에게도 보장된다.

 

문 4.외교사절의 특권과 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외교사절의 독립적이고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하여 인정된다.

접수국은 외교공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외교관에 대한 접수국의 재판관할권 면제는 민사재판에만 적용되며 형사재판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외교사절의 특권과 면제는 공관차량 및 사절단장의 개인 주거에도 적용된다.

 

문 5.「국제연합(UN)헌장」에 따른 강제조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UN안전보장이사회는 강제조치를 취하기 전에 잠정조치에 따르도록 당사국에게 요청할 수 있다.

비무력적 강제조치에는 경제관계의 중단, 교통 및 통신수단의 중단, 외교관계의 단절 등이 포함된다.

강제조치의 대상이 된 국가는 강제조치로 인한 피해에 대하여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④무력적 강제조치를 취하기 위한 군대의 파병을 위해 UN과 회원국간에 특별협정을 체결한 사례는 없다.

 

문 6.[1982년 UN해양법협약]에 규정된 공해(公海)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모든 국가는 공해상에서 자국기를 게양한 선박을 자유롭게 항행시킬 권리가 보장된다.

②공해는 어떤 국가의 내수․영해․군도수역․배타적 경제수역에도 속하지 아니하는 바다이다.

공해상에서의 선박 충돌사고의 경우 피해 선박의 기국이 형사재판관할권을 행사한다.

④평화시 공해상을 항행하는 군함에 대하여는 기국이 관할권을 행사한다.

 

문 7.국제분쟁의 해결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주선 및 중개는 제3자가 간접적으로 분쟁에 개입하여 분쟁해결을 촉진하는 제도이다.

②사실심사는 제3자가 분쟁의 원인이 된 사실을 명확히 하여 분쟁해결을 촉진하는 제도이다.

중재는 분쟁당사국이 합의하여 선정한 재판관에 의한 판정으로 분쟁을 해결하는 제도이다.

조정은 제3자의 사실조사 및 법적 구속력 있는 조정안의 제시로 분쟁을 해결하는 제도이다.

 

문 8.국제법상 강행규범(jus cogen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강행규범은 국가들로 구성되는 국제공동체 전체에 의해 수락되고 승인된 규범이다.

강행규범의 존재에 대한 입증책임은 이를 주장하는 측에 있다.

③강행규범은 조약보다 그 효력이 우위에 있다.

④강행규범은 영구불변한 것으로 수정될 수 없다.

 

문 9.GATT체제와 비교되는 WTO협정체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GATT체제에서는 협정운영을 위한 일반적 국제기구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WTO협정체제는 일반적 국제기구로서 세계무역기구를 창설하였다.

GATT체제에는 당사국간 무역분쟁해결을 위한 분쟁해결절차가 없었으나 WTO협정체제는 명료하고 신속한 분쟁해결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GATT체제가 상품교역에 대한 규율에 중점을 둔 반면 WTO협정체제는 서비스, 지적재산권 및 무역관련 투자도 규율대상에 포함하였다.

‘1947년 GATT’를 포함하는 ‘1994년 GATT’는 WTO협정체제의 일부를 구성한다.

 

문 10.국적을 판단하는데 있어 개인과 국적부여국간의 ‘진정한 관련성’(genuine connection)의 원칙을 강조한 사건은?

①노테봄(Nottebohm) 사건

②트레일 스멜터(Trail Smelter) 사건

③비호권(Asylum) 사건

④로터스(Lotus)호 사건

 

문 11.「1982년 UN해양법협약」에 의하여 처음 보편적 국제법상의 제도로 공식화된 해양법상의 제도가 아닌 것은?

①대륙붕제도               ②군도수역제도

③심해저제도               ④배타적 경제수역제도

 

문 12.국가의 영토 취득사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시효는 무주지(無主地)를 취득하는 것을 말한다.

첨부는 인공적 또는 자연적 사실에 의한 영토의 취득사유이다.

③국가 간의 전쟁을 통한 정복은 합법적인 영토의 취득사유가 아니다.

④선점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실효적 지배’(effective control)가 요구된다.

 

문 13.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영국은 조약의 국내적 효력과 관련하여 이원론을 적용하고 있다.

이원론에 따르면 국제법과 국내법은 별개의 독자적인 법체계를 형성한다.

③이원론에 따르면 국제법에 위반되는 국내법은 당연히 무효가 된다.

④국내법 우위의 일원론에 따르면 국제법을 부인하는 결과가 된다.

 

문 14.국제환경법상 ‘차별적 공동책임’(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차별적 공동책임은 인류의 공동유산 또는 공동책임의 개념으로부터 발전한 것이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환경오염에 대한 책임의 차이를 인정한 것이다.

선진국은 개도국에 대하여 환경오염해결에 필요한 기술이전과 재정지원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환경에 관한 스톡홀름회의에서 처음으로 공식 선언되었다.

 

문 15.국제연합(UN)의 2001년 ‘국제위법행위에 대한 국가책임에 관한 규정 초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국가의 국제위법행위는 작위 및 부작위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국가책임을 발생시키는 요건으로 피해의 발생을 요구하고 있다.

③위법성 조각사유와 대항조치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④입법․사법․행정 등 그 기능과 관계없이 국가기관의 행위는 국가의 행위로 간주된다.

 

문 16.국제사법재판소(ICJ)의 관할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국가와 국제기구에게 국제사법재판소의 소송당사자능력이 인정된다.

②UN안전보장이사회 권고에 의해 총회가 결정하면 국제연합의 비회원국에게도 국제사법재판소에의 제소권이 인정된다.

③선택조항(ICJ규정 제36조 2항)을 수락한 국가 간에는 의무(강제)관할이 적용되지 않는다.

국제사법재판소규정 당사국간에는 사건 당사국의 일방의 제소에 의해서도 국제사법재판소의 관할권이 성립된다.

 

문 17.국제법상 승인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승인의 요건을 완전히 갖추지 못한 국가에 대한 승인을 ‘시기상조의 승인’이라고 한다.

정통주의 또는 토바르주의(Tobar Doctrine)란 일단 국가승인이 있으면 정부승인행위는 불필요하다는 주장이다.

1933년 ‘국가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몬테비데오협약’은 국가의 성립요건으로서 ‘항구적 인구’, ‘일정한 영역’, ‘정부’ 및 ‘타국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 등을 제시하고 있다.

④승인은 조약규정 또는 국제회의의 결의나 공동선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문 18.WTO의 모든 회원국들에게 의무적으로 적용되는 다자간 협정이 아닌 것은?

①정부조달협정                    ②농업협정

③위생 및 검역협정               ④기술장벽협정

 

문 19.정부간 국제기구에 대한 일반적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정부간 국제기구의 회원자격은 일반적으로 국가에게만 인정된다.

정부간 국제기구는 일반적으로 총회, 이사회(집행기구), 사무국의 조직을 갖는다.

정부간 국제기구는 일반적으로 무제한적인 법인격 또는 관할권을 보유한다.

④정부간 국제기구는 설립목적의 범위 내에서 헌장이 명시하지 않은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문 20.‘정치범불인도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집단살해에 가담한 자에 대해서는 이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기존 정부의 전복과 새로운 정부의 수립을 목적으로 비밀정치조직을 구성한 자에 대하여는 이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국가원수 및 그 가족을 살해하려다가 미수에 그친 자에 대해서는 이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무정부주의자의 테러범죄에 대해서는 이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728x90
728x90

문 1.‘1982년 UN 해양법협약’상 영해(territorial se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영해의 기선은 통상기선과 직선기선으로 구분된다.

②연안국의 주권은 영해의 상공·해저 및 하층토에까지 미친다.

③영해의 폭은 기선으로부터 12해리를 넘지 못한다.

④모든 국가의 선박과 항공기는 연안국의 영해에서 무해통항권을 향유한다.

 


문 2.‘1961년 외교관계에 관한 비엔나협약’상 외교관의 지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파견국은 특정인을 공관장으로 파견하고자 할 경우, 접수국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②외교관은 접수국의 형사재판관할권으로부터의 면제를 향유한다.

③외교관은 파견국의 재판관할권으로부터 면제된다.

④접수국의 반대가 없는 한, 2개국 또는 그 이상의 국가가 동일한 자를 공관장으로 파견할 수 있다.

