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 1.「국가회계법」상 재무제표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재정상태표

②재정운영표

③순자산변동표

④예산결산요약표


 

문 2.기본원가와 가공원가에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항목은?

①제품제조원가

②제조간접원가

③직접재료원가

④직접노무원가

 

문 3.종합원가계산에서 완성품환산량 산출시 선입선출법이나 평균법 어느 것을 적용하든지 완성품환산량의 단위당 원가가 동일한 경우는?

①기초재고가 전혀 없는 경우

②표준원가계산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③기말재고가 전혀 없는 경우

④기초재고와 기말재고의 완성도가 50%로 동일한 경우

 

문 4.다음 자료에 의한 당기순이익은?

기초자산총액 ₩30,000

기초부채총액 ₩26,000

기말자산총액 ₩35,000

기말부채총액 ₩28,000

당기 중의 유상증자액 ₩3,000

당기 중의 현금배당액 ₩1,000

당기 중의 주식배당액 ₩2,000

①₩1,000

②₩2,000

③₩3,000

④₩4,000

 

문 5.다음은 (주)한국의 신용거래 및 대금회수 자료이다. 11월에 유입된 현금은?

○11월 8일 한국상사에 상품 50,000을 외상판매하였다.

○11월10일 대금의 50%가 회수되었다.

○11월30일 대금의 20%가 회수되었다.

(단, 외상매출에 대한 신용조건은 5/10, n/30이다)

32,950

33,750

34,250

34,750

 

문 6.다음 자료에 의한 당기 재료매입액은?

매출원가 ₩1,000

직접노무비 ₩300

제조간접원가 ₩400

기초재고액기말재고액

재료₩250₩200

재공품₩200₩250

제품₩350₩300

①₩150

②₩250

③₩450

④₩650

 

문 7.다음의 개별원가계산 자료에 의한 당기총제조원가는?

직접재료원가는 ₩3,000이며 직접노동시간은 30시간이고 기계시간은 100시간이다.

○직접노무원가의 임률은 직접노동시간당 ₩12이다.

○회사는 기계시간을 기준으로 제조간접원가를 배부한다.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율이 기계시간당 ₩11이다.

①₩4,460

②₩4,530

③₩4,600

④₩4,670

 

문 8.(주)한국은 선입선출법을 이용하여 종합원가계산을 실시한다. 다음 자료에 의한 재료원가와 가공원가의 완성품환산량은? (단, 재료는 공정 개시시점에서 전량 투입되고 가공원가는 공정전체를 통해 균등하게 발생한다)

기초재공품수량 300개(완성도 30%)

당기착수량 3,500개

당기완성량 3,300개

기말재공품수량 500개(완성도 40%)

재료원가 완성품환산량(개)            가공원가 완성품환산량(개)

①3,510                                           3,300

②3,600                                           3,200

③3,800                                           3,010

④3,500                                           3,410

 

문 9.「국가회계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재정운영표의 재정운영순원가는?

프로그램총원가 ₩350,000

프로그램수익 ₩200,000

관리운영비 ₩100,000

비배분비용 ₩50,000

비배분수익 ₩20,000

비교환수익 ₩10,000

①₩150,000

②₩270,000

③₩280,000

④₩500,000

 

문 10.다음은 2011년 12월 31일 (주)한국의 자본계정에 관한 정보이다. 보통주 1주당 배당액은?

자본금내역

보통주 ₩10,000,000

우선주 A(배당률 5%, 비누적적ㆍ비참가적) ₩5,000,000

우선주 B(배당률 5%, 누적적ㆍ완전참가적) ₩5,000,000

모든 주식은 개업시 발행하였으며 발행한 모든 주식의 주당 액면금액은 ₩5,000이다.

우선주에 대한 1년분 배당이 연체되었다.

정관에 의하여 이사회는 ₩1,550,000의 현금배당을 결의하였다.

①₩400

②₩350

③₩300

④₩250

 

문 11.(주)한국의 수정전시산표상 소모품은 160,000이고, 기말 현재 남아있는 소모품이 70,000이다. 수정분개로 옳은 것은?

①(차) 소모품비 90,000 (대) 소모품 90,000

②(차) 소모품비 70,000 (대) 소모품 70,000

③(차) 소모품 90,000 (대) 소모품비 90,000

④(차) 소모품 70,000 (대) 소모품비 70,000

 

문 12.(주)한국은 2012년 1월 1일에 영업을 시작하여 2012년 12월 31일 다음과 같은 재무정보를 보고하였다. 재무제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현금 ₩500,000 자본금 ₩200,000

사무용 가구 ₩1,000,000 재고자산 ₩350,000

매출 ₩3,000,000 미지급금 ₩200,000

잡비 ₩50,000 매출원가 ₩2,000,000

매입채무 ₩600,000 감가상각비 ₩100,000

재무상태표에 보고된 총자산은 ₩1,850,000이다.

재무상태표에 보고된 총부채는 ₩800,000이다.

손익계산서에 보고된 당기순이익은 ₩800,000이다.

재무상태표에 보고된 총자본은 ₩1,050,000이다.

 

문 13.(주)한국의 2012년도 거래는 다음과 같다. 계속기록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매출원가는? (단, 개별법을 적용한다)

○1월1일 전기이월된 상품은 ₩3,000이다.

2월9일 (주)대한으로부터 상품을 현금으로 구입하였는데, 매입대금 ₩8,000에는 매입운임 ₩1,000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3월8일 기초상품을 (주)민국에 현금으로 ₩4,000에 판매하였다.

