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  1. 건축 시설별 평면상 구조모듈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로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① 호텔-객실의 폭

      ② 도서관-서가계획

      ③ 백화점-외장 창호모듈

      ④ 사무실-업무공간과 주차구획



문  2. 도서관의 출납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개가식은 열람자가 도서를 자유롭게 서고에서 꺼내서 열람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② 안전개가식은 서고에서 도서를 자유롭게 찾아볼 수 있으나 열람 시에는 카운터에서 사서의 검열을 거친다.

      ③ 폐가식은 목록에서 원하는 책을 사서에게 신청하여 받은 다음 열람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④ 반개가식은 시간대별로 개가식과 폐가식으로 시스템을 바꾸어 운영하는 절충형 시스템이다.


문  3. 척도조정(Modular Coordination)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다양한 형태의 창의적인 디자인에 유리하다.

      ② 부재의 대량생산으로 경제성이 증가된다.

      ③ 시공이 간편해져 공기가 단축된다.

      ④ 설계 작업의 단순화가 이루어진다.


문  4. 케빈 린치(Kevin Lynch)가 정의한 도시공간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통로(path)

      ② 가장자리(edge)

      ③ 조경(landscape)

      ④ 지구(district)


문  5. 독일공작연맹(Deutscher Werkbun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예술품의 기계적 생산을 배척하고 수공예에 의한 예술의 복귀를 주장했다.

      ② 무테지우스(H. Muthesius)의 주도에 의해 1907년 결성되었다.

      ③ 1927년 바이센호프 주택단지(Weissenhof Siedlung) 전시회를 개최했다.

      ④ 베렌스(P. Behrens)의 A.E.G. 터빈공장이 해당된다.


문  6. 학교 계획과 관련된 학교 운영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종합교실형(U형)은 학생의 이동이 없이 교실 안에서 모든 교과를 수행한다.

      ② 교과교실형(V형)은 학생의 이동이 많기 때문에 특히 동선처리에 주의해야 한다.

      ③ 플래툰형(P형)은 전 학급을 두 개로 나누어 한쪽이 일반교실을 사용할 때 다른 쪽은 특별교실을 사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④ 달톤형(D형)은 학생을 수준에 맞는 학급에 배정하기 때문에 같은 유형의 학급교실을 여러 개 설치하여야 한다.


문  7. 통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배수관 계통의 환기를 도모하여 관내를 청결하게 유지한다.

      ② 사이펀 작용 및 배압에 의해서 트랩 봉수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③ 도피 통기관은 배수 수직관 상부에서 관경을 축소하지 않고 연장하여 대기 중에 개구한 통기관을 말한다.

      ④ 각개 통기방식은 기능적으로 가장 우수하고 이상적이다.


문  8. 건물 내의 급탕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급탕온도는 70°C를 기준으로 하며, 급탕량 부하를 산정할 경우 70kcal/l로 보는 것이 보통이다.

      ② 급탕용 배관기기의 수압시험은 일반적으로 피복하기 전 실제 사용하는 최고 압력의 2배 이상으로 10분 이상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③ 급탕 배관에는 굴곡배관이 가장 합당하다.

      ④ 급탕 배관에서 구배는 완만하게 하며, 관은 3∼5cm 정도의 보온재로 감싸준다.


문  9. 근린주구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하워드(E. Howard)는 도시와 농촌의 장점을 결합한 전원도시(Garden City)계획안을 발표하고, 런던 교외 신도시 지역인 레치워스에서 실현하였다.

      ② 페리(C. A. Perry)는 일조문제와 인동간격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근린주구의 중심시설을 교회와 커뮤니티센터로 하였다.

      ③ 페더(G. Feder)는 소주택의 근린지를 제안하고, 페리의 근린주구와 거의 같은 규모로 상업시설 등을 중심시설로 두었다.

      ④ 라이트(H. Wright)와 스타인(C. S. Stein)은 자동차와 보행자 분리한 슈퍼블록을 제안하였고, 쿨드삭(Cul-de-Sac)의 도로형태를 제안하였다.


문 10. 병원의 각 부분에 대한 세부 건축계획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개의 간호사 대기소에서 간호사의 보행거리는 24m 이내가 되도록 한다.

      ② 수술실 위치는 중앙재료멸균실에 수직적으로 또는 수평적으로 근접이 쉬운 장소이어야 한다.

      ③ 수술실은 외래진료부와 병동부 중간에 배치한다.

      ④ 수술실의 온도는 22.6°C, 습도는 50%로 한다.


문 11. 서양건축을 시대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로마네스크→고딕→르네상스→비잔틴

      ② 고딕→르네상스→비잔틴→로마네스크

      ③ 로마네스크→고딕→비잔틴→르네상스

      ④ 비잔틴→로마네스크→고딕→르네상스


문 12. 호텔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레지덴셜 호텔(residential hotel)은 시티 호텔(city hotel)의 분류에 속한다.

      ② 커머셜 호텔(commercial hotel)은 각종 비즈니스를 위한 여행자에 대해 편의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③ 오락실은 공공부분(public part)에 속한다.

      ④ 린넨 룸(linen room)의 용도는 식품, 식기, 조리 기구를 넣어 두는 곳이다.


문 13. 사무소 건축에서 오피스 랜드스케이핑(Office Landscap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음이 발생하기 쉽다.

      ② 프라이버시 및 독립성 확보의 이점이 있다.

      ③ 변화하는 업무의 흐름이나 작업 패턴에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하다.

      ④ 전 면적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어 공간의 효용성을 높여준다.


문 14. 실내체육관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기장 바닥면은 경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음이 신속하게 다른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반사시켜야 한다.

      ② 체육관의 기능은 크게 경기부분, 관람부분, 관리부분으로 구성된다.

      ③ 출입통로, 탈의통로, 탈의실과 샤워실을 연결하는 웨트 존(wet zone)통로 등은 위생적인 측면에서 교차되어서는 안된.

      ④ 천장높이는 일반적으로 탁구경기장은 최저 4.0m, 배구경기장은 최저 12.5m가 필요하다.


문 15. 빛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광속은 단위시간에 여러 면을 통과하는 방사에너지의 양을 말하며 단위로는 와트(w)를 사용한다.

      ② 광도(Luminous intensity)는 광원에서 발산하는 광의 세기를 말한다.

      ③ 조도는 면에 투사되는 광속의 밀도를 말하며, 단위로는 룩스(lx)를 사용한다.

      ④ 휘도는 광원면, 투과면 또는 반사면의 어느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밝기를 말하며, 단위로는 스틸브(sb)와 니트(nt)가 사용된다.


문 16. 건축의 3대 요소를 기능(Function), 구조(Structure), 형태(Form)라는 용어로 정의한 건축가는?

      ① 비트루비우스(Vitruvius)

      ② 피에르 루이지 네르비(Pier Luigi Nervi)

      ③ 모리스 블롱델(Maurice Blondel)

      ④ 헥토르 기마르(Hector Guimard)


문 17. 옥내조명설계의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① 조명방식의 결정→광원의 선정→소요 조도의 결정→조명기구 필요수의 산출→조명기구 배치의 결정

      ② 소요 조도의 결정→조명방식의 결정→광원의 선정→조명기구 필요수의 산출→조명기구 배치의 결정

      ③ 광원의 선정→소요 조도의 결정→조명기구 배치의 결정→조명기구 필요수의 산출→조명방식의 결정

      ④ 광원의 선정→조명방식의 결정→소요 조도의 결정→조명기구 배치의 결정→조명기구 필요수의 산출


문 18. 배관의 부속품에서 유체의 흐름을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하는 밸브는?

      ① 체크 밸브(check valve)

      ② 글로브 밸브(globe valve)

      ③ 슬루스 밸브(sluice valve)

      ④ 볼 밸브(ball valve)


문 19. 공연장 형식 중에서 아레나(arena)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무대의 배경을 만들지 않는다.

      ② 관객이 연기자를 향하여 한 방향으로 관람하는 평면을 말한다.

      ③ 관객이 연기자를 둘러싸고 관람하는 형식이다.

      ④ 관객은 가까운 거리에서 연기를 관람할 수 있다.


문 20. 공기조화방식이 다른 것은?

① 단일 덕트 방식

      ② 이중 덕트 방식

      ③ 팬 코일 유닛 방식

      ④ 멀티 존 방식

728x90
728x90

문  1. 병원 건축의 형식 중 분관식(pavilion type)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행거리는 길어지나 설비비는 감소한다.

      ② 상대적으로 넓은 부지가 필요하다.

      ③ 외래진료부, 중앙진료실, 병동부 등을 각각 별동으로 하여 분산시키고 복도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④ 각 동들은 저층 건물 위주로 계획한다.



문  2. 환기방식과 그에 적절한 실의 용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반도체공장의 클린룸-2종 환기방식:외부의 오염된 먼지유입을 줄일 수 있다.

      ② 화장실-1종 환기방식:급기와 배기량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악취를 빨리 배출할 수 있다.

      ③ 자동차 공장의 도장공장-3종 환기방식:실내를 항상 정압으로 유지한다.

      ④ 주방-1종 환기방식:급기와 배기를 충분히 할 필요가 있다.


문  3. 시대별 건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집트건축은 석기시대의 목조건축에서 비롯되었으며 석조건축이 기본이 된다.

      ② 로마시대에서는 벽돌과 돌을 사용한 아치구조와 볼트구조가 발전하였으나 콘크리트는 사용되지 않았다.

      ③ 고딕양식에서는 플라잉 버트레스, 첨두아치, 리브볼트 등을 사용하여 높이를 높이고 횡력에 대한 보강을 하였다.

      ④ 르네상스 건축의 돔 구조법은 비잔틴양식에서 이어진 것이며, 돔 하부의 드럼을 높게 하여 이 부분에 창을 두어 채광효과를 주었다.


문  4. 봉수의 파괴원인과 그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모세관 현상:정기적으로 이물질 제거

      ② 자기사이펀 작용:트랩의 유출부분 단면적이 유입부분 단면적 보다 큰 것을 사용

      ③ 역사이펀 작용:수직관의 낮은 부분에 통기관을 설치

      ④ 유도사이펀 작용:수직관 하부에 통기관을 설치하고 수직배수 관경을 충분히 크게 선정


문  5. 초등 및 중학교 건축계획에서 학생들의 행동특성을 고려한 블록플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초등학교에서 저학년교실군은 출입구 근처의 1층이나 저층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② 저학년과 고학년교실군은 근접배치하거나 동일한 층에 배치한다.

      ③ 특별교실군은 교과내용에 대한 융통성과 학생 이동에 따른 소음방지에 유의한다.

      ④ 블록플랜은 학년단위로 배치하는 것이 원칙이며, 일반교실과 특별교실은 분리시킨다.


문  6. 극장의 무대부분 용어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이클로라마(cyclorama)는 무대의 뒷 배경을 비추는 조명장치를 말한다.

      ② 그리드아이언(gridiron)은 무대의 천장밑에 배열된 철골로서 배경, 조명, 반사판 등이 매달릴 수 있게 장치된다.

      ③ 플라이로프트(fly loft)는 무대의 상부 공간으로, 이상적인 높이는 프로세니엄 높이의 4배 이상이다.

      ④ 프로세니엄 아치(proscenium arch)는 무대와 관람석 사이의 개구부이자 무대와 무대배경을 제외한 다른 부분을 관객의 시선으로부터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문  7. 연립주택의 종류와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테라스 하우스(terrace house)는 대지의 경사도가 30°가 되면 윗집과 아랫집이 절반정도 겹치게 되어 평지보다 2배의 밀도로 건축이 가능하다.