 

문 3.2001년에 UN 국제법위원회가 채택한 ‘국제위법행위에 대한 국가책임초안’에 규정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어떠한 행위에 대하여 국가의 국제책임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그 행위가 해당 국가에 귀속되며 국제의무의 위반을 구성하여야 한다.

②국가의 국제범죄에 대해서는 국제공동체 전체로부터의 제재가 가하여진다.

③자위권 행사를 위법성조각사유로 인정한다.

④고의 또는 과실을 국가책임 성립요건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문 4.국제사법재판소(ICJ)의 관할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모든 UN 회원국들은 재판소에 회부되는 사건의 당사자가 될 수 있다.

②권고적 의견(Advisory Opinion)은 오로지 법적 문제에 대해서만 요청될 수 있다.

③일정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재심의 청구가 가능하다.

④UN의 기관들은 다른 국제기구 또는 국가를 상대로 재판소에 제소할 수 있다.

 

문 5.국제중재재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중재법정의 구성은 원칙적으로 분쟁당사국들간의 합의에 의해 결정된다.

ㄴ.중재법정의 결정은 분쟁당사국들을 구속한다.

ㄷ.중재법정의 결정에 불복하는 당사국은 국제사법재판소(ICJ)에 항소를 제기할 수 있다.

ㄹ.UN 안전보장이사회는 중재결정의 이행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권고 또는 강제조치를 취할 수 있다.

①ㄱ, ㄷ

②ㄴ, ㄷ

③ㄱ, ㄴ

④ㄷ, ㄹ

 

문 6.‘1969년 조약법협약’에서 규정하고 있는 조약의 무효 사유를 모두 고른 것은?

ㄱ.조약체결권에 관하여 근본적으로 중요한 국내법 규정의 명백한 위반

ㄴ. 사정의 근본적 변경

ㄷ. 상대방 당사국의 사기

ㄹ. 일방 당사자의 중대한 위반

ㅁ. 후발적 이행 불능

ㅂ. 국가대표의 부패

①ㄱ, ㄴ, ㄹ              ②ㄴ, ㄷ, ㅁ

③ㄱ, ㄷ, ㅂ              ④ㄱ, ㄹ, ㅁ

 

문 7.‘1982년 UN 해양법협약’상 대향국 또는 인접국간 배타적 경제수역과 대륙붕의 경계획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중간선(median line) 또는 등거리선(equidistance line) 원칙을 적용한다.

②형평한 해결(equitable solution)에 이르기 위하여 국제법에 기초하여 합의하도록 한다.

③육지의 자연적 연장(natural prolongation)을 최대한 존중한다.

④해양자원의 공평한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문 8.국가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미국과 영국의 국가면제 관련 법률은 제한적 면제이론을 따르고 있다.

②재판관할권으로부터의 국가면제는 국가책임의 면제를 수반한다.

③재판관할권으로부터의 국가면제의 포기가 당연히 판결의 집행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The Schooner Exchange v. McFaddon 사건은 국가면제와 관련된 대표적 사건이다.

 

문 9.‘1982년 UN 해양법협약’상 통과통항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통과통항권은 모든 선박과 항공기가 향유한다.

②통과통항은 무해통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계속적이고 신속해야 한다.

③해협연안국은 필요한 경우 해협 내에 항로대를 지정하고, 통항분리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④잠수함은 통과통항하는 경우에 반드시 물위로 떠올라 국기를 게양하고 항행하여야 한다.

 

문 10.UN 총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총회의 각 구성국은 1개의 투표권을 가진다.

②총회는 어떠한 분쟁 또는 사태와 관련하여 안전보장이사회가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도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권고를 할 수 있다.

③총회는 그 임무의 수행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보조기관을 설치할 수 있다.

④총회는 안전보장이사회로부터 연례보고와 특별보고를 받아 심의한다.

 

문 11.UN 안전보장이사회와 총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UN 회원국은 국제평화와 안전의 유지를 위한 일차적 책임을 UN 총회에 부여하고 있다.

②UN 회원국만이 자국이 당사자인 분쟁에 관하여 안전보장이사회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다.

③안전보장이사회의 절차사항에 대한 의사결정에 있어서는 상임이사국의 거부권이 행사될 수 있다.

④절차사항 외 모든 사항에 관한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정은 상임이사국의 동의투표를 포함한 9개 이사국의 찬성투표로 한다.

 

문 12.국제형사재판소(IC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로마규정(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이 발효한 후에 행하여진 범죄에 대해서만 재판관할권을 가진다.

②자연인에 대하여만 재판관할권이 있고 법인에 대하여는 재판관할권이 없다.

③재판관할권을 가진 국가가 수사 중인 사건에 대해서도 원칙적으로 재판관할권을 행사한다.

④범행 당시 18세 미만자에 대해서는 재판관할권을 가지지 아니한다.

 

문 13.‘1966년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각 당사국은 동 규약을 위반한 다른 당사국을 고발할 의무가 있다.

②한국도 1990년에 가입하여 당사국이 되었다.

③제1조에는 자결권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④각 당사국은 규약상 권리를 실현하기 위해 취한 조치와 진전 상황에 관하여 UN 사무총장에게 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문 14.‘1992년 환경과 개발에 관한 리우선언(Rio Declaration of the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에 제시된 국제환경법의 원칙이 아닌 것은?

①무과실책임의 원칙(liability principle)

②공동의 그러나 차별화된 책임 원칙(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y principle)

③사전주의 원칙(precautionary principle)

④오염자부담 원칙(polluter-pays principle)

 

문 15.세계무역기구(WTO)의 법적 지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세계무역기구는 법인격(legal personality)을 갖는다.

②각 회원국은 세계무역기구에 대하여 이 기구가 자신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특권과 면제를 부여한다.

③각 회원국은 세계무역기구의 회원국 대표에 대하여 이들이 세계무역기구와 관련하여 자신의 기능을 독자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특권과 면제를 부여한다.

④세계무역기구는 UN의 전문기구로서 UN 경제사회이사회와 업무제휴협정을 맺고 있다.

 

문 16.국제관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국제관습법은 일반적 관행과 법적 확신에 의하여 형성된다.

②오로지 두 국가 간에도 국제관습법이 성립될 수 있다.

③국제관습법은 국제사법재판소(ICJ)에서 재판준칙으로 적용된다.

④국제관습법의 효력은 조약보다 하위이다.

 

문 17.강행규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어떠한 국제규범이 강행규범으로 되기 위해서는 그 규범의 강행적 성질이 국제공동체 전체에 의하여 수락되고 인정되어야 한다.

②강행규범과 충돌하는 조약 규정에 근거하여 행하여진 행위의 결과는 가능한 한 제거되어야 한다.

③강행규범에 반하는 행위와 관련해서도 위법성조각사유를 원용할 수 있다.

④강행규범은 차후의 새로운 강행규범에 의해서만 수정될 수 있다.

 

문 18.WTO의 분쟁해결제도에 있어서 패널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패널보고서에 대한 상소는 허용되지 않는다.

②패널은 분쟁당사자가 5인의 패널위원으로 구성하는데 합의하지 아니하는 한 3인의 패널위원으로 구성된다.

③패널보고서는 역총의제(reverse consensus system)에 의해 채택된다.

④패널의 심의(panel deliberations)는 비공개로 진행된다.

 

 

문 19.국가가 향유하는 국제법상의 권리가 아닌 것은?

①타국의 국제위법행위로 인하여 손해를 받은 자국민을 위하여 그 타국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권리

②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의 천연자원의 탐사, 개발,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주권적 권리

③국제사법재판소(ICJ)에 권고적 의견을 요청할 권리

④타국으로부터 침략을 받은 경우 무력으로 대응할 권리

 

문 20.오늘날 국제법상 국가의 영역권 취득 사유로 인정되지 않는 것은?

①정복(conquest)

②선점(occupation)

③첨부(accretion)

④할양(cession)

728x90
728x90

문 1.국제사법재판소(ICJ) 규정 제38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국제재판소의 판결은 법칙결정을 위한 보조수단이다.

②‘형평과 선’에 의한 재판은 당사자간의 합의가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③‘법의 일반원칙’은 국제법상의 일반원칙을 의미한다.

④법으로 수락된 일반관행도 재판의 준칙이다.

 


문 2.조약의 유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유보와 유보의 수락은 서면 또는 구두로 할 수 있다.

②허용가능한 유보의 기준에는 조약의 목적 및 대상과의 양립가능성이 포함된다.