7월9일 (주)대한으로부터 구입한 상품 중 절반을 (주)민국에 외상으로 ₩5,000에 판매하였다.

①₩7,500

②₩7,000

③₩4,500

④₩4,000

 

문 14.다음은 (주)한국의 기말 회계자료 중 일부이다. 포괄손익계산서에 보고될 매출액은?

기초상품재고액 ₩240 당기상품매입액 ₩400

기말상품재고액 ₩220 당기현금매출액 ₩100

매출총이익 ₩180 기초매출채권 ₩160

매출채권회수액 ₩520

①₩500

②₩600

③₩700

④₩800

 

문 15.다음은 (주)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금융자산에 관한 자료이다. 2011년 말 금융자산평가손익이 포괄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단, 매도가능금융자산은 중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

구분

2010.5.1

취득원가

2010.12.31

공정가치

2011.12.31

공정가치

단기매매금융자산

₩1,200,000

₩1,100,000

₩1,400,000

매도가능금융자산

₩1,000,000

₩1,500,000

₩1,700,000

①₩200,000

②₩300,000

③₩500,000

④₩900,000

 

문 16.다음은 (주)한국의 비품과 관련된 내용이다. 오류수정 분개로 옳은 것은?

(주)한국은 2011년 1월 1일 비품에 대해 수선비 ₩10,000을 비용으로 회계처리 했어야 하나 이를 비품의 장부가액에 가산하여 정액법으로 상각하였다. 2011년 1월 1일 수선비 지출시 비품의 잔여 내용연수는 5년이고 잔존가치는 없다. 2013년도 재무제표 마감 전 수선비 지출에 대한 오류가 발견되었다. (단, 법인세효과는 무시하며 해당 비품의 최초 취득원가는 ₩500,000이다)

(차) 이익잉여금 ₩10,000 (대) 비품 ₩10,000

감가상각누계액 ₩6,000 감가상각비 ₩6,000

(차) 이익잉여금 ₩10,000 (대) 비품 ₩10,000

감가상각누계액₩2,000 감가상각비 ₩2,000

(차) 이익잉여금 ₩4,000 (대) 비품 ₩10,000

감가상각누계액₩6,000

(차) 이익잉여금 ₩6,000 (대) 비품 ₩10,000

감가상각누계액 ₩6,000 감가상각비 ₩2,000

 

문 17.다음은 (주)한국의 외상거래와 관련된 내용이다. 2013년도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주)한국은 2012년 4월 1일 계약금 명목으로 거래처로부터 ₩20,000을 수령하고, 2013년 2월 1일 원가 ₩50,000인 제품을 ₩80,000에 외상으로 판매하였다. 외상대금 ₩60,000은 2014년 12월 1일에 회수할 예정이다. (단, 재고자산은 계속기록법을 적용한다)

선수금의 감소

수익의 증가

비유동자산의 증가

순유동자산의 증가

 

문 18.자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무상증자는 자본총계를 증가시킨다.

②주식분할은 총발행주식수를 증가시킨다.

③주식병합으로 자본총계는 변하지 않는다.

④주식배당은 자본금을 증가시킨다.

 

문 19.다음은 (주)한국의 재고자산과 관련된 자료이다. 기말재고자산액은? (단, 평균원가소매재고법을 적용한다)

구분

매출가격기준

원가기준

기초재고

₩200,000

₩150,000

당기 매입액

₩1,000,000

₩750,000

당기 매출액

₩900,000

200,000

210,000

225,000

250,000

 

문 20.다음의 (주)민국 주식에 대한 (주)한국의 회계처리로 옳지 않은 것은?

(주)한국은 2010년 1월 15일 (주)민국의 주식을 ₩1,000,000에 취득하면서 매도가능금융자산으로 분류하였다.

(주)민국 주식의 공정가치는 2010년 12월 31일 ₩900,000이고 2011년 12월 31일 ₩1,200,000이다.

2012년 1월 10일에 (주)민국 주식을 ₩1,200,000에 처분하였다.

2010년 12월 31일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실이 ₩100,000 계상된다.

2011년 12월 31일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이 ₩200,000 계상된다.

2011년 12월 31일 매도가능금융자산의 장부가액은 ₩1,200,000이다.

④2012년 1월 10일 매도가능금융자산의 처분과 관련된 손익은 발생하지 않는다.

728x90
728x90

문 1.자산의 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역사적 원가는 자산의 보유에 따라 발생하는 손익을 무시한다.

취득시점에서 취득원가로 기록한 후 자산이나 부채의 기간경과에 따라 조정하는 상각후원가는 현행원가의 범주에 속한다.

순실현가능가치는 당해 자산이 현금 또는 현금등가액으로 전환될 때 수취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에서 이러한 전환에 직접 소요될 비용을 차감한 금액이다.

기업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측정기준은 역사적 원가이며 이러한 역사적 원가는 다른 측정기준과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문 2.다음은 제조업체인 (주)한국의 2012년도 수도광열비와 관련된 월간자료이다.

최고

최저

작업시간

3,000시간

2,000시간

수도광열비

₩60,000

₩50,000

(주)한국의 2012년도 총작업시간은 30,000시간이었으며, 2012년의 수도광열비 연간납부금액은 ₩700,000이었다. 이들 자료를 이용하여 고저점법에 의해 계산한 고정원가와 변동원가는?