      ② 파티오 하우스 (patio house)는 1가구의 단층형 주택으로, 주거공간이 마당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에워싸고 있다.

      ③ 테라스 하우스(terrace house)는 상향식이든 하향식이든 경사지에서는 스플릿 레벨(split level) 구성이 가능하다.

      ④ 타운 하우스(town house)는 인접주호와의 경계벽 설치를 연장하고 있으며, 대개 4~5층 이상으로 건립한다.


문  8. 영역성(territorial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어떤 물건 또는 장소를 개인화, 상징화함으로써 자신과 다른 사람을 구분하는 심리적 경계를 말한다.

      ② 영역성의 개념은 동물과 사람 모두에게 적용되는 것이다.

      ③ 영역성이란 익명성과 유사한 의미이며 인간행동을 결정 짓는다.

      ④ 방어적 공간은 영역성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각종 범죄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문  9. 사무소건축에 있어서 코어(core)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무소의 유효면적률(rentable ratio)을 높이기 위해 각층의 서비스부분을 사무공간에서 분리하여 집중시킨 부분이다.

      ② 코어부분의 규모는 가능한 크게하여 구조적으로 유리하도록 한다.

      ③ 샤프트나 공조실은 계단, 엘리베이터 및 설비실(utility closet)들 사이에 갇혀있지 않도록 한다.

      ④ 계단, 엘리베이터, 화장실 등은 근접배치하고 피난용 특별계단은 법적거리 한도 내에서 가능한 멀리 이격시킨다.


문 10. 페리(C. Perry)가 1929년에 정립한 근린주구단위 개념에 따른 근린주구의 계획원리로서 옳지 않은 것은?

      ① 하나의 초등학교가 필요하게 되는 인구에 대응하는 ‘규모’를 가져야 하고, 그 물리적 크기는 인구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② ‘근린점포’의 경우, 주민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1~2개소 이상의 상업지구가 주거지 내에 설치되어야 한다.

      ③ 단지경계와 일치한 서비스구역을 갖는 학교 및 ‘공공건축용지’는 중심 위치에 적절히 통합한다.

      ④ ‘경계’의 단위는 통과교통이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구획한다.


문 11. 일반적인 온수온돌 복사난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① 실내의 온도분포가 균등하고 쾌감도가 높다.

      ② 평균온도가 낮기 때문에 동일 방열량에 대해 손실열량이 크다.

      ③ 구조체를 덥히게 되므로 예열시간이 길어져 일시적으로 쓰는 방에는 부적당하다.

      ④ 하자 발견 및 보수가 어렵다.


문 12. 호텔의 설비계획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체에 적합한 온도는 15~20°C, 습도는 40~60%이다.

      ② 실내온도 설정은 객실은 20°C, 주방은 15°C, 연회장은 21°C전후로 유지하도록 한다.

      ③ 객실이나 퍼블릭 스페이스는 온수난방이 좋다.

      ④ 대형호텔의 급수방식은 압력수조방식보다 고가수조방식이 유리하다.


문 13. 위생 및 소화, 가스설비에서 배관 색채기호와 대상의 조합이 옳지 않은 것은?

      ① 물(W):청색

      ② 가스(G):진한 회색

      ③ 기름(O):진한 황적색

      ④ 증기(S):진한 적색


문 14. 다음 글에서 설명하는 서양의 근대건축 운동은?

      

1917년 네덜란드의 화가, 조각가, 건축가들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순수추상주의를 표방하였다.

○이 운동의 중심인물들로는 몬드리안(Piet Mondrian), 반 되스버그(Theo van Doesburg), 리트벨트(Gerrit Rietvelt) 등을 들 수 있다.

○기하학적이며 신조형적 표현들과, 무채색과 대비되는 적, 청, 황색 등을 사용하였다.

      ① 아르누보(Art Nouveau)    ② 데 스틸(De Stijl)

      ③ 세제션(Sezession)            ④                          입체파(Cubism)


문 15. 다음 전통목조건축 중 건립연대가 가장 오래된 것은?

      ① 고산사 대웅전             ② 수덕사 대웅전

      ③ 부석사 무량수전           ④ 봉정사 극락전


문 16. 건축설계를 위한 프로그래밍(programm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프로그래밍은 관련 정보의 분석이 종료된 후, 구체적인 건축형태를 만드는 단계이다.

      ② 프로그래밍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으로는 일반적으로 건축주, 프로그래머, 건축가 등이 포함된다.

      ③ 현대에 와서 대규모 복합적 건물의 건립이 늘어나면서 직업적인 전문프로그래머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④ 현대에 와서 디지털미디어와 컴퓨터의 활용은 프로그래밍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문 17. 건축가와 작품, 그리고 건축가의 특성에 관한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르 꼬르뷔제(Le Corbusier)-롱샹의 노트르담 듀오 성당-콘크리트의 가소성을 표현한 벽과 지붕의 건축

      ② 에리히 멘델존(Erich Mendelsohn)-아인슈타인 타워-부정형의 표현주의적 건축

      ③ 루이스 칸(Louis I. Kahn)-비트라 디자인 박물관-해체주의적 조형성을 도입한 건축

      ④ 미스 반 데 로에(Mies van der Rohe)-시그램 빌딩-절제된 단순미를 보여주는 국제주의 양식의 건축


문 18. 미술관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라이트의 구겐하임미술관은 전시실 순회형식에서 볼 때 중앙홀 형식의 변형이다.

      ② 갤러리 및 코리더 형식은 각 실에 직접 출입이 유리하며, 필요 시 독립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③ 디오라마(diorama)전시는 연속적인 주제를 전경으로 펼쳐지도록 연출하는 특수전시기법이다.

      ④ 천연광(자연채광)은 색온도가 높고 자외선 포함률이 높다.


문 19. 노상주차장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주간선도로에는 설치가 불가하나, 분리대나 그 밖에 도로의 부분으로서 도로교통에 크게 지장을 주지 않는 부분은 예외로 한다.

      ② 주차대수 규모가 20대 이상인 경우에는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을 1면 이상 설치해야 한다.

      ③ 너비 8m 미만의 도로에 설치해서는 안된다.

      ④ 종단경사도가 6% 이하의 도로로서 보도와 차도의 구별이 되어있고 그 차도의 너비가 13m 이상인 도로에는 설치가능하다.


문 20. 음환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담장 뒤에 숨어 있어도 음이 들리는 것은 음이 담장을 돌아 나오기 때문이고, 이를 회절현상이라 하며 주파수가 높은 음일수록 회절현상을 일으키기 쉽다.

      ② 사람이 음을 지각할 수 있는 것은 음의 크기, 높이, 음색의 미묘한 조합의 차이를 판단하기 때문이고, 이 3가지 조건을 음의 3요소라 한다.

      ③ 진동수가 같다면 음의 크기는 진폭이 클수록 큰 음으로 지각된다.

      ④ 이상적인 선음원일 경우는 거리가 2배가 되면 음의 세기는 1/2배가 되고, 음압레벨은 3dB 감소한다.

728x90
728x90

문  1. 르 꼬르뷔제가 주창한 근대건축 5원칙에 해당하는 것은?

      ① 주택은 살기 위한 기계이다.

      ② 보다 적을수록 보다 풍부하다.

      ③ 자유로운 입면 디자인을 강조한다.

      ④ 장식은 죄악이다.



문  2. 스페인의 쇠락해 가던 빌바오시는 구겐하임 미술관을 신축함으로써 문화도시로 부흥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을 설계한 건축가는?

      ① 프랑크 게리(Frank Owen Gehry)

      ② 자하 하디드(Zaha Hadid)

      ③ 다니엘 리벤스킨드(Daniel Libenskind)

      ④ 피터 아이젠만(Peter Eisenman)


문  3. 우리나라 전통 목조 건축 양식 중 주심포계, 다포계 양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주심포계 양식은 다포계 양식보다 기둥의 배흘림이 강조되어 있다.

      ② 주심포계 양식은 다포계 양식과 달리 공포가 기둥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③ 숭례문은 다포계 양식에 속한다.

      ④ 조선 왕조의 다포계 양식은 주심포계 양식과의 절충이 많다.


문  4. 냉난방 부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난방부하의 요인으로 실내외 온도차에 의한 관류열손실, 틈새바람에 의한 열손실 등이 있다.

      ② 난방부하란 실내에서 실외로 빼앗기는 열손실량을 공급해야 하는 단위시간당 열량을 말한다.

      ③ 냉방부하의 요인으로 실내발생열량취득, 장치로부터의 열량취득 등이 있다.

      ④ 인체발생열량은 냉방부하의 발생요인에 속하지 않는다.


문  5. 교사(校舍)의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폐쇄형은 부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이점은 있으나 교실에 전달되는 운동장의 소음이 크고 교사주변에 활용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② 핑거플랜(finger plan)형은 건물사이에 놀이터와 정원이 생겨 생활환경이 좋아지나 편복도로 할 경우 복도면적이 너무 크고 동선이 길어서 유기적인 구성이 어렵다.

      ③ 집합형은 지역인구의 변화추세를 가늠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교지의 한쪽 편에서 건축되어 점차 집합화됨에 따라 물리적 환경이 열악해 진다.

      ④ 클러스터(cluster)형은 중앙에 공용으로 사용하는 부분을 집약시키고 외곽에 특별교실, 학년별교실동을 두어 동선을 명확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문  6. 다세대주택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가 660제곱미터 이하이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

      ②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가 660제곱미터를 초과하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

      ③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660제곱미터 이하이고, 층수가 3개 층 이하인 주택

      ④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660제곱미터를 초과하고, 층수가 3개 층 이하인 주택


문  7. 미술관 건축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측광창 형식은 소규모 전시실에 적합한 채광방식이다.

      ② 갤러리(gallery) 및 코리도(corridor) 형식은 각 실로 직접 들어 갈 수 있다는 점이 유리하다.

      ③ 연속순로형식은 1실이 폐문되더라도 전체동선의 흐름이 원활하여 비교적 대규모전시실 계획에 사용된다.

      ④ 중앙홀 형식은 장래의 확장에 많은 무리가 따른다.


문  8. 공연장의 무대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측면 무대(side stage)에는 조명기구나 사이크로라마(cyclorama)를 주로 설치한다.

      ② 무대의 상부 공간(fly loft) 높이는 프로세니움(proscenium) 높이의 4배 이상이 필요하다.

      ③ 플라이 갤러리(fly gallery)는 그리드아이언에 올라가는 계단과 연결되게 무대 주위의 벽에 설치되는 좁은 통로를 말한다.

      ④ 그리드 아이언(grid iron)은 무대배경, 조명기구, 연기자, 음향반사판 등을 매달 수 있는 장치이다.


문  9. 호텔객실의 형태계획에 있어 2인용 일반객실의 유효폭(a)과 길이(b)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가장 많이 적용되는 b/a의 치수비율은?

      

 

①0.6~1.2

②0.8~1.6

③1.5~2.0

④2.0~2.5

문 10. 사무소건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렌터블비(rentable ratio)란 임대면적과 연면적의 비율을 말하며, 값이 높을수록 수익성이 크다.

      ② 오피스 랜드스케이프(office landscape)계획의 단점은 프라이버시가 결여되기 쉽다.

      ③ 중심코어(center core)는 고층 및 초고층보다 중층 및 저층에 주로 사용된다.

      ④ 사무소의 깊이는 외측에 면할 경우 일반적으로 층고의 2.0~2.4  정도가 적당하다.


문 11. 병원건축에서 클로즈드 시스템(closed system)의 외래진료부 계획요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환자의 이용이 편리하도록 1층 또는 2층 이하에 둔다.