조약에 대한 일국의 유보는 해당 조약의 다른 당사국들 사이의 권리․의무관계도 변동시킨다.

④유보는 조약체결 과정에서 법적용의 통일성을 추구하는 제도이다.

 

문 3.국제법상 강행규범(jus cogen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조약은 그 체결 당시에 강행규범과 충돌하는 경우 무효이다.

새 강행규범이 출현하는 경우에 그 규범과 충돌하는 현행 조약은 무효로 되어 종료한다.

③강행규범은 동일한 성질을 가진 추후의 일반국제법 규범에 의해서만 변경될 수 있다.

④국제연합헌장은 집단살해, 전쟁범죄 그리고 노예제도 금지를 강행규범으로 규정하고 있다.

 

문 4.국가관할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속인주의에 의하면 국가관할권은 범죄자의 국적에 기초하여 성립된다.

속지주의에 의하면 국내에서 개시되어 외국에서 완성된 범죄에 대해서는 관할권이 성립되지 않는다.

보편주의에 의하면 국제사회 전체에 대한 중대한 범죄에 대해서는 모든 국가가 관할권을 갖는다.

보호주의에 의하면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외국인의 해외활동에 대해서도 관할권이 성립할 수 있다.

 

문 5.국가승인의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국가승인의 효과는 승인국과 피승인국 사이에서만 발생한다는 의미에서 상대적이다.

②국가승인의 효과는 법률불소급의 원칙에 의해 승인을 행한 시점부터 발생한다.

승인국과 피승인국간의 외교관계가 단절되면 승인은 취소된다.

④사실상 승인은 법적 효과를 가지지 않는다.

 

문 6.국제형사재판소(ICC)의 관할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ICC는 그 규정의 발효 후에 발생한 범죄에 대하여 관할권을 가진다.

ICC가 관할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범죄발생지국과 피고인의 국적국이 모두 ICC 규정의 당사국이어야 한다.

안전보장이사회는 ICC의 관할범죄가 범하여진 것으로 보이는 사태를 ICC 소추관(prosecutor)에게 회부할 수 있다.

ICC 규정의 당사국이 된 국가는 이에 의하여 ICC의 관할범죄에 대하여 동 재판소의 관할권을 수락한다.

 

문 7.외국인의 출입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국가는 외국인의 입국을 허용해야 할 일반국제법상 의무가 없다.

②국가들은 조약을 통해서 국민의 상호입국을 허용할 의무를 부담할 수 있다.

국가는 적법하게 입국한 외국인의 출국을 특별한 사유가 없는 제한할 수 없다.

추방은 형벌에 해당하기 때문에 엄격한 사법심사를 거쳐 이루어져야 한다.

 

문 8.국제연합헌장에 규정된 국내문제불간섭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본질적으로 국내관할권에 속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간섭할 수 없다.

국내문제 여부에 대한 일차적 판단은 안전보장이사회가 한다.

③국제연합헌장 제7장의 강제조치에 대해서는 이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④국제연합의 기본원칙을 정한 국제연합헌장 제2조에 규정되어 있다.

 

문 9.외교관계에 관한 비엔나협약에 규정된 외교공관의 불가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접수국의 관리는 공관장(head of the mission)의 동의 없이는 공관지역에 들어갈 수 없다.

접수국은 공관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적절한 조치를 취할 특별한 의무가 있다.

③공관지역, 공관내의 설비 및 기타 재산과 공관의 수송수단은 수색, 징발, 차압 또는 강제집행으로부터 면제된다.

외교공관의 불가침권에는 인도적 고려에 근거한 외교적 비호권이 포함된다.

 

문 10.외교사절의 특권과 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외교관은 접수국의 형사재판관할권으로부터 절대적으로 면제된다.

②파견국은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재판관할권의 면제를 포기할 수 있다.

외교관은 접수국의 민사 및 행정재판관할권으로부터 원칙적으로 면제된다.

외교관의 세대에 속하는 가족도 접수국의 국민이 아닌 한 외교관과 동일한 면제와 특권을 누린다.

 

문 11.2001년 ‘국제위법행위에 대한 국가책임 초안’의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입법기관의 국제위법행위는 국가책임을 발생시킨다.

②하급공무원의 국제위법행위는 국가책임을 발생시킨다.

③공무원의 월권행위에 대해서는 국가책임이 성립되지 않는다.

주정부의 국제위법행위는 연방국가의 국가책임을 발생시킨다.

 

문 12.1982년 해양법협약의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심해저제도는 인류의 공동유산 개념에 입각해서 제도화된 것이다.

국제해협의 경우 영해의 폭은 영해기선으로부터 3해리를 초과할 수 없다.

③대륙붕의 외측한계는 영해기선으로부터 200해리 이상일 수도 있다.

④배타적경제수역은 연안국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다.

 

문 13.1982년 해양법협약상 접속수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영해기선으로부터 24해리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②연안국이 당연히 갖게 되는 수역이 아니라 연안국의 선포를 요한다.

접속수역의 해저로부터 역사적 유물을 반출하는 행위는 연안국의 영토나 영해에서의 법령위반행위로 추정될 수 있다.

④해양자원이용과 해양과학조사를 위하여 국가관할권을 확장한 수역이다.

 

문 14.온실가스배출을 감축하기 위한 교토의정서에 규정된 소위 ‘교토메카니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공동이행제도

②환경영향평가제도

③청정개발제도

④배출권거래제도

 

문 15.국제연합헌장상의 의무 위반에 대한 제재수단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분담금 체납액이 만 2년간 지불하였어야 할 분담금액 이상인 회원국은 총회에서 투표권을 가지지 못한다.

②국제연합 사무국에 등록되지 않은 조약은 무효이다.

③강제조치의 대상이 되는 회원국에 대해서는 회원국으로서의 특권과 권리의 행사를 정지시킬 수 있다.

④국제연합헌장의 원칙을 지속적으로 위반하는 회원국은 제명될 수 있다.

 

문 16.국제연합의 평화유지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군사적 조치에 관한 국제연합헌장 제42조는 안전보장이사회의 평화유지군 창설을 규정하고 있다.

평화유지군은 주재국(host State)이 주둔동의를 철회하면 철수하여야 한다.

③최초의 평화유지군은 1956년 수에즈분쟁시 국제연합 총회에 의해 창설된 UNEF이다.

④평화유지군에게는 원칙적으로 자위를 위한 무기사용만 허용된다.

 

문 17.국제사법재판소(ICJ)의 판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소재판부(chamber)가 선고한 판결은 ICJ가 선고한 것으로 본다.

②판결에는 판결이 기초하고 있는 이유를 기재하여야 한다.

ICJ가 판결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분쟁당사자들의 합의가 필요하다.

④판결은 일단 내려지면 그것은 종국적이며 상소할 수 없다.

 

문 18.국제사법재판소(ICJ)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총회와 안전보장이사회는 각각 독자적으로 재판관 선출절차를 진행한다.

②재판관 선출과정에서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의 거부권은 인정되지 않는다.

③국가만이 ICJ에 제기되는 사건의 당사자가 될 수 있다.

④ICJ규정 제36조 제2항의 선택조항 수락선언은 ICJ 소장에게 선언서를 기탁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한다.

 

문 19.세계무역기구(WTO)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일반이사회는 각료회의에서 선출되며 다자간무역협정의 모든 사항에 대해 결정을 내릴 권한을 갖는다.

②일반이사회는 분쟁해결양해에 규정된 분쟁해결기구의 임무를 이행한다.

각료회의와 일반이사회는 WTO 설립협정과 다자간무역협정의 해석을 채택하는 독점적인 권한을 갖는다.

WTO는 법인격을 가지며, 각 회원국은 WTO에게 필요한 특권과 면제를 부여한다.

 

문 20.‘분쟁해결규칙 및 절차에 관한 양해(DSU)’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분쟁해결기구(DSB)의 일차적인 의사결정방법은 총의제이고 총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표결에 의한다.

②보상 및 양허 또는 그 밖의 의무의 정지는 권고 및 판정이 합리적인 기간 내에 이행되지 않는 경우 취할 수 있는 잠정적인 조치이다.

대상협정에 따라 부담해야 하는 의무에 대한 위반이 있는 경우, 이러한 행위는 일견 명백한 무효화 또는 침해를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상설상소기구(SAB)의 심리는 패널보고서에서 다루어진 법률문제 및 패널이 행한 법률해석에 국한된다.