고정원가                    변동원가

①₩250,000              ₩450,000

②₩300,000              ₩400,000

③₩350,000              ₩350,000

④₩400,000              ₩300,000

 

문 3.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주)한국의 당기 외상매출금액은? (단, (주)한국의 매출은 전액 외상매출이다)

기초가액 기말가액

매출채권 ₩493,000 ₩490,540

대손충당금 ₩24,650 ₩24,530

손익계산서 상 대손상각비 계상액:₩23,400

매출로부터의 현금유입액:₩450,000

①₩447,540

②₩397,540

③₩471,060

④₩421,060

 

문 4.2011년 8월 1일 (주)한국은 개당 ₩800의 선풍기 400개를 (주)서울에 판매를 위탁하고 운송비용 ₩1,000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2012년 12월 31일 현재 200개의 선풍기를 판매하고 200개는 남아 있으며 판매수수료 10%, 판매촉진비 ₩2,000을 차감한 잔액을 회수하였다. 2012년 12월 31일 현재 (주)한국의 재고자산 금액은?

①₩160,000          ②₩160,500           ③₩142,000          ④₩152,000

 

문 5.(주)한국의 2012년도 기초제품재고액과 기말제품재고액은 각각 ₩6,000과 ₩3,000이며, 기초재공품재고액과 기말재공품재고액은 각각 ₩1,000과 ₩2,000이다. 또한 당기 중 발생한 재료원가와 노무원가는 각각 ₩1,500과 ₩1,000이다. 한편 (주)한국은 당해연도에 구입한 원재료는 모두 당기 중에 사용하는 정책을 적용하고 있다. (주)한국의 2012년도 매출원가가 ₩7,000일 때, 당기 중 발생한 제조간접원가는?

①₩1,500

②₩2,500

③₩3,500

④₩4,500

 

문 6.(주)한국은 액면가액 ₩5,000인 보통주 100주를 주당 ₩15,000에 발행하였다. 발행대금은 전액 당좌예금에 입금하였으며, 주식인쇄 등 주식발행과 직접 관련된 비용 ₩2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유상증자 이전에 주식할인발행차금 미상각 잔액 ₩400,000이 존재할 때, 동 유상증자 후 주식발행초과금의 잔액은?

①₩100,000

②₩500,000

③₩580,000

④₩980,000

 

문 7.의자 및 책상을 제조․판매하는 (주)한국의 의자사업부문의 2012년 제조량은 총 100개이며, 제품단위당 판매가격은 ₩2,000이다. 의자사업부문 제조원가명세서에 나타난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는 각각 ₩100,000과 ₩50,000이고, 나머지 제조비용 ₩30,000은 모두 고정원가이다. 2012년도 이 회사 의자사업부문의 손익분기점 판매액은?

①₩180,000

②₩150,000

③₩120,000

④₩80,000

 

문 8.(주)한국은 2011년 9월 5일에 취득한 (주)서울의 주식을 매도가능금융자산으로 분류한 후 2012년 12월 31일 현재에도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 동 주식의 공정가치가 다음과 같이 변화하였다면, (주)한국의 2012년 12월 31일의 분개는?

취득시 공정가치

공정가치(시가)

2011년

2011년 말

2012년 말

₩500,000

₩480,000

₩510,000

①(차변) 매도가능금융자산 ₩30,000

(대변)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실 ₩20,000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 ₩10,000

②(차변) 매도가능금융자산 ₩30,000

(대변)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 ₩30,000

③(차변)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실 ₩20,000

(대변) 매도가능금융자산 ₩20,000

④(차변) 매도가능금융자산 ₩10,000

(대변)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 ₩10,000

 

문 9.(주)서울은 (주)한강으로부터 2012년 1년 간 5,000개의 제품을 개당 ₩110에 구매하겠다는 특별주문을 받았다. 이 특별주문을 받아들일 경우 추가로 소요되는 고정 판매비와 관리비 증가분은 ₩20,000이고, 이외의 원가 행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특별주문 전의 생산판매와 관련한 다음의 자료를 이용할 때, (주)서울이 5,000개 제품 전체의 특별주문을 수락하는 경우, 2012년도 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주)서울의 최대생산능력은 13,000개이고 특별주문을 받아들이더라도 추가적인 설비 증설은 없다.

○매년 평균 10,000개의 제품을 시장의 수요에 의해 생산판매 해왔고, 특별주문을 수락하더라도 이를 제외한 시장의 수요에는 변화가 없다.

○일반적인 판매방식의 제품 판매가격 및 발생원가

제품단위당 판매가격 ₩150

변동제조원가 ₩90

변동 판매비와 관리비 ₩10

○생산량과 판매량은 동일하다.

○세금은 없다고 가정한다.

①₩20,000 감소

②₩70,000 감소

③₩30,000 증가

④₩80,000 증가

 

문 10.(주)한국의 2012년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은 ₩30,000이다. 2011년 말 이연법인세부채는 ₩2,000이며, 2012년 말 현재 장래의 과세소득을 증가시키는 가산할 일시적 차이는 ₩10,000이다. 법인세율은 매년 30%로 일정하고, 법인세에 부가되는 세액은 없다고 가정한다. 2012년 법인세부담액이 ₩7,000일 경우 (주)한국의 2012년 당기순이익과 2012년 말 이연법인세자산(또는 이연법인세부채)은?

당기순이익                  이연법인세자산(부채)

①₩22,000                   이연법인세부채 ₩3,000

②₩22,000                    이연법인세자산 ₩3,000

③₩24,000                   이연법인세부채 ₩3,000

④₩24,000                   이연법인세자산 ₩3,000

 

문 11.「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의한 재무제표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재무상태표

②포괄손익계산서

③현금흐름표

④사업보고서

 

문 12.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거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정기 주주총회에서 10%의 현금배당을 결의하다.