      ② 부속 진료시설을 인접하게 한다.

      ③ 전체병원에 대한 외래부의 면적비율은 10~15퍼센트 정도로 한다.

      ④ 외래부 중앙주사실은 가급적 정면출입구에서 먼 곳에 배치한다.


문 12. 근린주구 및 집합주거단지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단지 내 전 면적에 대한 인구밀도를 총 밀도라고 하며, 단지 내 주택건축용지에 관한 인구밀도를 호수밀도라 한다.

      ② 페리(C.A.Perry)의 근린주구이론은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한 곳을 필요로 하는 인구가 적당하며, 지역의 반지름이 약 400미터인 단위를 잡고 있다.

      ③ 근린주구 생활권의 주택지의 단위로는 인보구(隣保區), 근린분구(近隣分區), 근린주구(近隣住區)가 있다.

      ④ 공동주택의 16층 이상 또는 지하 3층 이하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은 특별피난계단으로 한다.


문 13. 건축의 형태구성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통일성이 지나치게 강조되면 단조로워지기 쉬우므로 적절한 변화성이 주어져야 하며 이러한 변화성은 무질서한 변화가 아니라 통일성의 테두리 속에서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② 균형을 얻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대칭을 통한 것으로 시각구성에서 대칭기법은 비대칭기법보다 균형의 상태를 만드는 것이 구성적으로 더 역동적인 경우가 많다.

      ③ 리듬에는 반복(repetition), 점증(gradation), 억양(accentuation) 등이 있다.

      ④ 질감에 대한 고려는 실내계획에서 특히 중요한데, 이는 인간의 신체가 일상적으로 접촉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문 14. 건축물에 설치되는 장애인 관련시설 및 설비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휠체어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접근로의 유효폭은 1.2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②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크기는 주차대수 1대에 대하여 폭 3.3미터 이상, 길이 5미터 이상이 바람직하다.

      ③ 대변기는 양변기를 사용하고, 대변기 좌대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4미터 이상 0.45미터 이하로 한다.

      ④ 장애인주차장은 엘리베이터가 있는 입구 부근에 장애인전용 주차공간을 설치하고 엘리베이터가 없는 주차장은 1층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경사로가 설치된 출입구에서는 되도록 먼 곳에 설치한다.


문 15. 건축용어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척도조정(modular coordination;MC)은 건축물의 재료나 부품에서부터 설계․시공에 이르기까지 건축생산 전반에 걸쳐 치수의 유기적인 연계성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② LCC(life cycle cost)란 건축물의 기획 및 설계단계에서 건축물 완공단계까지 건축물의 제작에 소요되는 총비용을 말한다.

      ③ POE(post occupancy evaluation)는 건축물이 완공되어 거주 후 사용자들의 반응을 진단 및 연구하는 과정을 말한다.

      ④ 인텔리전트 빌딩시스템(intelligent building system)이란 인간공학(ergonomics)에 바탕을 둔 건물자동화(building automation), 사무자동화(office automation), 정보통신(telecommunication) 기능 등이 적용된 것을 말한다. 


문 16. 열환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질량 m[kg], 비열 c[kcal/kgoC]의 물체의 온도를 1oC 높이는 데에는 mc[kcal/oC]의 열량이 필요하며, 이 열량을 그 물체의 열용량이라고 한다.

      ② 난방도일(heating degree day)은 1년 중 난방을 하는 일수이다.

      ③ 상대습도는 그 상태 수증기의 분압과 그 온도에 있어서 포화수증기압과의 비이다.

      ④ 물체는 상태가 변화할 때 온도의 변화 없이 일정한 양의 열을 흡수하는데 이때의 열량을 잠열량이라 한다.


문 17. 급수관의 관경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기구 연결관의 관경에 의한 결정

      ② 균등표에 의한 관경 결정

      ③ 배수부하단위에 의한 관경 결정

      ④ 마찰저항선도에 의한 관경 결정


문 18. 단열재를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하는 외단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난방을 정지했을 때 온도의 하락 폭이 크다.

      ② 간헐난방은 표면결로의 관점에서는 유리한 방법이 된다.

      ③ 구조체의 축열냉각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④ 열용량이 큰 건물은 재빠른 냉난방이 어렵다는 정성적인 특징이 있다.


문 19. 다음 글에서 설명하는 공조방식은?

      

○온도의 개별제어가 가능하다.

○냉난방을 동시에 할 수 있어 계절마다 냉난방 전환이 필요하지 않다.

전 공기식(all-air duct)이므로 냉온수관이나 전기배선을 실내에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운전동력비가 많이 든다.

      ① 정풍량 방식               ② 2중 덕트 방식

      ③ 각층 유닛 방식            ④ 팬코일 유닛 방식


문 20. 노외주차장의 차로에 관한 기준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사로의 종단경사도는 직선부분에서는 17퍼센트를, 곡선부분에서는 14퍼센트를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주차대수규모가 50대 이상인 경우의 경사로는 너비 6미터 이상인 2차선의 차로를 확보하거나 진입차로와 진출차로를 분리하여야 한다.

      ③ 경사로의 노면은 이를 거친 면으로 하여야 한다.

      ④ 높이는 주차바닥면으로부터 3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728x90
728x90

문  1. 병원건축에서 병동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간호대기소의 위치는 계단과 엘리베이터에 인접하여 보행거리가 30m 이내가 되도록 한다.

      ② 간호단위는 내․외과계 혼합의 경우 병상수 40~45개 정도로 한다.

      ③ 병동부 복도는 침대가 자유로이 통할 수 있는 넓은 폭이 필요하며, 보통 2.1~2.7m가 필요하다.

      ④ 병동부 간호단위는 가능한 한 진료과별, 남녀별 등으로 구분한다.



문  2. 주차계획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행자 진입로와 차량 진입로는 통행이 주로 이루어지는 주도로에 둔다.

      ② 차량 출입구는 전면도로의 종단구배가 10%를 초과하는 곳에 설치해서는 안된다.

      ③ 차량 출입구의 너비는 주차대수가 50대 이상인 경우 5.5m 이상, 50대 미만인 경우에는 3.5m 이상으로 한다.

      ④ 주차장의 경사로는 구배가 직선부 17%(1/6) 이하, 곡선부 14% 이하로 하고, 경사로의 시작과 끝 부분은 구배를 1/12 이내로 완화한다.


문  3. 사무실의 평면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셀룰러형(cellular type) : 개인 사무공간의 경계가 명확

      ② 콤비형(combi type) : 각 실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되는 개실과 조직내의 커뮤니케이션 유지를 위해 개방된 사무실을 결합한 형태

      ③ 오픈형(open type) : 단일기업을 대상으로 한 공간으로 공간의 저밀도화에 유리한 평면형태

      ④ 랜드스케이프형(landscape type) : 오피스의 가구 및 패널 등을 이용하여 사무실의 공간을 배치하는 형식


문  4. 일반 건축물의 출입구 계획으로 옳은 것은?

      ① 공공 건축물의 주출입구에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다.

      ② 주출입구에 회전문을 설치하는 경우 출입용 여닫이문은 같이 설치하지 않는다.

      ③ 은행에서 일반 이용자들이 사용하는 주출입구의 문은 안여닫이로 해서는 안된다.

      ④ 영화관의 관람석 출입문은 출입의 편의를 위해 홀에서 관람석 방향으로 열리도록 해야 한다.


문  5. 조선시대 다포식 목조건축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주두와 소로의 형상은 굽의 하반부가 곡면

      ② 주심포식보다 덜 현저한 배흘림

      ③ 평방

      ④ 주간포작


문  6. 주거단지 근린생활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근린생활권은 인보구(隣保區), 근린분구(近隣分區), 근린주구(近隣住區)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② 근린분구(近隣分區)는 일상 소비생활에 필요한 공동시설이 운영 가능한 단위이며, 소비시설, 후생시설, 보육시설을 설치한다.

      ③ 인보구(隣保區)는 어린이 놀이터가 중심이 되는 가장 작은 단위이다.

      ④ 근린주구(近隣住區)는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단위이며, 경찰서, 전화국 등의 공공시설이 포함된다.


문  7. 도서관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도서관 계획에는 모듈시스템(module system)을 적용한다.

      ② 열람실의 소요면적 산정기준은 서가(書架)의 크기 및 장서수로 결정한다.

      ③ 서고는 모듈시스템(module system)에 의하여 위치를 고정하지 않는다.

      ④ 도서관의 기능에는 조사, 연구, 수집, 정리 및 보존 기능과 학습, 레크리에이션 등의 사회교육 기능도 있다.


문  8. 실내에서 인체의 온열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요소로 옳은 것은?

      ① 기온, 습도, 기압, 복사열

      ② 기온, 습도, 기류, 복사열

      ③ 열관류, 열전도, 복사열, 대류열

      ④ 기온, 습도, 기류, 압력


문  9. 영역성에 대한 개념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간이 물리적인 경계를 정하여 자기영역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행동을 영역성이라 한다.

      ② 개인공간이 고정된 반면 자기영역은 건축환경에 따라 움직이는 공간이다.

      ③ 범죄예방을 위한 공간설계에 적용될 수 있다.

      ④ 영역성의 개념은 건축 및 도시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문 10. 실내 음환경에서 잔향시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잔향시간은 음성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이 음향청취를 목적으로 하는 공간보다 짧아야 한다.

      ② 잔향시간을 길게 하기 위해서는 실내공간의 용적이 작아야 한다.

      ③ 실의 흡음력이 클수록 잔향시간은 길어진다.

      ④ 잔향시간은 흡음재료의 사용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문 11. 건물 내부의 결로방지를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외부 벽체의 열관류 저항을 크게 한다.

      ② 실내의 외기 환기 횟수를 늘린다.

      ③ 외단열을 사용하여 벽체 내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한다.

      ④ 외부 벽체의 방습층을 실외 측에 가깝게 한다.


문 12. 건축물의 소방에 필요한 소화설비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자동화재경보 설비         ② 스프링클러 설비

      ③ 드렌처(Drencher) 설비     ④ 옥내소화전 설비


문 13. 단열방식은 저항형 단열, 반사형 단열, 그리고 용량형 단열로 구분된다. 용량형 단열방식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① 건축 재료의 열저항 값에 따른 전체 구조체의 열관류 성능을 계산하여 적정 단열 두께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② 여름철 지붕의 단열에 사용하면 높은 고도의 태양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는 방식이다.

      ③ 구조체의 축열성능에 의해 외부에서 내부로의 열전달을 지연시키는 타임-랙(time-lag)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④ 방사율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여 복사열을 반사하여 단열효과를 얻는 방식이다.


문 14. 열에너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분자의 무질서한 운동의 형태를 갖는 에너지를 현열이라고 한다.

      ② 온도계로 측정하고 느낄 수 있는 열을 현열이라고 한다.

      ③ 물체의 상태변화에 사용되는 열을 현열이라고 한다.

      ④ 부피와 온도 모두 현열의 함수이다.


문 15. 장애인 시설계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주출입구의 문은 휠체어가 통과할 수 있는 최소폭이 70cm이므로 가능하면 75cm 이상이 바람직하다.

      ② 복도는 턱이나 바닥면의 단차가 없어야 한다. 5mm 이상의 단차는 노인, 보행장애인 등이 걸려 넘어질 수 있다.

      ③ 내부경사로의 기울기는 1/12 이하로 한다. 1/12~1/18의 범위를 초과하는 완만한 이동경사는 오히려 이동거리를 길게 하여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④ 내부경사로 양 측면에는 높이 5~10cm의 휠체어 추락 방지턱을 설치한다.