728x90
728x90

문 1.1982년 ‘해양법협약’상 영해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연안국은 영해기선으로부터 12해리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영해의 폭을 설정할 권리를 가진다.

②영해 내에서의 외국어선의 어로행위는 연안국의 평화, 공공질서 또는 안전을 해치지 않는 것으로 인정된다.

③영해를 항해하는 외국선박에 대해서는 일정한 조건에서 무해통항권이 인정된다.

④연안국은 영해를 항해하는 외국 선박에 대하여 일정한 경우 형사관할권을 가질 수 있다.

 


문 2.우리 헌법이 취하고 있는 국제관계에 관한 입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대한민국은 국제평화의 유지에 노력하고 침략적 전쟁을 부인한다.

②국회는 국군의 외국에의 파견에 대한 동의권을 가진다.

③대통령은 조약의 체결과 비준 권한을 가진다.

헌법에 의하여 체결․공포된 조약은 국내입법을 통하여만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진다.

 

문 3.오늘날 국제사회에서 국내문제불간섭원칙이 약화된 원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관련 조항인 국제연합(UN)헌장 제2조 제7항의 폐기

②세계경제의 통합과 국제화

③인권문제의 국제화

④국제기구와 비정부기구(NGOs)의 활발한 활동

 

문 4.국가승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국을 승인하지 않은 B국이 A국이 당사국인 다자조약에 가입하면 그 A국을 승인한 것으로 본다.

②국가승인은 승인한 국가와 승인받은 국가 사이에만 효력이 있다.

③외교사절의 접수는 명시적 국가승인이다.

④A국이 B국을 승인하지 않은 경우 양 국가 사이에는 어떠한 법률관계도 존재할 수 없다.

 

문 5.국제연합(UN) 안전보장이사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이사국이 아닌 국가는 안전보장이사회의 토의에 참가할 수 없다.

절차사항에 관한 결정에는 최소 9개 이사국의 찬성투표가 요구된다.

③안전보장이사회는 국제평화와 안전을 위하여 일차적 책임을 진다.

④안전보장이사회의 결정은 회원국을 구속한다.

 

문 6.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서 규정하는 내용에 부합하는 것은?

난민은 소속국으로부터 정치적 박해 또는 경제적 곤란을 피하여 외국으로 탈출한 자를 말한다.

②입국 전에 중대한 비정치적 범죄를 범한 자도 난민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공급이 부족한 물자의 배급에 있어서 난민은 내국인과 동일한 대우를 부여받는다.

④난민은 자신이 체재하는 국가의 법령을 준수할 의무가 없다.

 

문 7.자국 내의 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한 인접국의 오염피해에 대하여 그 국가가 책임을 부담하여야 하는 근거가 될 수 없는 것은?

①하몬주의(Harmon Doctrine)

②코르푸해협 사건(Corfu Channel Case)

1972년 스톡홀름선언(Stockholm Declaration) 원칙(Principle) 21

④핵무기의 위협/사용의 적법성 사건(Legality of the Threat or Use of Nuclear Weapons Case)

 

문 8.국제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국제기구가 국제적 청구능력을 가진다는 것이 국제사법재판소(ICJ)의 입장이다.

국제기구는 일반적으로 그 목적달성과 임무수행에 필요한 경우 조약을 체결할 수 있다.

③국제기구에게는 국제법상 특권․면제가 인정되지 아니한다.

④국제기구는 일반적으로 그 기구의 설립조약을 가지고 있다.

 

문 9.국제법상 외국인 보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외국인이란 내국인이 아닌 자로 무국적자를 포함하지 않는다.

②칼보(Calvo)조항은 내국민대우기준을 주장하는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입장이 반영된 것이다.

③외국인 보호에 있어서 국제표준주의는 국제적으로 적용되는 최소한의 보호기준을 정하고 그 이상으로 보호하라는 것이다.

외국인 보호에 있어서 내국민대우주의는 내국민과 동등한 대우를 하라는 것이다.

 

문 10.세계무역기구(WTO)설립협정의 부속문서로서 1994년 ‘관세 및 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과 ‘반덤핑관세협정’상의 덤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덤핑은 동종의 물품을 수출국과 수입국에서 서로 다른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으로서 정상가격보다 낮은 수출가격으로 판매하는 것이다.

②덤핑행위는 불공정한 무역을 야기하지 아니하더라도 그 자체로서 위법하다.

③정상가격의 결정은 수출국 내의 동종상품에 대한 통상거래상 행해지는 비교가능한(comparable) 국내 판매가격을 의미한다.

비교가능한 국내 판매가격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품의 생산비에 합리적인 판매관리비와 기타 비용 및 이윤을 가산한 구성가격을 정상가격으로 적용할 수 있다.

 

문 11.세계무역기구(WTO)의 부속협정 중 WTO의 모든 회원국을 구속하는 협정이 아닌 것은?

①보조금 및 상계조치에 관한 협정

②섬유 및 의류에 관한 협정

③무역관련 지적재산권에 관한 협정

④정부조달에 관한 협정

 

문 12.국제 조정(concili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조정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당사자를 법적으로 구속한다.

②중개(mediation)나 사실심사(fact-finding 또는 inquiry)보다 제3자 개입의 정도가 더 크다.

③조정에 회부할 것을 조약에 의하여 사전에 합의할 수 있다.

제3자가 분쟁의 내용을 심사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분쟁을 비사법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이다.

 

문 13.1969년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협약’상 유보(reserv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유보는 조약의 특정 조항의 법적 효력을 배제하거나 변경할 의도를 밝히는 것이다.

②유보, 유보의 명시적 수락 및 유보에 대한 이의는 서면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유보는 조약의 서명․비준․수락․승인 또는 가입 이후에도 형성이 가능하다.

④유보의 의사표시는 국가의 일방적 선언이다.

 

문 14.1982년 ‘해양법협약’상 배타적 경제수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배타적 경제수역은 영해기선으로부터 200해리를 초과할 수 없다.

연안국은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해저와 하층토는 물론 상부수역과 상공에 대해서도 주권을 행사할 수 있다.

인간이 거주할 수 없거나 독자적인 경제활동을 유지할 수 없는 바위섬(rocks)은 배타적 경제수역을 가지지 아니한다.

④모든 국가는 일정한 제한에 따를 것을 조건으로 항행․상공비행의 자유 등을 향유한다.

 

문 15.국제사법재판소(ICJ)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분쟁당사국간의 합의가 있는 경우, 국제사법재판소는 형평과 선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②국제기구는 국가를 상대로 제소할 수 없다.

③국제사법재판소의 판결은 법적구속력은 없고 권고적 효력만 있다.

④국제사법재판소는 국제연합(UN)의 주요 사법기관이다.

 

문 16.1961년 ‘외교관계에 관한 비엔나협약’상 외교사절의 특권과 면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외교사절의 특권․면제는 외교사절의 권리이므로 자유롭게 포기할 수 있다.

외교사절은 신체 및 명예에 대한 불가침권을 가지며 접수국은 신체 및 명예에 대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③접수국은 국가안보의 목적으로 그 영토 내에서 외교사절의 여행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

④외교사절의 직무가 종료하여 퇴거하거나 또는 퇴거에 필요한 상당한 기간이 만료되었을 때 그의 특권은 소멸한다.

 

문 17.국가의 국제책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권력분립의 원칙에도 불구하고 조약이행과 관련된 입법부의 입법부작위는 국가책임을 발생시킬 수 있다.

②사법부에 의한 재판의 거절(denial of justice)이 있는 경우 국가책임이 발생할 수 있다.

행정부의 불법행위는 정부산하기관과 지방자치단체의 불법행위를 포함한다.

④신국가 수립에 성공한 반란단체의 행위는 그 국가의 행위로 간주되지 아니한다.

 

문 18.외교사절과 영사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으로만 묶은 것은?

ㄱ.통상대표(trade delegate)는 외교사절이 아니라 영사의 일종이다.

ㄴ.영사제도는 연혁적으로 중세유럽의 길드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상업상의 이익을 보호하고 상사분쟁을 중재하는 것이 주된 임무였다.

ㄷ.외교사절은 국제법상 국가의 기관이나 영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ㄹ.외교사절의 파견에는 원칙적으로 아그레망을 요하나 영사의 파견에는 이를 요하지 않는다.

ㅁ.영사관계의 수립은 일반적으로 명시적인 국가승인으로 인정된다.