②임차한 건물에 대한 임차료를 현금으로 지급하다.

③창고에 화재가 발생하여 보관중인 상품 중 일부가 소실되다.

기계장치를 구입하고, 대금 중 절반은 현금으로 지급하고 잔액은 외상으로 하다.

 

문 13.(주)한국은 고객에게 상품을 판매하고 그 대가로 액면가액 ₩10,000,000, 만기 3개월, 이자율 연 9%인 약속어음을 수령하였다. (주)한국은 이 어음을 2개월간 보유한 후 은행에서 할인할 때 ₩10,122,750을 수령하였다. 이 어음에 대한 은행의 연간 할인율은? (단, 이자는 월할 계산한다고 가정한다)

①10%

②11%

③12%

④13%

 

문 14.(주)한국은 2012년 초 기계장치를 ₩30,000에 취득하였다. 동 기계장치의 내용연수는 3년이고, 잔존가치는 ₩0이며,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한다. 2012년 말 순공정가치가 ₩15,000(사용가치 ₩14,000)으로 급격히 하락하여, (주)한국은 동 기계장치를 손상처리하였다. (주)한국이 원가모형을 채택할 때, 2012년에 인식할 유형자산 손상차손은?

①₩5,000

②₩6,000

③₩7,000

④₩8,000

 

문 15.(주)한국의 2012년 11월 중 원가관련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11월 중 실제 임률은?

표준직접노동시간 1,450시간 표준임률 ₩400/시간

직접노무원가차이 ₩30,000(유리)

직접노무원가 능률차이 ₩20,000(불리)

①₩365/시간

②₩370/시간

③₩375/시간

④₩380/시간

 

문 16.기초재공품의 가공원가는 ₩250,000, 당기 발생 가공원가는 ₩2,250,000, 당기 완성품의 가공원가는 ₩2,400,000이다. 기초재공품의 수량은 800단위, 당기 완성수량은 4,800단위일 때, 가중평균법을 적용하는 경우 기말 재공품의 가공원가 완성품 환산량은? (단, 공손은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①100단위

②150단위

③200단위

④250단위

 

문 17.(주)한국은 직접노동시간을 기준으로 제조간접원가를 예정배부하고 있다. 2012년 제조간접원가와 관련된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정상조업도는?

제조간접원가 예산액:₩30,000

실제조업도(직접노동시간):200시간

제조간접원가 실제발생액:₩22,000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과대배부 ₩2,000

①100시간

②150시간

③200시간

④250시간

 

문 18.(주)한국의 2012년도 사업활동과 관련한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단, 이자지급은 재무활동으로 분류한다)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5,000,000 유형자산감가상각비 ₩750,000

유형자산손상차손 ₩260,000 유형자산처분이익 ₩340,000

매출채권증가 ₩290,000 재고자산감소 ₩300,000

매입채무증가 ₩250,000 미지급이자비용증가 ₩80,000

이자비용 ₩310,000 법인세비용 ₩1,500,000

미지급법인세증가 ₩250,000

①₩4,680,000

②₩4,760,000

③₩4,990,000

④₩5,020,000

 

문 19.12월 말 결산법인인 (주)한국은 당기와 전기금액을 비교표시하는 형태로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있다. (주)한국은 2011년 급여 ₩20,000에 대한 회계처리를 누락하고, 2011년도 결산이 마무리 된 후인 2012년 6월 30일에 급여를 지급하여 비용으로 계상하였다. (주)한국이 2012년 11월 1일에 이러한 오류를 발견하였다면, 전기오류수정을 위한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

(차변) 급 여 ₩20,000 (대변) 현 금 ₩20,000

(차변) 이익잉여금 ₩20,000 (대변) 급 여 ₩20,000

(차변) 급 여 ₩20,000 (대변) 이익잉여금 ₩20,000

(차변) 미지급급여 ₩20,000 (대변) 급 여 ₩20,000

 

문 20.(주)한국의 당좌예금에 대한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2012년 12월 말의 정확한 당좌예금 잔액은?

2012년 12월 31일 (주)한국의 당좌예금계정 잔액은 ₩920,000이다.

은행계정명세서상의 2012년 12월 31일 잔액은 ₩1,360,000이다.

○은행계정명세서와 (주)한국의 장부를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60,000의 부도수표를 (주)한국은 발견하지 못했다.

-은행에서 이자비용으로 ₩5,000을 차감하였다.

-기발행미결제수표가 ₩520,000 있다.

마감시간이 경과한 후 은행에 전달하여 미기록된 예금은 ₩240,000이다.

자동이체를 시켜놓은 임차료가 ₩185,000 차감되었는데 (주)한국은 알지 못했다.

은행에서 (주)서울에 입금시킬 돈 ₩410,000을 (주)한국에 입금하였는데 (주)한국은 알지 못했다.

①₩670,000

②₩680,000

③₩690,000

④₩700,000

728x90
728x90

문 1.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11년부터 상장법인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의무적으로 적용하여야 한다.

과거의 「기업회계기준」이 규칙중심의 회계기준이었던 데 비하여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원칙중심의 회계기준이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연결재무제표를 주 재무제표로 한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과거의 「기업회계기준」에 비해 자산과 부채를 측정함에 있어 공정가치보다는 역사적 원가를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문 2.시산표의 작성을 통해서 발견할 수 있는 오류는?