문 16. 건축환경계획에 필요한 용어와 단위이다.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상대습도-%     ②        열전도율-kcal/m2h℃

      ③ 주광률-%                ④ 광도-cd


문 17. 다음 중 건축가와 작품, 사조가 바르게 연결된 것으로 옳은 것은? 

      

ㄱ.J. M. Olbrich-슈타이너 주택-비엔나 분리주의

ㄴ.William Morris-붉은 집-영국 수공예 운동

ㄷ.J. G. Soufflot-판테온-신고전주의

ㄹ.Peter Behrens-파구스 제화공장-독일 표현주의

ㅁ.Hector Guimard-파리 지하철역 입구-아르누보

      ① ㄱ , ㅁ                    ② ㄷ , ㄹ

      ③ ㄱ , ㄴ , ㄹ               ④ ㄴ , ㄷ , ㅁ

 

문 18. 미술관의 특수전시기법 중 '하나의 사실' 또는 '주제의 시간상황을 고정'시켜 연출하는 것으로 현장에 임한 듯한 느낌을 가지고 관찰할 수 있는 것으로 옳은 것은?

      ① 디오라마 전시기법

      ② 파노라마 전시기법

      ③ 아일랜드 전시기법

      ④ 하모니카 전시기법


문 19. 주거시설 계획시 단지의 과밀화를 방지하기 위한 법적인 규제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도로 사선 제한

      ② 건폐율과 용적률 제한

      ③ 일조권에 의한 높이 제한

      ④ 주차 대수 제한


문 20. 먼셀(Munsell)의 색채표기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색상은 색상환에 의해 표기되며, 기준색인 적(R), 청(B), 황(Y), 녹(G), 자(P)색 등 5종의 주요색과 중간색으로 구성된다.

      ② 명도는 완전흑(0)에서 완전백(10)까지의 스케일에 따른 반사율 및 외관에 대한 명암의 주관적 척도이다.

      ③ 채도의 단계는 흑색과 가장 강한 색상 사이의 색상변화를 측정하는 단위이다.

      ④ 5R-4/10은 빨강의 색상5, 명도4, 채도10을 나타낸다.

728x90
728x90

문  1. 건물 내의 급수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압력탱크방식은 급수압이 일정한 것이 장점이다. 

      ② 탱크가 없는 부스터방식은 수도 본관으로부터 물을 받아 물받이탱크에 저수한 후 급수펌프만으로 건물 내에 급수하는 방식이다.

      ③ 고가탱크방식은 기계실의 면적이 가장 많이 필요한 방식이다.

      ④ 수도직결방식은 수질오염의 가능성이 큰 것이 단점이다.



문  2. 19세기 후반 전원도시(Garden City)이론을 제창함으로써 이후 도시계획 및 단지계획에 큰 영향을 준 사람은?

      ① 월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

      ② 안토니오 산텔리아(Antonio Sant'Elia)

      ③ 토니 가르니에(Tony Garnier)

      ④ 에베네저 하워드(Ebenezer Howard)


문  3. 유체의 흐름에 의한 마찰손실이 적어 물과 증기배관에 주로 사용되며 특히 증기배관의 수평관에서 드레인이 고이는 것을 막기에 적합한 밸브는?

      ① 글로브 밸브(globe valve)

      ② 슬루스 밸브(sluice valve)

      ③ 체크 밸브(check valve)

      ④ 앵글 밸브(angle valve)


문  4. 학교건축에서 학급 운영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반교실․특별교실형(UV형)과 교과교실형(V형)의 중간형(E형)은 일반교실․특별교실형에 비해 일반교실의 이용률이 낮아진다.

      ② 교과교실형(V형)은 학생의 이동이 잦아 소지품을 보관할 장소가 필요한 방식이다.

      ③ 달톤형(D형)은 교실의 규모 및 규모별 교실의 수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④ 종합교실형(U형)의 교실 수는 학급 수와 일치하며, 초등학교 저학년에 적당한 방식이다.


문  5. 공연장의 건축계획에 있어서 옳지 않은 것은 ?

      ① 플로어트랩(floor trap)은 일반적으로 무대에 여러 개 설치되는데, 그 중 무대 뒤쪽에 있는 것이 이용빈도가 높다.

      ② 그리드아이언(grid iron)은 무대천장 밑의 제일 낮은 보 밑에서 0.5m 높이에 바닥을 위치하면 된다.

      ③ 무대의 폭은 프로시니엄(proscenium) 아치 폭의 2배, 깊이는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깊이를 확보해야 한다.

      ④ 사이크로라마는 무대배경용 벽을 말하며 쿠펠 호리존트(kuppel horizont)라고도 한다.


문  6. 열(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열은 에너지의 일종으로 물체의 온도를 올리거나 내리게 하는 효과가 있다.

      ② 현열(sensible heat)은 온도계의 눈금으로 나타나지만 잠열(latent heat)은 나타나지 않는다.

      ③ 물 1kg을 14.5°C에서 15.5°C로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을 1kcal라 한다.

      ④ 온도를 상승시키는 열을 잠열(latent heat)이라 하고 동일 온도에서 물체의 상태만을 변화시키는 열을 현열(sensible heat)이라 한다.


문  7. 서양건축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잔틴건축의 특징요소로는 펜덴티브(pendentive), 볼트(vault), 부주두(dosseret) 등을 들 수 있다.

      ② 로마네스크 교회 건축의 공통적인 특징은 리브(rib)의 활용에 의한 경간(bay)의 가변성이다.

      ③ 로마의 성 파울(St. Paolo) 교회당은 초기 기독교 시대의 바실리카식 교회당이다.

      ④ 플라잉 버트레스(flying buttress)는 고딕건축의 특징에 해당하는 요소이다.


문  8. 클린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정류방식은 기류의 난류로 인하여 오염입자가 실내에 순환할 우려가 있다.

      ② 클린룸 청정도의 기준은 1ft3의 공기 중에 0.5μm 크기의 입자수로 결정된다.

      ③ BCR(Biological Clean Room)은 식품공장, 약품공장, 수술실 등의 청정을 목적으로 한다.

      ④ 수직정류방식은 설치비가 가장 저렴하다.


문  9. 공장의 지붕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솟음지붕은 채광 및 환기에 불리하다.

      ② 뾰족지붕은 직사광선을 전혀 허용하지 않는다.

      ③ 톱날지붕은 북향으로 난 채광창에 의해 실내조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④ 샤렌지붕은 기둥이 많이 소요된다.


문 10. 두 개의 색 자극을 동시에 주지 않고 시간차를 두어 제시함으로써 일어나는 현상으로 눈이 가지고 있는 잔상이라는 특수한 현상 때문에 생기는 색의 대비는?

      ① 보색대비

      ② 채도대비

      ③ 계시대비

      ④ 색의동화


문 11. 다음 중 고딕양식의 성당이 아닌 것은?

      ① 샤르트르(Chartres) 성당

      ② 쾰른(Köln) 성당

      ③ 성 암브로죠(St. Ambrogio) 성당

      ④ 밀라노(Milano) 대성당


문 12. 오피스 랜드스케이핑(office landscap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공간낭비가 많고 작업공간 레이아웃에 제약이 많다.

      ② 의사전달, 작업 흐름의 연결이 용이하다.

      ③ 공사비가 많이 들며, 일반적으로 위계적인 조직구조에 적합하다.

      ④ 프라이버시가 완벽하게 보장된다.


문 13. 주차형식 중 자동차 1대당 점유면적이 큰 순서대로 배열된 것은?

      ① 평행주차 > 45°주차 > 60°주차 > 직각주차

      ② 직각주차 > 60°주차 > 평행주차 > 45°주차

      ③ 평행주차 > 직각주차 > 60°주차 > 45°주차

      ④ 평행주차 > 45°주차 > 직각주차 > 60°주차


문 14. Mace(1970)가 제안한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4원리가 아닌 것은?

      ① 접근성(Accessible)

      ② 지원성(Supportive)

      ③ 융통성(Adaptable)

      ④ 단순성(Simple)


문 15. 실내상시보조인공조명(PSALI) 구역의 인공조명 조도수준을 계산하는 경험식은?

      ① E=200DF[lux]

      ② E=300DF[lux] 

      ③ E=400DF[lux] 

      ④ E=500DF[lux] 


문 16. 지구단위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지구단위계획의 목표는 해당지역을 체계적, 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립하는 도시관리 계획이다.

      ② 지구단위계획은 도시차원에서의 2차원적 접근을 위주로 한다.

      ③ 지구단위계획은 ‘도시설계’와 ‘상세계획’이라는 두가지 유사제도를 통합하여 도입된 제도이다.

      ④ 지구단위계획구역 안에서 필요한 경우에는 특정 부분을 별도의 구역으로 지정하여 계획의 상세 정도를 따로 정할 수 있다.


문 17. 노인을 위한 시설의 계획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휠체어 사용 노인을 위해서는 모든 공간의 폭이 최소 2미터가 되어야 한다.

      ② 노인을 위한 시설은 무장애(barrier-free) 디자인의 개념을 적용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계단보다는 경사로를 설치하여 수직동선을 해결하는 것이 좋다.

      ④ 노인은 황변화 현상 등으로 인해 색채 변별력이 떨어지므로 변별력을 높일 수 있는 실내 배색 계획이 필요하다.


문 18. 장애인을 고려한 대변기의 설치에 관한 국내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건물신축의 경우 대변기의 칸막이는 유효바닥면적이 폭 1.4미터 이상, 깊이 1.8미터 이상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② 출입문의 통과유효 폭은 0.8미터 이상으로 해야 한다.

      ③ 대변기 옆 수평 손잡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8미터 이상 0.9미터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④ 출입문에는 화장실 사용여부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는 설비 및 잠금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문 19. 이중외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연환기를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기계적인 환기로 인한 에너지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② 외부환경과 실내환경 사이에 완충공간인 중공층(cavity)으로 인해 새로운 열획득 및 열손실 증가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③ 이중외피를 계획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자연환기를 도입하여 건물의 냉방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④ Second-skin Facade는 태양열의 최적이용, 자연채광, 외부의 환경조건 변화에 순응하도록 디자인된 이중외피 구조이다.


문 20. 한국 고건축의 목조건축형식 중 공포(栱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안동 봉정사 극락전은 다포(多包)계 양식의 대표적인 건물이다.

      ② 주심포(柱心包)계 양식은 고려시대 중기부터 존재하였으나, 다포(多包)계 양식은 조선시대 초기가 되어서야 나타난 양식이다.

      ③ 다포(多包)계 양식은 창방과 주상단(柱上端)에 평방을 얹어놓고 그 위에 주심포작과 주간포작을 배치한 것이다.

      ④ 익공(翼工)계 양식은 장식적인 경향이 강하여 경복궁 근정전 등 매우 중요한 건물에 전반적으로 사용되었다.

728x90
728x90

문  1. 건축설계 과정에서 거주 후 평가(P.O.E)의 필요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유사 건물의 건축계획에 좋은 지침을 제공한다.

      ② 건축물의 계획에서 사용자 요구에 부응하는 지침의 결정 자료로 이용한다.

      ③ 건축법규에 대한 적합성을 파악한다.

      ④ 해당 건축물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를 파악한다.



문  2. 기본설계 단계에서 건물의 평면도나 입면도에 주로 사용하는 척도는?

      ① 1/1~1/10

      ② 1/5~1/30

      ③ 1/50~1/300

      ④ 1/500~1/1200


문  3. 다음 중 한국 전통건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열환경의 측면에서 불리한 측면도 가지고 있다.