ㅂ.외교사절은 신임장을 제정하여야 그 업무를 개시하는데 비해 영사는 접수국의 영사인가를 받아야 그 직무를 개시할 수 있다.

①ㄱ, ㄴ, ㅁ                   ②ㄱ, ㄷ, ㅂ

③ㄴ, ㄹ, ㅂ                    ④ㄴ, ㅁ, ㅂ

 

문 19.국제법의 연원(sources of law) 상호간의 효력관계에 관한 설명 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조약 상호간에는 원칙적으로 특별법우선의 원칙, 신법우선의 원칙이 적용된다.

조약과 국제관습법이 충돌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어느 것이 더 우선한다고 말할 수 없다.

다자간조약과 지역적 국제관습법이 상충될 경우 다자간조약이 우선한다.

국제연합(UN) 헌장은 그 회원국 사이의 관계에서는 다른 일반 성문조약보다 우선한다.

 

문 20.국제법상 국가면제(state immunit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국가면제는 집행관할권으로부터의 면제를 포함하지 아니한다.

초기에는 절대적 면제를 인정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제한적 면제를 인정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③제한적 면제를 부여하기 위하여 국가행위를 상업적 행위(acts jure gestionis)와 권력적 행위(acts jure imperii)로 구분하고 있다.

1972년의 ‘유럽국가면제협약’은 제한적 면제의 입장에서 면제가 인정되지 않는 경우를 명시하고 있다.

728x90
728x90

문 1.국가승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국가승인의 의사는 묵시적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②국가승인시 일정한 조건을 부과할 수 있다.

국가승인은 반드시 UN 헌장에 규정된 방식과 절차에 따른다.

④국가승인은 일반적으로 각 국가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나, 관련 국가들이 공동으로 승인을 부여하는 경우도 있다.

 


문 2.UN 회원국이 준수해야 할 기본원칙으로 UN 헌장 제2조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것은?

①주권평등의 원칙

②인권존중 원칙

③분쟁의 평화적 해결 원칙

④헌장상 의무의 성실한 이행 원칙

 

문 3. 1992년 UN 환경개발회의에서 채택된 것이 아닌 것은?

①기후변화협약(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②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③의제21(Agenda 21)

④오존층보호협약(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Ozone Layer)

 

문 4.국제관습(international custo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국제관습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일반적 관행(general practice)과 법적 확신(opinio juris)이 필요하다.

국제관습은 국제성문법인 조약에 대해 보충적 효력만을 갖는다.

③일반적 관행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해당 행위의 계속성 및 통일성 등이 요구된다.

④일부국가들만의 국제관습의 성립도 가능하다.

 

문 5.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국제법상 국가는 자국의 국내법규정을 이유로 국제법위반을 정당화할 수 있다.

국제법상 이원론은 국제법과 국내법이 하나의 통일된 법체계를 형성한다는 이론이다.

대한민국 헌법에서는 헌법에 의하여 체결․공포된 조약과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는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국제법을 국내법체계 내로 받아들이는 방법은 통일되어 있다.

 

문 6.영해에서의 무해통항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통항은 연안국의 평화, 공공질서 또는 안전을 해치지 아니하는 한 무해하다.

연안국은 영해에서 외국선박의 무해통항을 정지시킬 수 없다.

잠수함과 그 밖의 잠수항행기기는 타국의 영해에서 해면 위로 부상하여 국기를 게양하고 항행한다.

연안국은 자국이 인지하고 있는 자국 영해에서의 통항에 관한 위험을 적절히 공표한다.

 

문 7.세계무역기구(WTO)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국가 또는 독자적 관세영역은 WTO에 가입할 수 있다.

②각료회의는 최소 2년에 1회 개최한다.

WTO의 각료회의는 회원국의 총의(consensus)에 의하여 가입조건에 관한 합의를 승인한다.

④WTO 설립협정과 다자간무역협정이 상충하는 경우 상충의 범위 내에서 전자가 우선한다.

 

문 8.외교적 보호(diplomatic protection)와 관련 있는 사건은?

①Barcelona Traction 사건

②Island of Palmas 사건

③Eastern Greenland 사건

④Clipperton Island 사건

 

문 9.국제사법재판소(ICJ)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국제사법재판소의 결정은 당사자 사이와 그 특정 사건에 관하여서만 구속력을 가진다.

분쟁당사국의 국적을 가진 국제사법재판소 재판관은 그 분쟁의 재판에 참여할 수 없다.

③국제사법재판소의 재판관은 재선이 가능하다.

④국제사법재판소의 재판관은 15명이다.

 

문 10.UN 안전보장이사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안전보장이사회는 5개 상임이사국과 10개 비상임이사국으로 구성된다.

안전보장이사회는 국제평화와 안전의 유지 또는 회복을 위하여 권고한다.

③안전보장이사회는 필요한 보조기관을 설치할 수 있다.

④안전보장이사회는 UN 사무총장을 임명한다.

 

문 11.배타적 경제수역(EEZ)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배타적 경제수역은 영해기선으로부터 300해리까지 설정할 수 있다.

②연안국은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천연자원의 탐사, 개발, 보존 및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주권적 권리를 가진다.

③모든 국가는 타국의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일정한 조건하에 해저전선․관선을 부설할 수 있다.

배타적 경제수역 내의 인공섬․시설 및 구조물은 섬의 지위를 가지지 아니한다.

 

문 12.국가가 조약의 일부 규정의 법적 효과를 배제하거나 변경하겠다는 일방적 선언은?

①유보

②해석선언

③정책선언

④조약의 정지

 

문 13. 파견국이 외교사절단의 장을 파견할 때 외교사절단의 장을 통해 접수국 원수 또는 외무장관에게 보내는 것은?

①아그레망

②신임장

③위임장

④인가장

 

문 14. 세계무역기구(WTO) 분쟁해결제도의 패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패널의 심의는 공개되지 아니한다.

②패널은 분쟁당사국의 서면요청에 의해 설치된다.

③패널 위원이 패널 보고서에 표명한 의견은 익명으로 한다.

④패널보고서는 분쟁해결기구(DSB)에서 다수결로 채택한다.

 

문 15.A국 국민 甲이 B국에서 C국 국민 乙에 의해 살해되었다. 이 경우 A국이 乙에 대해 형사관할권을 행사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는?

①속지주의(territorial principle)

②속인주의(nationality principle)

③보편주의(universality principle)

④수동적 속인주의(passive nationality principle)

 

문 16.국가책임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국가의 작위뿐만 아니라 부작위에 의해서도 국가책임이 성립한다.

②국가의 고의․과실이 없는 경우에도 일정한 경우 국가책임을 물을 수 있다.

③국가책임은 타 국가에 대한 직접침해에 의해서만 발생한다.

중앙정부의 기관뿐만 아니라 한 국가 내의 영토적 단위의 기관도 국가기관으로 간주된다.

 

문 17.사실심사(inquiry)와 중개(mediation)의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준사법적 측면을 가지는 분쟁해결 방식은?

①교섭(negotiation)

②조정(conciliation)

③중재재판(arbitration)

④사법재판(judicial settlement)

 

문 18.외교관계에 관한 비엔나협약에 규정된 내용이 아닌 것은?

외교관은 접수국의 형사재판관할권으로부터의 면제를 향유한다.

②접수국의 관헌은 공관장의 동의 없이는 공관지역에 들어가지 못한다.

③외교관의 신체는 불가침이다.

④외교관의 가족이 접수국의 국민인 경우에도 외교관과 동일한 면제를 향유한다.

 

문 19.UN의 주요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총회는 UN의 모든 회원국으로 구성되는 UN의 최고기관으로서 평화와 안전의 유지에 관한 일차적 책임을 담당한다.

②사무국은 1명의 사무총장과 UN이 필요로 하는 직원으로 구성된다.

③경제사회이사회는 UN과 전문기구 사이의 제휴 관계를 설정하는 협정을 체결할 수 있다.

④국제사법재판소는 UN의 주요기관 가운데 하나이다.

 

문 20.개인의 국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국적의 부여 요건을 정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각국의 국내문제이다.

②국가는 자국민을 위한 외교적 보호의 권리를 갖는다.

국제사법재판소는 Nottebohm 사건에서 청구국과 그 국민 사이에 진정한 관련(genuine link)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외교적 보호권이 발생한다고 판시한 바 있다.