비품 ₩100,000을 현금으로 구입하면서 비품계정에 ₩100,000 차기하고, 현금계정에 ₩100,000 대기하는 기록을 두 번 반복하였다.

매입채무 ₩20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면서 현금계정에 ₩100,000 대기하고, 매입채무계정에 ₩100,000 차기하였다.

③매출채권 ₩100,000을 현금으로 회수하면서 매출채권계정에 ₩100,000 차기하고, 현금계정에 ₩100,000 대기하였다.

대여금 ₩100,000을 현금으로 회수하면서 현금계정에 ₩100,000 차기하고, 대여금계정에 ₩200,000 대기하였다.

 

문 3.발생주의회계를 채택하고 있는 (주)대한의 2010회계연도의 당기순이익은 ₩25,000으로 보고되었다. 2009년 말과 2010년 말의 발생항목과 이연항목이 다음과 같을 때 2010회계연도의 현금주의에 의한 당기순이익은?

항목

2009년 말

2010년 말

미수수익

₩8,000

₩12,000

미지급비용

₩6,000

₩4,000

선수수익

₩5,000

₩6,500

선급비용

₩7,000

₩4,500

①₩23,000        ②₩26,000         ③₩27,000          ④₩30,000

 

문 4.2010년 1월 1일에 영업을 개시한 (주)대한은 2010년에 10,000단위의 제품을 생산하여 9,000단위를 판매하였으며, 2010년 12월 31일 현재 기말재공품 및 원재료 재고는 없다. 실제 제품원가는 제품 단위당 직접재료원가 ₩40, 직접노무원가 ₩20, 변동제조간접원가 ₩10이었고, 총고정제조간접원가는 ₩200,000이었다. (주)대한이 실제원가계산을 하는 경우, 2010년도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과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의 차이는?

①₩20,000           ②₩90,000            ③₩180,000           ④₩200,000

 

문 5.각 사업부의 성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른 보상 제도를 실시하려고 할 경우 고려해야 할 적절한 원가는?

①고정원가           ②매몰원가        ③통제가능원가              ④기회원가

 

문 6.다음 각 항목이 재무상태표의 자본금, 이익잉여금 및 자본총계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항목               자본금               이익잉여금                    자본총계

① 무상증자            증가                    증가                                증가

② 주식배당            증가                    감소                                불변

③ 주식분할            불변                    불변                                불변

④ 유상증자            증가                    불변                                증가

 

문 7.(주)대한의 2010회계연도 기초 자산총계는 ₩4,000,000이며, 기초와 기말시점의 부채총계는 각각 ₩2,000,000과 ₩1,500,000이다. 또한, 당기 포괄손익계산서상 수익총액이 ₩7,000,000, 비용총액이 ₩6,500,000이고, 당기중 주주의 출자액이 ₩1,000,000일 때 기말 자산총계는? (단, 기타포괄손익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①₩2,500,000

②₩3,000,000

③₩3,500,000

④₩5,000,000

 

문 8.원가모형에 의하여 평가하고 있는 (주)대한의 기계장치와 관련하여 2011년 12월 31일 결산일 현재 인식해야 할 손상차손환입은?

(주)대한은 2010년 1월 1일 잔존가치 ₩0, 내용연수 5년인 기계장치를 ₩500,000에 구입하여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하기로 하였다. 2010년 12월 31일 (주)대한은 해당 기계장치의 손상징후가 있어 손상검사를 실시하여 회수가능액을 추정한 결과 순공정가치가 ₩200,000, 사용가치가 ₩150,000이었고, 2011년 12월 31일 기계장치의 회수가능액은 ₩400,000이었다.

①₩100,000

②₩150,000

③₩200,000

④₩250,000

 

문 9.소매재고법(매출가격환원법)을 적용하여 매출원가와 기말재고 원가를 계산하면?

구분

원가

매가

기초재고액

₩240,000

₩360,000

당기매입액

₩2,700,000

₩3,840,000

매출액

₩3,900,000

        매출원가                 기말재고

①   ₩2,640,000             ₩210,000

②   ₩2,640,000             ₩300,000

③   ₩2,730,000             ₩210,000

④   ₩2,730,000             ₩300,000

 

문 10.표준원가계산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주)대한의 재료원가에 대한 표준과 제품 1,000단위를 생산한 지난 달의 실제재료원가 발생액이 다음과 같다. 재료가격차이와 재료수량차이는?

○제품 단위당 표준재료원가

- 수량 10단위, 재료단위당가격 ₩100

○실제발생 재료원가

- 재료소비량 12,000단위, 재료원가 ₩1,080,000

        재료가격차이                    재료수량차이

①₩100,000(불리한 차이)          ₩180,000(유리한 차이)

②₩100,000(유리한 차이)          ₩180,000(불리한 차이)

③₩120,000(불리한 차이)          ₩200,000(유리한 차이)

④₩120,000(유리한 차이)          ₩200,000(불리한 차이)

 

문 11.무형자산의 회계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은 상각하지 않고, 매년 손상검사를 실시하여 손상차손(또는 손상차손환입)을 인식한다.

②내부적으로 창출한 영업권은 무형자산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③연구개발활동과 관련하여 연구단계와 개발단계에서 발생한 지출은 무형자산의 취득원가로 처리한다.

④무형자산은 미래경제적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취득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을 때 인식한다.