      ② 주택의 배치계획은 대칭적 형상의 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③ 구조 요소가 드러나 건축의 아름다움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④ 온돌과 마루가 하나의 건물에서 결합되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문  4. 건물의 결로(結露)에 대한 설명 중 가장 부적합한 것은?

      ① 다층구성재(多層構成材)의 외측(저온측)에 방습층이 있을 때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② 온도차에 의해 벽표면 온도가 실내공기의 노점온도보다 낮게 되면 결로가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은 벽체내부에서도 생긴다.

      ③ 구조체의 온도변화는 결로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데, 중량구조는 경량구조보다 열적 반응이 늦다.

      ④ 내부결로가 발생되면 경량콘크리트처럼 내부에서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생겨 철골부재와 같은 구조체에 손상을 준다.


문  5. 중수(中水)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연수와 경수의 중간 수(水)를 칭하는 것이다.

      ② 중수원(中水源)으로는 주방배수, 청소용수, 빗물, 우물물, 하천수 등이 이용되고 있다.

      ③ 중수도 설치 대상은 「수도법 시행령」에 명시되어 있다.

      ④ 중수도 설치가 보편화되면 댐 및 수도건설 비용이 절감된다.


문  6. 다음 글에서 설명하는 서양의 근대 건축 운동은?

      

19세기 말 벨기에에서 앙리 반 데 벨데(Velde, Henry van de)의 지도하에 구조와 형태가 건축의 참된 기반이라는 새로운 방향이 조형 예술가들 사이에서 주장되었다.

예술에 있어서의 전통과 역사적 절충주의를 거부하고, 예술가 개인의 창의성에 의한 예술 양식을 추구하였으며, 철과 유리의 미학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 운동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빅터 오르타의 타셀 주택, 앙리 반 데 벨데의 독일 공작 연맹 전시회장, 안토니오 가우디의 카사밀라 공동주택 등을 들 수 있다.

      ① 예술과 수공예 운동(Arts and Crafts Movement)

      ② 빈 제세션 운동(Wien Secession)

      ③ 아르누보 건축(Art Nouveau)

      ④ 바우하우스(Bauhaus)


문  7. 레드번 주택 단지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동차 시대에 맞는 새로운 개념의 주거단지로 1920년대 말에 조성되었다.

      ② 주택들은 쿨데삭(cul-de-sac) 도로 방식에 의해 배치되었다.

      ③ 주택과 가구(街區) 내의 시설이나 학교, 공원 등은 보행자도로 의해 연결되었다.

      ④ 클레런스 페리(Clarence A. Perry)와 헨리 라이트(Henry Wright)의 설계로 이루어졌다.


문  8. 부엌 계획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으로만 묶은 것은?

      

ㄱ.작업대의 배열 순서는 준비대―개수대―가열대―조리대―배선대이다.

ㄴ.작업대의 높이는 81~85cm가 적당하며, 기본이 되 높이는 ‘팔꿈치 높이’이다.

ㄷ.크기는 일반적으로 주택 연면적의 8~10%정도 확보하는 것이 좋다.

ㄹ.일자형 작업대의 배치는 소규모의 부엌 형태에 알맞은 형식으로 동선의 혼란이 없고 한눈에 작업을 알아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ㅁ.ㄷ자형 작업대의 배치는 세 벽면을 이용하여 작업대를 배치한 형태로서 매우 효율적인 형태로 작업대의 사이는 60~90cm 전후가 적당하다.

      ① ㄴ, ㄷ, ㄹ                 

      ② ㄱ, ㄴ, ㄹ

      ③ ㄷ, ㄹ, ㅁ                 

      ④ ㄴ, ㄷ, ㅁ


문  9. 음환경에 대한 설명 중 가장 부적합한 것은?

      ① 간벽의 차음성능은 투과율과 투과손실 등에 의해 표시된다.

      ② 흡음률 값은 0~1.0 사이에서 변화하는데, 흡음률이 0이 되는 것은 모든 개구부를 완전히 열어 놓았을 때의 경우로서, 이를 오픈 윈도(open window) 단위라고 한다.

      ③ 측벽은 객석 후면의 음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확성장치를 하지 않은 오디토리움에 있어서는 유용하게 이용된다.

      ④ 다목적용 오디토리움에서는 강연용일 경우와 음악용일 경우에 적정한 잔향시간이 서로 다른데, 강연을 위해서는 짧은 잔향시간이 필요하다.


문 10. 팬 코일 유닛(fan coil unit) 공조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각 유닛마다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 실 조절에 적합하다.

      ② 전 공기식(all air system)에 비해 덕트 면적이 작다.

      ③ 장래의 부하 증가에 대하여 팬 코일 유닛의 증설만으로 용이하게 계획할 수 있다.

      ④ 일반적으로 외기 공급을 위한 별도의 설비를 병용할 필요가 없다.


문 11. 박물관 건축의 현대적 경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과거에 비해 기획전시 비중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② 지역 주민의 참여와 활동을 유도하는 대중화 경향이 있다.

      ③ 다양한 장르를 전시하기 위하여 전시공간이 가변화되는 경향이 있다.

      ④ 권위적 상징 표현에서 인간적이고 친근감을 주는 조형적 표현으로 변화하고 있다.


문 12. 일사조절 방법 중 고정 돌출차양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여름에 햇빛을 차단하고 겨울에 가능한 한 많은 빛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계획한다.

      ② 남측창에는 수평차양을 설치한다.

      ③ 동서측창에는 수직차양을 설치한다.

      ④ 주광에 의한 조명효과를 높이기 위해 돌출차양의 밑면은 어두운 색으로 한다.


문 13. 건축계획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도서관 건축은 모듈시스템(modular system)의 도입이 필요한 시설물이다.

      ② 계획 과정에서 의사 결정은 분석―종합―평가―최적화―실행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③ 건축의 모듈은 자재의 낭비를 막고 일정한 건축의 질을 확보할 수 있다.

      ④ 건축계획 결정기법 중의 하나인 수리계획법 중 대기행렬 모델은 공장, 창고, 사무소 등의 배치 계획 시 사용된다.


문 14. 사무소건축의 코어(core)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코어는 수직교통시설과 설비시설이 집중된 공용공간인 동시에 내력벽 구조체의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② 코어 내의 각 공간에는 계단실, 엘리베이터 통로 및 홀, 로비, 전기실 및 기계실, 복도, 공조실, 화장실, 굴뚝 등이 포함된다.

      ③ 엘리베이터와 화장실은 가급적 분리시킨다.

      ④ 코어 내의 각 공간은 각 층마다 조금씩 다른 위치에 있도록한다.


문 15. 공동주택 단지계획에서 보행중심 계획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차분리를 통해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② 생활 편의 시설 및 놀이터나 공원 등의 커뮤니티 시설은 보행자 도로에 인접하게 계획한다.

      ③ 피로티, 스트리트 퍼니처, 도로의 텍스처 등을 배려한다.

      ④ 다양한 레벨을 두어 역동적으로 계획한다.


문 16. 학교에서 학생들이 교과시간표에 따라 각 교과교실로 이동하여 수업을 받기 때문에 학교생활의 안정성이 결여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은?

      ① 상담실                     ② 홈룸

      ③ 재량활동교실               ④ 서클실


문 17. 병원건축 계획에 관한 기술로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병원의 수술실은 병동 및 응급부에서 환자 수송이 용이한 곳에 둔다.

      ② 병원 수술실의 바닥재료는 전기 도체성 타일을 사용한다.

      ③ 병원의 외래 규모 산정 시 환자수는 보통 병상수의 2~3배 정도로 본다.

      ④ X선부는 방사선 관계로 지하에 배치한다.


문 18. 도서관 계획에서 캐럴(carrel)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도서관 자료를 정리하여 보존하는 곳이다.

      ② 그룹 독서나 몇몇이 모여 연구 작업을 하기 위한 공간이다.

      ③ 개인 전용 연구를 위한 독립적인 개실이다.

      ④ 시청각 기자재를 보관하는 곳이다.


문 19. 공동주택 단위주거 단면 구성 방법 중 메조네트형(maisonette type)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통로 면적의 감소로 임대 면적이 증가한다.

      ② 소규모 주택에는 면적의 효율적 이용에 유리하다.

      ③ 주택 내의 공간 변화가 있다.

      ④ 다양한 입면 창출이 가능하다.


문 20. 건축음향학상 음악당 객석(auditorium) 설계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음향 계획에 있어서 발코니는 가능한 한 설치하는 것이 좋다.

      ② 장방형 실의 경우 실의 길이는 폭의 1.2~2배 이내가 바람직하다.

      ③ 객석은 실의 중심축으로부터 각각 60° 이내가 적당하다.

      ④ 객석 후방의 벽면을 흡음재로 구성하면 객석에 소리가 명료하게 들리는 데 도움이 된다. 

728x90
728x90

문  1.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가 바르지 않은 것은?

      ① 부모님을 한 달에 두 번꼴로 찾아뵈려고 노력한다.

      ② 서류를 정리할 때 이름을 가나다순으로 정리하면 편리하다.

      ③ 이미 그 일에 대해서는 온 국민이 다 알고 있다.

      ④ 어느 말을 믿어야 옳은 지 모르겠다.




문  2. 다음 글의 중심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행랑채가 퇴락하여 지탱할 수 없게끔 된 것이 세 칸이었다. 나는 마지못하여 이를 모두 수리하였다. 그런데 그중의 두 칸은 앞서 장마에 비가 샌 지가 오래되었으나, 나는 그것을 알면서도 이럴까 저럴까 망설이다가 손을 대지 못했던 것이고, 나머지 한 칸은 비를 한 번 맞고 샜던 것이라 서둘러 기와를 갈았던 것이다. 이번에 수리하려고 본즉 비가 샌 지 오래된 것은 그 서까래, 추녀, 기둥, 들보가 모두 썩어서 못 쓰게 되었던 까닭으로 수리비가 엄청나게 들었고, 한 번밖에 비를 맞지 않았던 한 칸의 재목들은 완전하여 다시 쓸 수 있었던 까닭으로 그 비용이 많이 들지 않았다.

  나는 이에 느낀 것이 있었다. 사람의 몫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라는 사실을. 잘못을 알고서도 바로 고치지 않으면 곧 그 자신이 나쁘게 되는 것이 마치 나무가 썩어서 못 쓰게 되는 것과 같으며, 잘못을 알고 고치기를 꺼리지 않으면 해(害)를 받지 않고 다시 착한 사람이 될 수 있으니, 저 집의 재목처럼 말끔하게 다시 쓸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나라의 정치도 이와 같다. 백성을 좀먹는 무리들을 내버려두었다가는 백성들이 도탄에 빠지고 나라가 위태롭게 된다. 그런 연후에 급히 바로잡으려 하면 이미 썩어 버린 재목처럼 때는 늦은 것이다. 어찌 삼가지 않겠는가.

-이규보,

[이옥설(理屋說)]-

      ① 모든 일에 기초를 튼튼히 해야 한다.

      ② 청렴한 인재 선발을 통해 정치를 개혁해야 한다.

      ③ 잘못을 알게 되면 바로 고쳐 나가는 자세가 중요하다.

      ④ 훌륭한 위정자가 되기 위해서는 매사 삼가는 태도를 지녀야 한다.


문  3. 다음에서 알 수 있는 언어 기호의 특성으로 적절한 것은?

      

○언어는 문장, 단어, 형태소, 음운으로 쪼개어 나눌 수 있다. 특히 한정된 음운을 결합하여서 수많은 형태소, 단어를 만들고 무한한 문장을 만들 수 있다.