이중국적자가 제3국으로부터 침해를 받는 경우, 그의 국적국가들은 당해 제3국에 대하여 외교적 보호권을 행사할 수 없다.

728x90
728x90

문 1.다음 자료의 (가), (나)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산천을 중요시하여 산과 내마다 구분이 있어 함부로 들어가지 않으며, 이를 어기면 우마로 배상하였다.

(나)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가매장하였다가 나중에 그 뼈를 추려서 가족 공동 무덤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하였다.

①(가)-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지냈다.

②(나)-민며느리제라는 혼인 풍속이 있었다.

③(가), (나)-왕권이 강화된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하였다.

④(가), (나)-대가들이 제가 회의라는 부족장 회의를 운영하였다.

 


문 2.조선 영조 때의 역사적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①[속대전]을 편찬하여 법전체계를 정비하였다.

②군역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균역법을 시행하였다.

③산림(山林)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그들의 본거지인 서원을 상당수 정리하였다.

④각 붕당의 주장이 옳은지 그른지를 명백히 가리는 적극적인 탕평책을 추진하였다.

 

문 3.밑줄 친 ‘여러 단체와 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907년 설립된 신민회 회원들은 1909년 말 이후 일본의 한국 병합이 목전에 있다고 보고, 국외로 나가 독립운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였다. 이에 따라 신민회 회원들은 1910년 초 이후 국외로 나가기 시작하였다. 신민회의 이회영, 이시영, 이상룡 등은 1911년 압록강 건너 서간도로 옮겨가 삼원보에 자리 잡았다. 이들은 여러 단체와 기관을 설립하여 독립 운동 기지 건설 운동을 전개하였다.

①경학사               ②권업회

③부민단               ④신흥무관학교

 

문 4.(가)와 (나) 사이의 시기에 만주에서 전개된 무장 항일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경신년에 왜군이 내습하여 31명이 살고 있는 촌락을 방화하고 총격을 가하였다. 나도 가옥 9칸과 교회당, 학교가 잿더미로 변한 것을 보고 그것이 사실임을 알았다. 11월 1일에는 왜군 17명, 왜경 2명, 한인 경찰 1명이 와서 남자들을 모조리 끌어내어 죽인 뒤 …(중략)… 남은 주민들을 모아 일장 연설을 하였다.

(나)상해의 한국 독립투사 조직에 속해 있는 한국의 한 젊은이는 비밀리에 도쿄로 건너갔다. 그는 마침 군대를 사열하기 위해 마차에 타고 있던 일본 천황에게 수류탄을 던졌다. 그는 영웅적인 행동 후에 무자비하게 살해되었다. 이 사건은 전일본에 충격을 주었다. 이 사건은 일본 군국주의자들에게 한국인들은 결코 그들에게 지배될 수 없다는 것을 당당히 보여 준 것이다.

①남만주에 조선 혁명군이 창설되었다.

②한국광복군이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하였다.

③독립군이 봉오동․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④동북 항일 연군을 중심으로 치열한 항일 유격전이 전개되었다.

 

문 5.조선 전기 사림(士林)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재야에서 공론을 주도하는 지도자로서 산림(山林)이 존중되었다.

②향촌 자치를 내세우며, 도덕과 의리를 바탕으로 한 왕도정치를 강조하였다.

③3사의 언관직을 차지하고, 자신들의 의견을 공론으로 표방하였다.

④중소지주적인 배경을 가지고, 지방사족이 영남과 기호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문 6.삼국의 항쟁을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백제가 신라의 대야성을 비롯한 40여 성을 빼앗았다.

ㄴ.백제가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이 전사하였다.

ㄷ.신라가 대가야를 정복하면서 가야 연맹이 완전히 해체되었다.

ㄹ.고구려가 평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하였다.

①ㄴ→ㄷ→ㄹ→ㄱ

②ㄴ→ㄹ→ㄷ→ㄱ

③ㄹ→ㄱ→ㄴ→ㄷ

④ㄹ→ㄴ→ㄱ→ㄷ

 

문 7.조선 후기 호락(湖洛)논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18세기 중엽 노론 내부에 주기설과 주리설의 분파가 생겨 일어났다.

②호론은 인성과 물성이 다르다고 보는 인물성이론을 내세웠다.

③낙론은 인성과 물성이 같다는 인물성동론을 주장하였다.

④호론은 북학파의 과학 기술 존중과 이용후생 사상으로 이어졌다.

 

문 8.연표의 (가)∼(라)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광 복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5․10 총선거

대한민국 정부수립

6․25 전쟁 발발

(가)

(나)

(다)

(라)

①(가)-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건국 강령을 제정하였다.

②(나)-북한 정부가 수립되었다.

③(다)-김구․김규식이 남북 협상을 위해 북한을 방문하였다.

④(라)-국회에서 반민족 행위 처벌법을 제정하였다.

 

문 9.다음과 같은 역사인식에 따라서 편찬된 역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대저 옛 성인은 예악으로 나라를 일으키고 인의로 가르쳤으며 괴력난신(怪力亂神)은 말하지 않았다. 그러나 제왕이 장차 일어날 때는 부명(符命)과 도록(圖籙)을 받게 되므로 반드시 남보다 다른 일이 있었다. 그래야만 능히 큰 변화를 타고 대업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중략)… 그러니 삼국의 시조가 모두 신비하고 기이한 일을 연유하여 태어났다는 것을 어찌 괴이하다 할 수 있겠는가. 이것이 신이(神異)로써 이 책의 앞 머리를 삼은 까닭이다.

①정통 의식과 대의명분을 강조하였다.

②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에 기초하여 기전체로 서술하였다.

③고구려 계승 의식을 반영하고 고구려의 전통을 노래하였다.

④우리의 고유 문화와 전통을 중시하였으며 단군신화를 수록하였다.

 

문 10.다음 정치관과 관련이 깊은 정책으로 옳은 것은?

임금의 직책은 한 사람의 재상을 논정하는 데 있다 하였으니, 바로 총재(冢宰)를 두고 한 말이다. 총재는 위로는 임금을 받들고 밑으로는 백관을 통솔하여 만민을 다스리는 것이니 직책이 매우 크다. 또 임금의 자질에는 어리석음과 현명함이 있고 강함과 유약함의 차이가 있으니, 옳은 일은 아뢰고 옳지 않은 일은 막아서, 임금으로 하여금 대중(大中)의 경지에 들게 해야 한다. 그러므로 상(相)이라 하니, 곧 보상(輔相)한다는 뜻이다.

①육조 직계제의 시행

②사간원의 독립

③의정부 서사제의 시행

④집현전의 설치

 

문 11.밑줄 친 ‘왕’의 업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년에 율령을 반포하고, 처음으로 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였다.

19년에 금관국의 왕인 김구해가 왕비와 세 아들을 데리고 와 항복하였다.

①‘건원’이란 연호를 사용하였다.

②이사부를 시켜 우산국을 정복하였다.

③유학 교육을 위해 국학을 설립하였다.

④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였다.

 

문 12.다음은 같은 해에 벌어졌던 사건들이다. 이러한 사건들로 말미암아 나타난 사실로 옳은 것은?

○박종철 사건

○4ㆍ13 호헌 조치

○6ㆍ10 국민 대회 개최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 결성

①국가보위 비상대책위원회가 구성되었다.

②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졌다.

③전국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모든 정치활동을 정지시켰다.

④대통령의 중임 제한을 없애고 간선제를 골자로 하는 헌법을 제정하였다.

 

문 13.㉠∼㉣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유네스코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은 ㉠종묘, 해인사 장경판전, 불국사와 석굴암, 수원 화성, 창덕궁, 경주 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의 고인돌 유적,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 조선 시대 왕릉 등이다.

또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직지심체요절, 해인사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조선왕조의궤, 동의보감, 일성록, 5․18 민주화 운동 기록물 등이 유네스코의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①㉠-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셨다.

②㉡-청동기시대의 돌무덤이다.

③㉢-태조에서 철종 때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하였다.

④㉣-병인양요 때 프랑스 군에게 약탈당하였다.

 

문 14.다음과 같은 정책이 시행되었던 시대의 경제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동통보를 비롯한 돈 15,000관을 주조하여 관리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은 한 근으로 우리나라 지형을 본 딴 은병을 만들어 통용시켰는데, 민간에서는 이를 활구(闊口)라 불렀다.

①공인이 상업 활동을 주도하였다.

②시전 상인의 금난전권을 제한하였다.