 

문 12.(주)대한은 2011년 1월 1일에 표시이자율 10%, 액면가액 ₩10,000, 이자지급은 매년 12월 31일 후불조건, 만기 3년의 사채를 발행하였다. 발행시점에서 동 사채에 적용된 유효이자율이 15%일 경우 사채의 발행금액은? (단, 사채발행금액 계산에는 다음 자료를 이용하시오)

단일금액 ₩1의 현재가치요소(10%, 3년)=0.75

단일금액 ₩1의 현재가치요소(15%, 3년)=0.66

정상연금 ₩1의 현재가치요소(10%, 3년)=2.49

정상연금 ₩1의 현재가치요소(15%, 3년)=2.28

①₩8,880          ②₩9,090        ③₩9,780             ④₩10,000

 

문 13.(주)대한의 2011회계연도 현금흐름표에 표시될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단, 2011회계연도 (주)대한의 당기순이익은 ₩300,000이었다)

감가상각비

₩20,000

유상증자

₩100,000

유형자산처분이익

₩30,000

매입채무의 증가

₩40,000

사채의 상환

₩50,000

매출채권의 증가

₩60,000

①₩220,000           ②₩270,000          ③₩320,000          ④₩370,000

 

문 14.A제품의 매출액이 ₩500,000이고, 제품 단위당 변동원가가 ₩6, 판매가격이 ₩8이다. 고정원가가 ₩100,000일 경우 안전한계는?

① ₩ 25,000        ② ₩100,000         ③ ₩125,000           ④ ₩275,000

 

문 15.2010년 12월 31일 결산일 현재 (주)대한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중 재무상태표에 계상할 현금및현금성자산은?

통 화 ₩1,500

수입인지 ₩100

만기가 도래한 국채이자표 ₩300

송금환 ₩400

배당금지급통지표 ₩50

만기가 1개월 후인 타인발행 약속어음 ₩200

2010년 12월 1일에 취득한 환매채(만기 2011년 1월 31일) ₩500

①₩1,500

②₩2,250

③₩2,750

④₩2,950

 

문 16.(주)대한의 2010회계연도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이익이 ₩1,000,000일 때 2010년 12월 31일 결산일 현재 기본주당이익을 산출하기 위한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는? (단,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는 월할로 계산한다)

<유통보통주식수의 변동>

일자

내용

주식수

2010년 1월 1일

기초

12,000주

2010년 3월 1일

유상증자

3,000주

2010년 7월 1일

자기주식 취득

3,000주

2010년 9월 1일

유상증자

6,000주

①9,000주

②15,000주

③18,000주

④21,000주

 

문 17.(주)대한의 2010회계연도의 매출 및 매입 관련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총매출액 ₩1,000 총매입액 ₩700

기초재고 ₩400 기말재고 ₩300

매출환입 ₩100 매입에누리 ₩100

매출할인 ₩100 매입할인 ₩100

매입운임 ₩100

①순매출액은 ₩900이다.

②순매입액은 ₩800이다.

③매출원가는 ₩700이다.

④매출총이익은 ₩200이다.

 

문 18.휴대폰 부품을 생산하는 (주)대한은 두 제조부문(가), (나)와 두 보조부문(A), (B)로 나누어 부문원가를 계산하고 있다. 단계배부법을 이용하여 보조부문원가를 배부할 때 두 제조부문에 최종적으로 집계되는 원가는? (단, 보조부문원가의 배부순서는 다른 보조부문에 제공한 서비스 제공비율이 큰 부문을 먼저 배부한다)

구분

(가) 제조부문

(나) 제조부문

(A) 보조부문

(B) 보조부문

1차집계원가

₩120,000

₩130,000

₩50,000

₩60,000

보조부문의 각

부문별 서비스

제공비율

(A)보조부문

(B)보조부문

40%

40%

40%

30%

30%

20%

(가) 제조부문                 (나) 제조부문

①₩171,200                  ₩175,200

②₩178,000                  ₩182,000

③₩180,000                  ₩180,000

④₩182,000                  ₩178,000

 

문 19.(주)대한의 2010회계연도 중 재료구입액은 ₩200,000이고, 직접노무원가와 제조간접원가 발생액이 각각 ₩150,000과 ₩155,000일 경우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당기제품제조원가와 매출원가를 계산하면?

구분

2010.1.1

2010.12.31

재료

₩100,000

₩80,000

재공품

₩120,000

₩150,000

제품

₩150,000

₩200,000

제품제조원가              매출원가

①₩495,000                 ₩445,000

②₩495,000                 ₩475,000

③₩505,000                 ₩445,000

④₩505,000                 ₩475,000

 

문 20.(주)대한은 다음 자료와 같이 기계장치를 취득하였다. 기계장치의 취득원가는?

기계장치 구입대금 ₩20,000

운반비 ₩1,000

설치비 ₩3,000

시운전비 ₩2,000

구입 후 수선비 ₩2,000

①₩21,000

②₩25,000

③₩26,000

④₩28,000

728x90
728x90

문 1.12월 결산법인인 (주)한강의 2009년도 기초 및 기말의 유동비율은 각각 200%, 150%이다. 2009년도에 유동항목의 변화가 다음과 같을 때, 2009년도 말 유동자산은?

매출채권의 증가

₩5,000

매입채무의 감소

₩10,000

미지급비용의 증가

8,000

재고자산의 감소

15,000

①₩12,000             ②₩14,000              ③₩16,000             ④₩18,000


 

문 2.(주)한국은 제조원가 계산 시에 기말재공품 평가는 선입선출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생산과정에서 재료는 제조 착수 시점에 전량 투입되고, 가공비는 공정진행에 따라 평균적으로 발생한다. 다음의 원가자료를 이용하여 당기제품제조원가를 계산하면?