○언어는 외부 세계를 반영할 때 있는 그대로 반영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세계를 불연속적인 것으로 끊어서 표현한다. 실제로 무지개 색깔 사이의 경계를 찾아볼 수 없는데도 우리는 무지개 색깔이 일곱 가지라고 말한다.

      ① 추상성                     ② 자의성

      ③ 분절성                     ④ 역사성


문  4. 밑줄 친 말을 잘못 고친 것은?

      ① 그는 굉장한 사업 수단으로 재산을 빠른 속도로 늘렸다.늘였다.

      ② 좀 전에 제시한 것으로 의견 표명을 가름하겠습니다.→갈음

      ③ 이 사건은 의협과 용기로서 대처해야 한다.→로써

      ④ 나에 대한 너의 판단은 달랐어.→틀렸어.

문  5. 괄호 안에 들어갈 고사 성어로 적절한 것은?

      

좀 과장하자면, 그 집의 겉과 속은 (    )라는 말이 떠오를 정도로 달랐다.

      ① 阿鼻叫喚                  ② 雲泥之差

      ③ 怒氣登天                  ④ 百難之中


문  6. 다음 글의 논지 전개 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언젠가부터 우리 바다 속에 해파리나 불가사리와 같이 특정한 종들만이 크게 번창하고 있다는 우려의 말이 들린다. 한마디로 다양성이 크게 줄었다는 이야기다. 척박한 환경에서는 몇몇 특별한 종들만이 득세한다는 점에서 자연 생태계와 우리 사회는 닮은 것 같다. 어떤 특정 집단이나 개인들에게 앞으로 어려워질 경제 상황은 새로운 기회가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는 사회 전체로 볼 때 그다지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왜냐하면 자원과 에너지 측면에서 보더라도 이들 몇몇 집단들만 존재하는 세계에서는 이들이 쓰다 남은 물자와 이용하지 못한 에너지는 고스란히 버려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효율성이 극히 낮기 때문이다.

  다양성 확보는 사회 집단의 생존과도 무관하지 않다. 조류 독감이 발생할 때마다 해당 양계장은 물론 그 주변 양계장의 닭까지 모조리 폐사시켜야 하는 참혹한 현실을 본다. 단 한 마리 닭이 걸려도 그렇게 많은 닭들을 죽여야 하는 이유는 인공적인 교배로 인해 이들 모두가 똑같은 유전자를 가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양한 유전 형질을 확보하는 길만이 재앙의 확산을 막고 피해를 줄이는 길이다.

  이처럼 다양성의 확보는 자원의 효율적 사용과 사회 안정에 중요하지만 많은 비용이 들기도 한다. 예를 들어 출산 휴가를 주고, 노약자를 배려하고, 장애인에게 보조 공학 기기와 접근성을 제공하는 것을 비롯해 다문화 가정,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행정 제도 개선 등은 결코 공짜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성 확보가 중요한 이유는 우리가 미처 깨닫고 있지 못하는 넓은 이해와 사랑에 대한 기회를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제공하기 때문이다.

      ① 다양성 확보의 중요성에 대해 관점이 다른 두 주장을 대비하고 있다.

      ② 다양성 확보의 중요성에 대해 유추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③ 다양성이 사라진 사회를 여러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④ 다양성이 사라진 사회의 사례들을 나열하고 있다.


문  7. 다음은 기행문의 일부이다. 이 글을 통해 알 수 없는 내용은?

      

  인천국제공항 광장에 걸린, ‘한민족의 뿌리를 찾자! 대한 고등학교 연수단’이라고 쓴 현수막을 보자 내 가슴은 마구 뛰었다.

  난생 처음 떠나는 해외여행, 8월 15일 오후 3시 15분 비행기에 오르는 나는 한여름의 무더위도 잊고 있었다. 비행기가 이륙하자, 거대한 공항 청사는 곧 성냥갑처럼 작아졌고, 푸른 바다와 들판은 빙빙 돌아가는 듯했다. 비행기에서 내려다본 구름은 정말 아름다웠다. 뭉게뭉게 떠다니는 하얀 구름 밭은 꼭 동화 속에서나 나옴직한 신비의 나라, 바로 그것이었다.

  ‘나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을까, 꿈속을 헤매는 영원한 방랑자가 된 걸까?’

      ① 여행의 동기와 목적        ② 출발할 때의 감흥

      ③ 출발할 때의 날씨와 시간   ④ 여행의 노정과 일정

문  8. 유의어의 종류가 다음과 같은 것은?

      

옥수수-강냉이

      ① 친구-벗                 ② 보조개-볼우물

      ③ 매니저-관리인           ④ 소금-염화나트륨


문  9. 가장 자연스러운 표현은?

      ① 교장 선생님의 말씀이 계시겠습니다.

      ② 모두 흥에 겨워 춤과 노래를 부르고 있다.

      ③ 축배를 터뜨리며 함께 우승의 기쁨을 나누었다.

      ④ 독서는 삶의 방편인 동시에 평생의 반려자이기도 하다.


문 10. 밑줄 친 부분이 표준 발음법에 맞는 것은?

      ① 이 책을 좀 읽게[익께].

      ② 이 밭을[바츨] 다 갈아야 돼.

      ③ 협의[혀비]할 사항이 아직도 남아 있습니까?

      ④ 하늘은 맑지만[말찌만] 내 마음은 안 그래요.


문 11. 다음 글의 내용에 어울리는 고사 성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최근 여러 기업들이 상위 5% 고객에게만 고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케팅을 벌여 소비자뿐만 아니라 전문가들에게서도 우려의 소리를 듣고 있다. 실제로 모 기업은 지난해 초 ‘VIP 회원’보다 상위 고객을 노린 ‘VVIP 회원’을 만들면서 △매년 동남아․중국 7개 지역 왕복 무료 항공권 △9개 호텔 무료 숙박 △해외 유명 골프장 그린피 무료 등을 서비스로 내세웠다. 하지만 최근에 이 기업과 제휴를 맺고 있는 회사들이 비용 분담에 압박을 느끼면서 서비스 중단을 차례로 통보했다. 또 자사 분담으로 제공하고 있던 호텔 숙박권 역시 비용 축소를 위해 3월부터 서비스를 없앨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기존 회원 시장이 포화 상태가 되면서 업계가 저마다 지난해 VIP 마케팅을 내세웠지만 높은 연회비로 인해 판매 실적은 저조한 반면 무료 공연을 위한 티켓 구매, 항공권 구입 등에 소요되는 사업비 부담은 너무 크다 보니 오히려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① 견강부회(牽强附會)         ② 비육지탄(髀肉之嘆)

      ③ 자승자박(自繩自縛)         ④ 화이부동(和而不同)


문 12. 다음은 어느 부처 공문의 일부이다. 밑줄 친 부분을 잘못 고친 것은?

      

제목:위탁 교육 운영 계약 체결 의뢰

우리부 직원들의 정보화 및 사무자동화 능력 향상을 통해 업무 효율화에 기여하고져 ‘2009년 하반기 부내 정보화 교육’을 추진할 계획인 바, 이 교육의 위탁 운영을 위한 계약 체결을 아래 밝힌바와 같이 의뢰하오니 조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① 우리부→우리 부           ② 기여하고져→기여하고저

      ③ 계획인 바→계획인바      ④ 밝힌바와→밝힌 바와


문 13. 다음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것은?

      

  합성어는 형성 방식에 있어서 앞의 어근과 뒤의 어근이 의미상 결합 방식이 어떠하냐에 따라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앞뒤’는 두 어근의 결합 방식이 대등하므로 대등 합성어, ‘돌다리’는 앞 어근이 뒤 어근에 의미상 종속되어 있으므로 종속 합성어, ‘춘추’는 두 어근과는 완전히 다른 제삼의 의미가 도출되므로 융합 합성어라 할 수 있다.

      ① 손발                       ② 논밭 

      ③ 책가방                     ④ 연세


문 14. 다음 글의 전개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ㄱ.도구의 발달은 기술의 발전으로 이어져 인간은 자연 환경의 제약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ㄴ.그리하여 인간은 자연이 주는 혜택과 고난 속에서 자신의 의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연을 이용하고 극복하게 되었다.

ㄷ.인류는 지혜가 발달하면서 점차 자연의 원리를 깨닫고 새로운 도구를 만들 줄 알게 되었다.

ㄹ.필리핀의 고산 지대에서 농지가 부족한 자연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계단처럼 논을 만들어 벼농사를 지은 것이 그 좋은 예이다.

      ① ㄱ-ㄷ-ㄴ-ㄹ         ② ㄱ-ㄹ-ㄷ-ㄴ

      ③ ㄷ-ㄱ-ㄴ-ㄹ         ④ ㄷ-ㄴ-ㄱ-ㄹ


문 15. 다음 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사회자:이번 시간에는 ‘유명인의 사생활 보장이 국민의 알권리에 우선되어야 하는가?’를 논제로 하여 찬반 양측 토론자 각 두 분씩과 배심원들을 모시고 토론해 보겠습니다.

사회자:먼저 찬성 측 첫 번째 토론자가 자신들의 입장과 그 이유에 대하여 입론해 주십시오.

찬성 측 토론자 1:저희 측에서는 국민의 알권리보다 유명인의 사생활 보호가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유명인’은 말뜻 그대로 사회적으로 널리 알려진 사람을 가리킵니다. 또 ‘사생활’은 개인의 사적인 생활 영역과 그와 관련된 개인적인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알권리’는 국민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 정보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여기서 ‘사생활’은 ‘개인의 사적인 생활 영역’에 관계되므로, ‘알권리’의 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알권리’란 공공의 문제에 적용되는 개념 아닙니까? 유명인의 사생활은 공적 활동이 아니므로 알권리의 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또한 사생활을 보장받을 권리는 한 인간으로서 부여받은 가장 기본적인 권리입니다. 사생활을 보장받을 최소한의 인권은 보장되어야 합니다.

사회자:찬성 측의 입론을 잘 들었습니다. 이어서 반대 측에서 준비해 온 입론을 듣겠습니다.

반대 측 토론자 1:저희는 유명인의 사생활보다 국민의 알권리가 우선이라고 봅니다. 여기서 ‘유명인’은 그 지명도를 바탕으로 사회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이고, ‘사생활’과 ‘알권리’는 찬성 측의 개념과 같습니다. 우리는 유명인이 유명하다는 것 자체보다도 사회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유명 정치인의 경우, 그가 사적으로 어떤 말을 하고 행동을 하는지가 정치 활동의 형태로 공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유명 연예인 또한 그의 행동 하나하나가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까? 그가 감추고 싶은 비밀이라도 공익을 위해 필요하다면 국민들이 알아야 합니다.

      ① 사회자가 토론자들의 발언 순서를 통제하고 있다.

      ② 사회자가 논제에 대한 자신의 찬반 여부를 표명하고 있다.

      ③ 찬성 측과 반대 측 모두 논제에 대한 상대방의 입장을 수용하고 있다.

      ④ 찬성 측은 입론 단계에서 논제와 관련된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문 16. 밑줄 친 단어가 맞춤법에 맞는 것은?

      ① 어머니는 나의 간절한 바람을 들어주지 않았다.

      ② 나라 안밖에서 피난민을 위한 성금을 모금하였다.

      ③ 철수와 나는 한시도 떨어질 수 없는 막연한 친구였다. 

      ④ 매점 앞 계시판에는 학생들이 원하는 과자 이름이 가득 적혀 있다.


문 17. 다음 글의 내용에 부합하지 않은 것은?