③대도시에 주점, 다점 등의 관영 상점을 두었다.

④시장을 감독하는 관청으로 동시전을 설치하였다.

 

문 15.다음 민요에서 보이는 경제활동에 대한 조선 전기의 모습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짚신에 감발차고 패랭이 쓰고

꽁무니에 짚신 차고 이고 지고

이 장 저 장 뛰어가서

장돌뱅이들 동무들 만나 반기며

이 소식 저 소식 묻고 듣고

목소리 높여 고래고래 지르며

…(중략)…

손잡고 인사하고 돌아서네

다음 날 저 장에서 다시 보세

①15세기 후반 이후 장시는 점차 확대되었다.

②보부상은 장시에서 농산물, 수공업제품 등을 판매하였다.

③정부가 조선통보를 유통시킴으로써 동전화폐 유통이 활발해졌다.

④농업생산력의 발달에 힘입어 지방에서 장시가 증가하였다.

 

문 16.다음 기구에서 추진한 개혁 내용으로 옳은 것은?

총재 1명, 부총재 1명, 그리고 16명에서 20명 사이의 회의원으로 구성되었다. 이밖에 2명 정도의 서기관이 있어서 활동을 도왔고, 또 회의원 중 3명이 기초 위원으로 선정되어 의안의 작성을 책임졌다. 총재는 영의정 김홍집이 겸임하고, 부총재는 내아문독판으로 회의원인 박정양이 겸임하였다.

①은본위 화폐 제도를 실시하였다.

②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을 회복하였다.

③양전 사업을 실시하여 지계를 발급하였다.

④재판소를 설치하여 사법권과 행정권을 분리시켰다.

 

문 17.(가)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관리의 녹읍을 혁파하고 매년 조(租)를 내리되 차등이 있게 하였다.

(나)여러 관리의 월봉을 없애고, 다시 녹읍을 나누어 주었다.

①처음으로 병부를 설치하였다.

②화백회의에서 국왕을 폐위시킨 일이 있었다.

③호족이 지방의 행정권과 군사권을 장악하였다.

④6두품이 학문적 식견을 바탕으로 국왕의 조언자로 활동하였다.

 

문 18.다음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입하기를 원하는 자에게는 반드시 먼저 규약문을 보여주고, 몇 달 동안 실행할 수 있는가를 스스로 헤아려 본 뒤에 가입하기를 청하게 한다. 가입을 청하는 자는 반드시 단자에 참가하기를 원하는 뜻을 자세히 적어 모임이 있을 때에 진술하고, 사람을 시켜 약정(約正)에게 바치면 약정은 여러 사람에게 물어서 좋다고 한 다음에야 글로 답하고, 다음 모임에 참여하게 한다.

-[율곡전서]중에서-

①향촌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 치안을 담당하는 향촌의 자치 기능을 맡았다.

②전통적 미풍양속을 계승하면서 삼강오륜을 중심으로 한 유교 윤리를 가미하였다.

③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에 서로 돕는 역할을 하였고, 상두꾼도 이 조직에서 유래하였다.

④지방 유력자가 주민을 위협, 수탈하는 배경을 제공하는 부작용도 있었다.

 

문 19.밑줄 친 ‘평량’과 ‘평량의 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골라 바르게 짝지은 것은?

평량은 평장사 김영관의 사노비로 경기도 양주에 살면서 농사에 힘써 부유하게 되었다. 평량의 처는 소감 왕원지의 사노비인데, 왕원지는 집안이 가난하여 가족을 데리고 와서 의탁하고 있었다. 평량이 후하게 위로하여 서울로 돌아가기를 권하고는 길에서 몰래 처남과 함께 왕원지 부부와 아들을 죽이고, 스스로 그 주인이 없어졌음을 다행으로 여겼다.

-[고려사]중에서-

<보 기>

ㄱ.평량은 자신의 토지를 소유할 수 있었다.

ㄴ.평량은 주인집에 살면서 잡일을 돌보았다.

ㄷ.평량의 처는 국가에 일정량의 신공을 바쳤다.

ㄹ.평량의 처는 매매․증여․상속의 대상이 되었다.

①ㄱ, ㄴ

②ㄱ, ㄹ

③ㄴ, ㄷ

④ㄷ, ㄹ

 

문 20.다음의 경제 조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제 1 조:구 백동화 교환에 관한 사무는 금고로 처리케 하여 탁지부 대신이 이를 감독함

제 3 조:구 백동화의 품위(品位)․양목(量目)․인상(印象)․형체(形體)가 정화(正貨)에 준할 수 있는 것은 매 1개에 대하여 금 2전 5푼의 가격으로 새 화폐로 교환함이 가함

①한국 상인들이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②일본제일은행이 중앙은행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③액면가대로 바꾸어 주는 화폐교환 방식을 따랐다.

④구 백동화 남발에 따른 물가 상승이 이 조치에 영향을 끼쳤다.

728x90
728x90

문 1.다음 ㉠~㉣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배열한 것은?

기원전 8~7세기 무렵에 도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일반적으로

은 식량 채집 단계로부터 식량 생산 단계로의 변화를 낳은 농업혁명을 말한다.

○과 뒤를 이은 을 대표적인 유물로 하는 청동기 문화는 황하나 내몽골 지역의 것과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개성을 지닌 것이었다.

                                                     

①벼농사     신석기혁명         비파형동검     세형동검

②벼농사     청동기혁명         세형동검        비파형동검

③보리농사   신석기혁명       세형동검         비파형동검

④보리농사  청동기혁명        비파형동검      세형동검

 



문 2.삼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제정일치의 사회였다.

②저수지가 축조되고 벼농사가 발달하였다.

③철이 많이 생산되어 낙랑과 왜 등에 수출하였다.

④5월과 10월에 계절제를 열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문 3.다음 글에 해당하는 왕의 정책으로 옳은 것은?

○처음으로 소를 이용한 밭갈이가 시작되었다.

○국호를 한자식 표현인 ‘신라’로 바꾸었다.

①우산국을 복속시켜 영토로 편입하였다.

②왕호를 이사금에서 마립간으로 바꾸었다.

③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공인하였다.

④고령의 대가야를 정복하여 낙동강 유역을 확보하였다.

 

문 4.발해의 대외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당과 신라를 견제하기 위해 돌궐과 외교관계를 맺기도 하였다.

②일본과는 서경 압록부를 통해 여러 차례 사신이 왕래하였다.

당에 유학생을 보냈는데 빈공과에 급제한 사람이 여러 명 나왔다.

일본은 발해에 보낸 국서에서 발해왕을 ‘고려왕’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문 5.위정척사운동의 전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대원군의 쇄국정책을 뒷받침하였다.

②동도서기론과 문명개화론을 주장하였다.

③영남 유생들의 만인소 운동이 일어났다.

④일본과 관련하여 왜양일체론을 내세웠다.

 

문 6.밑줄 친 ‘국왕’의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국왕께서 왕위에 즉위한 첫 해에 맨 먼저 도서집성 5천여 권을 연경의 시장에서 사오고, 또 옛날 홍문관에 간직했던 책과 강화부 행궁에 소장했던 책과 명에서 보내온 책들을 모았다. … 창덕궁안 규장각 서남쪽에 열고관을 건립하여 중국본을 저장하고, 북쪽에는 국내본을 저장하니, 총 3만권 이상이 되었다.

①통치규범을 재정리하기 위하여 대전통편을 편찬하였다.

②당파와 관계없이 인물을 등용하는 완론탕평을 실시하였다.

③당하관 관료의 재교육을 위해 초계문신제도를 시행하였다.

④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장용영이라는 친위부대를 창설하였다.

 

문 7.다음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삼사에서 말하기를 “지난 해 밀성 관내의 뇌산부곡 등 곳은 홍수로 논 밭 작물이 피해를 보았으므로 청컨대 1년치 조세를 면제하십시오.”라고 하니, 이를 따랐다.

향 부곡 악공 잡류의 자손은 과거에 응시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익안폐현은 충주의 다인철소인데, 주민들이 몽고의 침입을 막는데 공이 있어 현으로 삼아 충주의 속현이 되었다.

-고려사-

①소의 주민은 주로 농사를 지었다.

②부곡민은 조세를 부담하지 않았다.

③부곡민은 과거에 응시하여 관리가 될 수 있었다.

④소의 주민이 공을 세우면 소가 현으로 승격될 수 있었다.