재료원가

가공원가

수량

기초재공품원가 및 수량

₩5,000

₩4,000

80개(완성도 50%)

당기제조원가

16,000

27,000

기말재공품 수량

40개(완성도 50%)

완성품수량

200개

①₩36,000          ②₩43,000              ③₩45,000          ④₩52,000

 

문 3.다음은 (주)서울의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와 현금흐름표에서 발췌한 2009년 현금흐름 관련 자료이다. 2009년도에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2008년 12월 31일 말 현금 잔액

₩120,000

2009년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감소

40,000

2009년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 증가

50,000

2009년 12월 31일 말 현금 잔액

150,000

①₩10,000           ②₩20,000             ③₩30,000           ④₩40,000

 

문 4.(주)여수는 실지재고조사법에 의해 기말재고수량을 파악하고 원가흐름에 대한 가정으로 선입선출법을 적용한다. 2009년 재고자산과 관련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거래내용

수량(개)

단가(₩)

원가(₩)

기초재고

100

10

1,000

1차 매입

500

12

6,000

2차 매입

400

15

6,000

합계

1,000

13,000

(주)여수의 2009년 회계기간의 판매량은 700개, 기말재고는 300개이며, 단위당 판매가격은 20으로 일정하였다. (주)여수의 2009년 매출총이익은?

①₩4,400           ②₩4,700              ③₩4,900          ④₩5,500

 

문 5.(주)한강전자는 한 종류의 휴대전화기를 제조․판매한다. 휴대전화기의 단위당 판매가격은 ₩80이고, 단위당 변동원가는 ₩60, 고정원가는 ₩240,000이며, 관련범위는 18,000 단위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세금은 고려하지 않음)

①휴대전화기의 단위당 공헌이익률은 25%이다.

②매출수량이 12,000 단위이면 안전한계는 0이다.

③제품 단위당 변동원가가 ₩10 감소하면 손익분기점 판매량은 4,000 단위가 감소한다.

고정원가가 ₩192,000으로 감소하면 공헌이익률은 20% 증가한다.

 

문 6.(주)한국은 화재로 인하여 100개의 재고자산이 파손되었다. 파손된 재고자산은 ₩40,000에 처분하거나, 혹은 ₩20,000의 수선비를 지출하여 수선을 하면 ₩70,000에 처분할 수 있다. 그러나 (주)한국의 생산부장은 위의 파손된 재고자산을 생산과정에 재투입하여 재가공하기로 하였다. (주)한국의 파손된 재고자산의 재가공에 따른 기회비용은?

①₩70,000

②₩50,000

③₩40,000

④₩20,000

 

문 7.(주)글로벌은 볼펜을 생산하고 있다. 지난 1년간의 생산 및 원가자료를 이용하여 원가행태를 추정하려고 한다. 다음 자료를 기초로 고저점법(High-low method)을 이용하여 원가를 추정한 결과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생산량

원가(₩)

생산량

원가(₩)

1

100

15,100

7

160

20,500

2

120

16,300

8

130

18,100

3

150

18,700

9

120

17,900

4

110

14,940

10

110

16,000

5

130

17,500

11

170

20,700

6

120

16,900

12

140

19,100

고정원가           단위당 변동원가

①₩80              ₩7,100

② ₩7,100         ₩80

③₩96              ₩4,380

④ ₩4,380          ₩96

 

문 8.아래 표는 (가)~(라) 기업들의 2009회계연도 자산총액(평균)과 재무비율의 일부이다. 2009회계연도의 당기순이익이 가장 큰 기업은?

기업

자산총액(평균)

매출액순이익률

총자산회전율

100,000

40%

1회

200,000

30%

2회

300,000

20%

3회

400,000

10%

4회

①가

②나

③다

④라

 

문 9.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2009년 1월의 매출원가를 계산하면?

<자료 1>

재고자산

직접재료

재공품

제 품

2009.1.1

₩30,000

50,000

70,000

2009.1.31

₩40,000

30,000

50,000

<자료 2>

○2009년 1월 중 직접재료 매입액은 ₩110,000이다.

2009년1월중직접노무원가의발생액은가공원가 발생액의 60%이다.

○2009년 1월 중 제조간접원가 발생액은 ₩80,000이다.

①₩340,000        ②₩370,000          ③₩400,000          ④₩420,000

 

문 10. 다음의 자료는 (주)한강의 2010년 3월의 재공품계정 차변 내용의 일부이다.

기초재공품

₩6,000

직접재료원가

12,000

직접노무원가

8,000

한편, (주)한강의 당기제품제조원가는 ₩24,000이고, 기말 현재 미완성인작업은#10이며,기말재공품에는직접노무원가가 ₩1,000 포함되어 있다. (주)한강은 제조간접원가를 직접노무원가의 50%의 비율로 예정배부하고 있다. 기말재공품에 포함되어 있는 직접재료원가는? (단, 제조간접원가의 배부차이는 매출원가에서 조정한다)

①₩500         ②₩1,000           ③₩4,500           ④₩5,000

 

문 11.2009년 5월 중 (주)대한의 노무비와 관련된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직접노무비 능률차이를 구하면?