      

  오늘날 지구상에는 193종의 원숭이와 유인원이 살고 있다. 그 가운데 192종은 온몸이 털로 덮여 있고, 단 한 가지 별종이 있으니, 이른바 ‘호모 사피엔스’라고 자처하는 털 없는 원숭이가 그것이다. 지구상에서 대성공을 거둔 이 별종은 보다 고상한 욕구를 충족하느라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으나, 엄연히 존재하는 기본적 욕구를 애써 무시하려고 하는 데에도 똑같이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그는 모든 영장류들 가운데 가장 큰 두뇌를 가졌다고 자랑하지만, 두뇌뿐 아니라 성기도 가장 크다는 사실은 애써 외면하면서 이 영광을 고릴라에게 떠넘기려고 한다. 그는 무척 말이 많고 탐구적이며 번식력이 왕성한 원숭이다. 나는 동물학자이고 털 없는 원숭이는 동물이다. 따라서 털 없는 원숭이는 내 연구 대상으로서 적격이다. ‘호모 사피엔스’는 아주 박식해졌지만 그래도 여전히 원숭이이고, 숭고한 본능을 새로 얻었지만 옛날부터 갖고 있던 세속적 본능도 여전히 간직하고 있다. 이러한 오래된 충동은 수백만 년 동안 그와 함께해 왔고, 새로운 충동은 기껏해야 수천 년 전에 획득했을 뿐이다. 수백만 년 동안 진화를 거듭하면서 축적된 유산을 단번에 벗어던질 가망은 전혀 없다. 이 사실을 회피하지 말고 직면한다면, ‘호모 사피엔스’는 훨씬 느긋해지고 좀더 많은 것을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동물학자가 이바지할 수 있는 영역이다.

      ① 인간에 대해서도 동물학적 관점에서 탐구할 필요가 있다.

      ② 인간은 자신이 지닌 동물적 본능을 무시하거나 외면하려는 경향이 있다.

      ③ 인간의 박식과 숭고한 본능은 수백만 년 전에 획득했다.

      ④ 인간이 오랜 옛날부터 갖고 있던 동물적 본능은 오늘날에도 남아 있다.


문 18. 괄호 안에 들어갈 문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힐링(Healing)은 사회적 압박과 스트레스 등으로 손상된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방법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우리보다 먼저 힐링이 정착된 서구에서는 질병 치유의 대체 요법 또는 영적․심리적 치료 요법 등을 지칭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힐링과 관련된 갖가지 상품이 유행하고 있다. 간단한 인터넷 검색을 통해 수천 가지의 상품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다. 종교적 명상, 자연 요법, 운동 요법 등 다양한 형태의 힐링 상품이 존재한다. 심지어 고가의 힐링 여행이나 힐링 주택 등의 상품들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                ) 우선 명상이나 기도 등을 통해 내면에 눈뜨고, 필라테스나 요가를 통해 육체적 건강을 회복하여 자신감을 얻는 것부터 출발할 수 있다.

      ① 힐링이 먼저 정착된 서구의 힐링 상품들을 참고해야 할 것이다.

      ② 많은 돈을 들이지 않고서도 쉽게 할 수 있는 일부터 찾는 것이 좋을 것이다.

      ③ 이러한 상품들의 값이 터무니없이 비싸다고 느껴지지는 않을 것이다.

      ④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법을 알아야 할 것이다.


문 19.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언제부터인가 이곳 속초 청호동은 본래의 지명보다 ‘아바이 마을’이라는 정겨운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함경도식 먹을거리로 유명해진 곳이기도 하지만 그 사람들의 삶과 문화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동네이기도 하다. 속초의 아바이 마을은 대한민국의 실향민 집단 정착촌을 대표하는 곳이다. 한국 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1․4 후퇴 당시, 함경도에서 남쪽으로 피난 왔던 사람들이 휴전과 함께 사람이 거의 살지 않던 이곳 청호동에 정착해 살기 시작했다.

  동해는 사시사철 풍부한 어종이 잡히는 고마운 곳이다. 봄 바다를 가르며 달려 도착한 곳에서 고기가 다니는 길목에 설치한 ‘어울’을 끌어올려 보니, 속초의 봄 바다가 품고 있던 가자미들이 나온다. 다른 고기는 나오다 안 나오다 하지만 이 가자미는 일 년 열두 달 꾸준히 난다. 동해를 대표하는 어종 중에 명태는 12월에서 4월, 도루묵은 10월에서 12월, 오징어는 9월에서 12월까지 주로 잡힌다. 하지만 가자미는 사철 잡히는 생선으로, 어부들 말로는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자리고기’라 한다.

  청호동에서 가자미식해를 담그는 광경은 이젠 낯선 일이 아니라 할 만큼 유명세를 탔다. 함경도 대표 음식인 가자미식해가 속초에서 유명하다는 것은 입맛이 정확하게 고향을 기억한다는 것과 상통한다. 속초에 새롭게 터전을 잡은 함경도 사람들은 고향 음식이 그리웠다. 가자미식해를 만들어 상에 올렸고, 이 밥상을 마주한 속초 사람들은 배타심이 아닌 호감으로 다가섰고, 또 판매를 권유하게 되면서 속초의 명물로 재탄생하게 된 것이다.

      ① 속초 자리고기의 유래

      ② 속초의 아바이 마을과 가자미식해

      ③ 아바이 마을의 밥상

      ④ 청호동 주민과 함경도 실향민의 화합


문 20. 다음 글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재판이란 법원이 소송 사건에 대해 원고․피고의 주장을 듣고 그에 대한 법적 판단을 내리는 소송 절차를 말한다.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조선 시대에도 재판 제도가 있었다. 당시의 재판은 크게 송사(訟事)와 옥사(獄事)로 나뉘었다. 송사는 개인 간의 생활 관계에서 발생하는 분쟁의 해결을 위해 관청에 판결을 호소하는 것을 말하며, 옥사는 강도, 살인, 반역 등의 중대 범죄를 다스리는 일로서 적발, 수색하여 처벌하는 것을 말한다.

  송사는 다시 옥송과 사송으로 나뉜다. 옥송은 상해 및 인격적 침해 등을 이유로 하여 원(元:원고), 척(隻:피고) 간에 형벌을 요구하는 송사를 말한다. 이에 반해 사송은 원, 척 간에 재화의 소유권에 대한 확인, 양도, 변상을 위한 민사 관련 송사를 말한다.

  그렇다면 당시에 이러한 송사나 옥사를 맡아 처리하는 기관은 어느 곳이었을까? 조선 시대는 입법, 사법, 행정의 권력 분립이 제도화되어 있지 않았기에 재판관과 행정관의 구별이 없었다. 즉 독립된 사법 기관이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재판은 중앙의 몇몇 기관과 지방 수령인 목사, 부사, 군수, 현령, 현감 등과 관찰사가 담당하였다.

      ① 일반적인 재판의 정의 

      ② 조선 시대 송사의 종류

      ③ 조선 시대 송사와 옥사의 차이점

      ④ 조선 시대 재판관과 행정관의 역할

728x90
728x90

문 1.우리말 표현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가 기름을 아껴 쓴다면 자원의 낭비도 막고 깨끗한 환경도 유지할 수 있다.

시민 각자가 환경 정보에 대해 접근할 수 있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해야 한다.

④학교에서는 학생들의 건강과 쾌적한 교실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문 2.밑줄 친 단어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은?

경찰의 이 미치지 않는 곳으로 도망갔다.

①그는 장사꾼의 에 놀아날 정도로 세상 물정에 어둡다.

②제삿날 을 치르고 나면 온몸이 쑤신다는 사람들이 많다.

③마감 일이 이제 코앞으로 다가와서 더 이상 을 늦출 수가 없다.

④대기업들이 온갖 사업에 을 뻗치자 중소기업들은 설 곳을 잃게 되었다.


문 3.다음 글의 전개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ㄱ.또한 실천적 측면 가운데 내적 측면으로 나타나는 것이 선(善), 외적 측면으로 나타나는 것이 정의(正義)이다.

ㄴ.인간이라면 누구나 이념과 가치를 소중히 여기기 마련이다.

ㄷ.흔히들 숭고한 이념이나 가치로 진리․선․정의를 언급하기도 한다.

ㄹ.진리는 인간 생활의 이론적 측면으로 나타나고, 선․정의는 인간 생활의 실천적 측면으로 나타난다.

①ㄴ-ㄷ-ㄹ-ㄱ

②ㄴ-ㄹ-ㄱ-ㄷ

③ㄷ-ㄴ-ㄱ-ㄹ

④ㄷ-ㄹ-ㄱ-ㄴ


문 4.다음 글에 나타난 서술 방식으로 옳은 것은?

프레임(frame)이란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형성하는 정신적 구조물이다. 프레임은 우리가 추구하는 목적, 우리가 짜는 계획, 우리가 행동하는 방식, 그리고 우리 행동의 좋고 나쁜 결과를 결정한다. 정치에서 프레임은 사회 정책과 그 정책을 수행하고자 수립하는 제도를 형성한다. 프레임을 바꾸는 것은 이 모두를 바꾸는 것이다. 그러므로 프레임을 재구성하는 것이 바로 사회적 변화이다.

프레임을 재구성한다는 것은 대중이 세상을 보는 방식을 바꾸는 것이다. 그것은 상식으로 통용되는 것을 바꾸는 것이다. 프레임은 언어로 작동되기 때문에, 새로운 프레임을 위해서는 새로운 언어가 요구된다. 다르게 생각하려면 우선 다르게 말해야 한다.

구제(relief)라는 단어의 프레임을 생각해 보자. 구제가 있는 곳에는 고통이 있고, 고통 받는 자가 있고, 그 고통을 없애 주는 구제자가, 다시 말해 영웅이 있게 마련이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이 그 영웅을 방해하려고 한다면, 그 사람들은 구제를 방해하는 악당이 된다.

①인용           ②분류

③예시           ④서사


문 5.(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집은 세우는 것이 아니라 짓는 것이라는 말이 우리에게는 더욱 익숙하다. 이 말은 ‘집은 혹은 건축은 단순히 기술적․구조적인 측면에서, 세우는 일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시를 짓고 밥을 짓듯이 어떠한 재료를 가지고 일련의 사고 과정을 통하여 뭔가 만들어내 가는 것’이란 뜻이다. 이는 우리 선조들이 건축을 가리켜 영조(營造)라 일컬었던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일본인들이 메이지 시대 때 만든 ‘건축’이라는 말의 뜻으로는 ‘우리의 삶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건축의 본질을 설명할 수 없다. 건물이 (㉠) 환경을 뜻한다면 건축은 그것을 포함하는 (㉡) 환경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①경제적(經濟的)문화적(文化的)

②물리적(物理的)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

③현실적(現實的)이상주의적(理想主義的)

④천편일률적(千篇一律的)다원론적(多元論的)


문 6.밑줄 친 것 중 보조사인 것은?

①이 물건은 시장에서 사 왔다.

②개는 늑대 비슷하게 생겼다.

③그것은 교사로서 할 일이 아니다.

④나 거칠 것 없는 바다의 사나이다.


문 7.의존 형태소이면서 실질 형태소인 것만으로 묶인 것은?

영희는 책을 집에 놓고 학교에 갔다.

①놓-, 가-

②-고, -ㅆ-

③영희, 책, 집

④-는, -을, -에


문 8.언어 예절에 맞는 것은?

①(같은 반 친구에게) 철수야, 선생님이 너 교무실로 오시래.

②(선생님과의 대화에서) 선생님, 저는 김해 김씨입니다.

(점원이 손님에게) 전부 합쳐서 6만 9천원 되시겠습니다.