 

문 8.다음 글은 다산 정약용이 당시 농민들의 실태를 지적한 것이다. 이 시기의 각 지역 호적대장에서 급증하는 호구는?

지금 호남의 백성들을 볼 때 대략 100호가 있다고 한다면, 그 중 다른 사람에게 토지를 빌려주고 지대를 받는 자는 불과 5호에 지나지 않고, 자기 토지로 농사짓는 자는 25호이며, 타인의 토지를 빌려 지으면서 지대를 바치는 자가 70호나 된다.

①양반호               ②상민호

③노비호               ④양반호, 상민호

 

문 9.다음 주장에서 강조하고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그러면 지금의 조선 민족에게는 왜 정치적 생활이 없는가? 일본이 조선을 병합한 이래로 조선에게는 모든 정치활동을 금지한 것이 첫째 원인이다. … 지금까지 해 온 정치적 운동은 모두 일본을 적대시하는 운동뿐이었다. 이런 종류의 정치 운동은 해외에서나 할 수 있는 일이고, 조선 내에서는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일대 정치적 결사를 조직해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주장이다.

①무장 투쟁을 통해 독립을 이루어야 한다.

②농민, 노동자를 단결시켜 일제를 타도해야 한다.

③일제의 식민 지배를 인정하고 그 밑에서 정치적 실력 양성을 해야 한다.

④국제적인 외교를 통해서 일제의 만행을 알리고 우리나라의 독립을 알려야 한다.

 

문 10.밑줄 친 ‘그’의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는 함경도 단천 출신으로 한성으로 올라와 무관학교에 입학하였고, 졸업 후 시위대 장교로 군인생활을 시작하였다. 강화도 진위대 대장시절에는 공금을 횡령한 강화부윤이 자신을 모함하자, 군직을 사임하기도 하였다. 는 군인이면서도 계몽운동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강화읍에 보창학교를 세워 근대적 교육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고종황제의 강제퇴위와 군대해산을 전후하여 무력항쟁과 친일파 대신 암살 등을 계획하였으며, 강화 진위대가 군대 해산에 항의하여 봉기하자 이에 연루되어 체포되기도 하였다.

①비밀결사조직인 신민회에 참여하였다.

②하바로프스크에서 한인사회당을 결성하기도 하였다.

대동보국단을 조직하고 진단이라는 잡지를 발간하기도 하였다.

블라디보스토크에 대한광복군정부라는 임시정부를 수립하였다.

 

문 11.다음과 같은 혼인 풍습이 있었던 나라의 사회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혼인하는 풍속을 보면, 구두로 약속이 정해지면 신부집에서 본채 뒤에 작은 별채를 짓는데, 이를 서옥(婿屋)이라 한다. 해가 저물 무렵, 신랑이 신부집 문 밖에 와서 이름을 밝히고 꿇어앉아 절하며 안에 들어가 신부와 잘 수 있도록 요청한다. 이렇게 두세 번 청하면 신부의 부모가 별채에 들어가 자도록 허락한다. … 자식을 낳아 장성하면 신부를 데리고 자기 집으로 간다.

-삼국지-

①건국 시조인 주몽과 그 어머니 유화부인을 조상신으로 섬겨 제사를 지냈다.

②남의 부족의 영역을 침범하면 소나 말 등으로 변상하는 책화라는 풍습이 있었다.

③왕 아래에 상가, 고추가 등의 대가들이 있었으며, 각기 사자, 조의, 선인 등 관리를 거느렸다.

10월에 동맹이라는 제천행사를 치르고, 아울러 왕과 신하들이 국동대혈에 모여 함께 제사를 지냈다.

 

문 12.다음에서 묘사하고 있는 시기의 역사적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허생은 안성의 한 주막에 자리 잡고서 밤, 대추, 감, 귤 등의 과일을 모두 값을 배로 주고 사들였다. 그가 과일을 도고하자, 온 나라가 제사나 잔치를 치르지 못할 지경에 이르렀다. 따라서 과일값은 크게 폭등하였다. 그는 이에 10배의 값으로 과일을 되팔았다. 이어서 그는 그 돈으로 곧 호미, 삼베, 명주 등을 사 가지고 제주도로 들어가 말총을 모두 사들였다. 말총은 망건의 재료였다. 얼마 되지 않아 망건 값이 10배나 올랐다. 이렇게 하여 그는 50만 냥에 이르는 큰 돈을 벌었다.

①보부상들을 보호할 목적으로 혜상공국이 설치되었다.

②특정 상품들을 독점 판매하는 도고상업이 성행하였다.

③상업이 활성화되면서 선박을 이용한 운수업도 발전하였다.

④전국적으로 발달한 장시를 토대로 한 사상들이 성장하였다.

 

문 13. 다음과 같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신 부식은 아뢰옵니다. 옛날에는 여러 나라들도 각각 사관을 두어 일을 기록하였습니다. … 해동의 삼국도 지나온 세월이 장구하니, 마땅히 그 사실이 책으로 기록되어야 하므로 마침내 늙은 신에게 명하여 편집하게 하셨사오나, 아는 바가 부족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①현존하는 우리나라의 역사서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기전체로 서술되어 본기, 지, 열전 등으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③고구려 계승 의식보다는 신라 계승 의식이 좀 더 많이 반영되었다고 평가된다.

몽골 침략의 위기를 겪으며 우리의 전통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려는 움직임에서 편찬되었다.

 

문 14.삼국시기의 고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고구려 돌무지무덤:백제 초기 무덤에 영향을 미쳤다.

②백제 벽돌무덤: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았다.

신라 돌무지덧널무덤:나무덧널을 설치하고 그 위에 돌만 쌓았다.

④굴식 돌방무덤:삼국은 모두 굴식 돌방무덤을 조영했다.

 

15.다음과 같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조선 정부가 시행한 정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농촌 사회는 심각하게 파괴되었다. 수많은 농민이 전란 중에 사망하거나 피난을 가고 경작지는 황폐화되었다. 그러나 농민의 조세부담은 줄어들지 않았다. 양난 이후 조선 정부의 가장 큰 어려움은 농경지의 황폐와 전세 제도의 문란이었다.

①양전 사업 실시②군적수포제 실시

③연분 9등법 실시④오가작통제 실시

 

문 16.공민왕의 정책으로 옳은 것은?

①만권당을 설립하여 문물교류를 진흥하였다.

②성균관을 부흥시켜 유학 교육을 강화하였다.

③명의 철령위 설치 요구로 인해 요동정벌을 단행하였다.

④정치도감을 설치하여 국가 재정수입의 기반을 확대하였다.

 

문 17.조선시대 향촌 사회의 모습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유향소는 수령을 보좌하고 향리를 감찰하기 위한 기구였다.

②향안은 임진왜란 전후 시기에 각 군현마다 보편적으로 작성되었다.

③경제적으로 성장한 일부 부농층은 향회를 장악하며 상당한 지위를 확보하기도 하였다.

④세도정치기에 향회는 수령과 향리들을 견제하고 지방통치를 대리하는 기구로 성장하였다.

 

문 18.조선후기 과학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유클리드 기하학을 중국어로 번역한 기하원본이 도입되기도 하였다.

지석영은 서양의학의 성과를 토대로 서구의 종두법을 최초로 소개하였다.

곤여만국전도 같은 세계지도가 전해짐으로써 보다 과학적이고 정밀한 지리학의 지식을 가지게 되었다.

서호수는 우리 고유의 농학을 중심에 두고 중국 농학을 선별적으로 수용하여 한국 농학의 새로운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문 19.밑줄 친 ‘그’의 저술로 옳은 것은?

는 당나라에 유학하여 지엄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돌아와 영주에 부석사를 창건하고 문무왕의 정치적 자문도 맡았다. 는 모든 우주만물이 대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서로 조화하고 포용하는 관계를 가졌다고 주장해 유명한 ‘일즉다 다즉일(一卽多 多卽一)’이라는 독특한 논리를 폈다. 즉 하나가 전체요 전체가 하나라는 것이다.

①십문화쟁론              ②해심밀경소

③천태사교의              ④화엄일승법계도

 

문 20.1960년대의 경제 상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었다.

②베트남 파병을 계기로 베트남 특수를 누리게 되었다.

③미국의 무상 원조가 경제 개발의 주요 재원으로 활용되었다.

경제 건설에 필요한 재원 조달을 위해 한․일협정이 체결되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