(할아버지와 손자의 대화에서) 할아버지, 제가 말씀을 올리겠습니다.


문 9.밑줄 친 단어 중 어문 규정에 맞지 않는 것은?

①불 좀 쬐어야겠구나.

②선배님, 다음에 봬요.

③점점 목을 죄여 오는 느낌이야.

④될 대로 되라는 식의 사고는 좋지 않아.


문 10.다음에 제시된 단어를 사전 등재 순서에 맞게 배열한 것은?

ㄱ.갸름하다

ㄴ.개울

ㄷ.게

ㄹ.까다

ㅁ.겨울

①ㄱ-ㄴ-ㄷ-ㄹ-ㅁ

②ㄱ-ㄴ-ㄹ-ㄷ-ㅁ

③ㄴ-ㄱ-ㄷ-ㅁ-ㄹ

④ㄴ-ㄱ-ㅁ-ㄷ-ㄹ


문 11.다음 글에서 글쓴이가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만으로 묶인 것은?

언어순결주의자들은 국어의 혼탁을 걱정한다. 그들은 국어의 어휘가 외래어에 감염되어 있다고 개탄하고, 국어의 문체가 번역 문투에 감염되어 있다고 지탄한다. 나는 국어가 혼탁하다는 그들의 진단에 동의한다. 그러나 그 혼탁을 걱정스럽게 생각하지는 않는다. 우선, 국어의 혼탁이 현실적으로 불가피한 일이기 때문이다. 외딴섬에 이상향을 세우고 쇄국의 빗장을 지르지 않는 한 국어의 혼탁을 막을 길은 없다.

그러나 내가 국어의 혼탁을 걱정하지 않는 더 중요한 이유는 내가 불순함의 옹호자이기 때문이다. 불순함을 옹호한다는 것은 전체주의나 집단주의의 단색 취향, 유니폼 취향을 혐오한다는 것이고, 자기와는 영 다르게 생겨 먹은 타인에게 너그러울 수 있다는 것이다. 나는 이른바 토박이말과 한자어(중국산이든 한국산이든 일본산이든)와 유럽계 어휘(영국제이든 프랑스제이든)가 마구 섞인 혼탁한 한국어 속에서 자유를 숨 쉰다. 나는 한문 투로 휘어지고 일본 문투로 굽어지고 서양 문투로 닳은 한국어 문장 속에서 풍요와 세련을 느낀다. 순수한 토박이말과 토박이 문체로 이루어진 한국어 속에서라면 나는 질식할 것 같다. 언어순결주의, 즉 외국어의 그림자와 메아리에 대한 두려움에서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박해, 혼혈인 혐오, 북벌(北伐)․정왜(征倭)의 망상까지는 그리 먼 걸음이 아니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순화’의 충동이란 흔히 ‘죽임’의 충동이란 사실이다.

①혼탁, 불순, 감염, 섞임

②자유, 풍요, 세련, 순결

③외딴섬, 쇄국, 빗장, 북벌

④단색, 유니폼, 순화, 전체주의


문 12.밑줄 친 단어와 문맥적으로 가장 가까운 것은?

정부는 사회간접자본 지출을 통한 경기 부양 효과를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

①관찰하고

②예언하고

③간주하고

④전망하고


문 13.다음 작품이 지닌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나는 나룻배,

당신은 행인.

당신은 나를 흙발로 짓밟습니다.

나는 당신을 안고 물을 건너갑니다.

나는 당신을 안으면 깊으나 얕으나 급한 여울이나 건너갑니다.

만일 당신이 아니 오시면 나는 바람을 쐬고 눈비를 맞으며 밤에서 낮까지 당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당신은 물만 건너면 나를 돌아보지도 않고 가십니다그려.

그러나 당신이 언제든지 오실 줄만은 알아요.

나는 당신을 기다리면서 날마다 날마다 낡아갑니다.

나는 나룻배,

당신은 행인.

-한용운, ‘나룻배와 행인’-

①높임법을 활용하여 주제 의식을 강화하고 있다.

②공감각적 비유로 정서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③수미 상관의 방식으로 구조적 완결성을 높이고 있다.

④두 제재의 속성과 관계를 통해 주제를 형상화하고 있다.


문 14.다음 작품을 내재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 것은?

눈은 살아 있다.

떨어진 눈은 살아 있다.

마당 위에 떨어진 눈은 살아 있다.

기침을 하자.

젊은 시인(詩人)이여, 기침을 하자.

눈 위에 대고 기침을 하자.

눈더러 보라고 마음 놓고, 마음 놓고

기침을 하자.

눈은 살아 있다.

죽음을 잊어버린 영혼(靈魂)과 육체(肉體)를 위하여

눈은 새벽이 지나도록 살아 있다.

기침을 하자.

젊은 시인이여, 기침을 하자.

눈을 바라보며

밤새도록 고인 가슴의 가래라도

마음껏 뱉자.

-김수영, ‘눈’-

①시인의 의지적 삶이 곳곳에서 느껴져.

②‘눈’과 ‘기침하는 행위’의 상징성이 뚜렷이 부각되고 있어.

③시인은 죽음조차도 별로 두려워하지 않았던 사람인 것 같아.

4․19 혁명 이후, 강렬한 현실 인식에서 나온 작품인 것 같아.


문 15.밑줄 친 단어와 문맥상 의미가 가장 가까운 것은?

석가나 예수는 만천하의 대중을 품에 안고, 그들에게 밝은 길을 찾아 주며, 그들을 행복하고 평화스러운 곳으로 인도하겠다는 커다란 이상을 품었다. 그러기에 길지 아니한 삶을 살았음에도, 그들의 ‘그림자’는 천고에 사라지지 않는 것이다.

①형상(形象)            ②상념(想念)

③업적(業績)            ④후예(後裔)


문 16.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칠수:그렇다고 껌 값 모아 재벌 되냐? 그래 매달 오만 원씩 적금 넣고 몇 만 원씩 곗돈 붓고 아침, 점심, 저녁 라면 먹고 숙직실에서 뭉개면 너 환갑 때쯤 돈 몇 천만 원 모을 수 있을 줄 알지? 근데 그 돈으로 집 한 채 장만 못 해. 넌 틀렸어, 임마. 야! 너 전에 이 씨 알지? 서울역 앞에서 가스 환기통 해 주던 아저씨 말이야. 그 아저씨 별명이 뭔지 아냐? 소야, 소! 정말 그 아저씨 여태 돈 모으는 재미 하나로 살았다. 일만 있으면 지방으로 산꼭대기로 어디든지 밧줄 메고 찾아갔어. 그러다가 십 몇 년 만에 그럴듯한 연립하나 장만했지. 근데 그동안 너무 못 먹고 과로했는지 몸을 버렸나 봐. 하여튼 비쩍비쩍 마르고 빌빌하기에 우리가 끌고 병원에 갔다. 간경화래! 중증이더라구. 근데 그 아저씨 겨우 장만한 집 한 채 병원비로 다 날리고 다 죽네, 어쩌네, 해서 병원에서 그냥 나왔어. 눈만 안 감았지, 몸은 장작개비처럼 비쩍 말라 가지고 죽을 때만 기다리는 거야. 야! 근데 그 아저씨 지금 뭐라는 줄 아냐? 세상을 미련하게 살았대! 알긋냐? 몸 팔아서 번 돈 다 몸으로 들어가는 거야, 자식아.

-오종우, ‘칠수와 만수’ 중에서-

①칠수는 비유적인 표현을 통해 현실을 비판하고 있어.

②칠수의 대화 상대는 착실하고 검소한 사람인 것 같아.

칠수는 다른 사람의 경우를 예로 들어 상대를 설득하고 있어.

칠수는 시종일관 강한 어조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얘기하고 있어.


문 17.밑줄 친 한자 성어의 쓰임이 옳지 않은 것은?

민족을 위해 어떤 일이든 견마지로(犬馬之勞)를 다하겠어요.

조직의 발전을 위해 읍참마속(泣斬馬謖)의 심정으로 감싸 안아 줘요.

고생하다 돌아가신 어머님 생각에 풍수지탄(風樹之嘆)을 금할 수가 없어.

자존심 강한 그이지만, 모르는 것이 있을 때는 불치하문(不恥下問)할 줄 알아.


문 18.밑줄 친 단어 중 표준어인 것은?

①살다 보면 별 희안한 일이 다 생기지요.

②고향에서 온 편지를 뜯어본 그의 심정은 착찹하기 이를 데 없었다.

③이렇게 심하게 아픈 줄 알았더라면 진즉 병원에 가 볼 것을 그랬다.

그가 그처럼 흉칙스러운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는 게 믿어지지 않았다.


문 19.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한 것은?

시아버지 윤직원 영감이 처결하기를, 집안의 살림살이 전권(全權)을 마땅히 물려받아야 할 주부 고 씨는 제쳐 놓고서 한 대(代)를 껑충 건너뛰어 손주 대로 내려가게 했던 것입니다. 고 씨의 며느리 되는 박 씨 즉, 윤직원 영감의 맏손자 며느리가 시할머니의 뒤를 바로 이어서 집안의 안살림을 도맡아 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러고 보니 묻지 않아도 내가 주부로 들어앉아 며느리를 거느리고 집안 살림을 해 가는 어른이 되겠거니 했던 고 씨는 고만 개밥에 도토리가 되어 버리고, 도리어 시어머니 오 씨 대신에 며느리한테 또다시 시집살이를 하게쯤 된 셈평이었습니다.

-채만식, ‘태평천하’ 중에서-

①윤직원 영감은 실망이 컸겠군.

②시할머니는 자애로운 분인 것 같아.

③박 씨는 부유한 집안에서 시집왔겠군.

④고 씨의 현재 심경은 아주 절망적일 거야.


문 20.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극의 진행과 등장인물의 대사 및 감정 등을 관객에게 설명했던 변사가 등장한 것은 1900년대이다.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변사가 있었지만 그 역할은 미미했을뿐더러 그마저도 자막과 반주 음악이 등장하면서 점차 소멸하였다. 하지만 주로 동양권,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는 변사의 존재가 두드러졌다. 한국에서 변사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극장가가 형성된 1910년부터인데, 한국 최초의 변사는 우정식으로, 단성사를 운영하던 박승필이 내세운 인물이었다. 그 후 김덕경, 서상호, 김영환, 박응면, 성동호 등이 변사로 활약했으며 당시 영화 흥행의 성패를 좌우할 정도로 그 비중이 컸었다. 단성사, 우미관, 조선 극장 등의 극장은 대개 5명 정도의 변사를 전속으로 두었으며 2명 내지 3명이 교대로 무대에 올라 한 영화를 담당하였다. 4명 내지 8명의 변사가 한 무대에 등장하여 영화의 대사를 교환하는 일본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한 명의 변사가 영화를 설명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며, 영화가 점점 장편화되면서부터는 2명 내지 4명이 번갈아 무대에 등장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변사는 악단의 행진곡을 신호로 무대에 등장하였으며, 소위 전설(前說)을 하였는데 전설이란 활동사진을 상영하기 전에 그 개요를 앞서 설명하는 것이었다. 전설이 끝나면 활동사진을 상영하고 해설을 시작하였다. 변사는 전설과 해설 이외에도 막간극을 공연하기도 했는데 당시 영화관에는 영사기가 대체로 한 대밖에 없었기 때문에 필름을 교체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코믹한 내용을 공연하였다.

①한국과는 달리 일본에서는 변사가 막간극을 공연했다.

②한국에 극장가가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1900년경이었다.

③한국은 영화의 장편화로 무대에 서는 변사의 수가 늘어났다.

자막과 반주 음악의 등장으로 변사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