제품단위당 표준직접노무시간

3시간

시간당 표준임률

₩20

시간당 실제임률

₩22

5월 중 제품 생산량

2,100단위

5월 중 실제직접노무시간

6,000시간

①₩6,000 불리

②₩6,000 유리

③₩6,600 불리

④₩6,600 유리

 

문 12.회계정보의 주요 질적 특성으로 목적적합성과 신뢰성이 있다. 신뢰성과 가장 관련이 없는 개념은?

①피드백 가치

②표현의 충실성

③검증가능성

④중립성

 

문 13.다음 중 발생주의 회계처리로 볼 수 없는 것은?

①상품을 판매하기로 하고 수취한 계약금을 매출수익으로 계상하다.

②기말에 미지급된 급여를 당해연도 비용으로 계상하다.

③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을 설정하다.

④기말에 보험료 미경과액을 계상하다.

 

문 14.회계상의 거래에 포함될 수 없는 것은?

①장부가액이 ₩2,500,000인 건물이 화재로 인해 전소되었다.

②상품을 판매하고 아직 대금을 받지 않았다.

③원료 공급회사와 100톤의 원재료를 ₩1,000,000에 구입하기로 계약을 체결하였다.

기계장치를 구입하여 인도받았으나 아직 대금을 지급하지 않았다.

 

문 15.(주)한라는 2008년 1월 1일에 표시이자율 8%, 액면금액 ₩100,000인 3년 만기 사채를 ₩95,030에 발행하였다. 이자는 매년 12월 31일에 지급되며, 발생이자와 관련된 회계처리는 유효이자율법에 따르고 있다. 유효이자율이 10%일 때, 2009년 12월 31일 이 사채의 장부금액은? (단,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함)

①₩85,527

②₩93,527

③₩96,533

④₩98,186

 

문 16.(주)한국의 2009년 회계기간의 매출원가는 ₩90,000이다. 기초상재고액은 ₩20,000이고, 기말상품재고액은 ₩10,000이다. 이 회사의 상품구매정책은 상품을 모두 외상으로 매입하되, 외상대금의 50%는 매입한 회계기간에 지급하고, 나머지 금액은 다음 회계기간(차기)에 전액 지급하는 것이다. 외상매입금의 기초잔액이 ₩30,000이라면, 상품의 매입과 관련된 2009년 회계기간의 현금지출액은?

①₩55,000          ②₩70,000            ③₩80,000          ④₩95,000

 

문 17.다음은 (주)한국의 2009년 12월 31일 현재의 자본 항목들이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2009년 12월 31일 현재 자본잉여금을 계산하면?

자본금

₩50,000

자기주식

₩20,000

감자차익

10,000

해외사업환산이익

10,000

미교부주식배당금

20,000

감채적립금

20,000

결손보전적립금

5,000

주식발행초과금

30,000

이익준비금

5,000

자기주식처분손실

10,000

①₩60,000

②₩50,000

③₩40,000

④₩30,000

 

문 18.(주)한국은 2009년 1월 1일에 기계를 ₩100,000에 취득하였다. 이 기계의 내용연수는 4년이고, 잔존가치는 ₩20,000으로 추정된다. 2009년 12월 31일 이 기계의 감가상각을 정액법과 연수합계법을 적용하여 계산할 때 두 방법의 감가상각비 차이는?

①₩13,000

②₩12,000

③₩11,000

④₩10,000

 

문 19.(주)우리는 2009년 기말에 감사를 실시한 결과, 회계담당자가 매출채권 회수대금 중 일부를 횡령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감사결과 기말 매출채권 잔액은 ₩15,000으로 확인되었고, 이 회사는 매출원가에 25%의 이익을 가산한 가격으로 신용판매하고 있다.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회계담당자가 횡령한 금액을 추정하면?

기초상품재고액

₩30,000

당기 상품매입액

₩90,000

당기 매출채권회수금액

100,000

기초매출채권

10,000

기말상품재고액

20,000

①₩10,000          ②₩15,000            ③₩20,000         ④₩25,000

 

문 20.주식배당, 무상증자 및 주식분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주식분할의 경우 발행주식수가 증가하여 자본금이 증가한다.

②무상증자의 경우 자본총계는 불변이다.

③무상증자의 경우 주당 액면가액은 불변이지만, 주식분할의 경우는 주당 액면가액이 감소한다.

④주식배당의 경우 이익잉여금은 감소하지만, 주식분할의 경우 이익잉여금이 불변이다.

728x90
728x90

문 1.(주)광주의 2008 회계연도의 총자산은 기초에 ₩50,000 기말에 ₩65,000이고, 총부채는 기초에 ₩25,000 기말에 ₩33,000이었다. 2008 회계연도 중에 주주에게 ₩3,000을 배당하였다. 주주와의 다른 거래가 없었을 때, (주)광주의 2008 회계연도의 당기순이익은?

①₩9,000           ②₩10,000                   ③₩6,000            ④₩3,000


 

문 2.‘재무회계 개념체계’와 관련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재무회계는 한정된 경제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도록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주주들로부터 수탁 받은 자원의 경영책임을 보고하는 기능이 있다.

②회계는 미래 현금흐름 예측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③현금흐름표를 제외한 재무제표는 발생기준에 따라 작성된다.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이란 회계정보가 유용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주요 속성을 말하며, 회계정보의 유용성의 판단기준이 된다.

 

문 3.(주)충청은 2008년 1월 1일에 표시이자율 9%, 액면가 ₩1,000,00010년 만기 사채를 ₩938,500에 발행하였다. 이자는 매년 12월 31일에 지급되며, 발생이자와 관련된 회계처리는 유효이자율법에 따르고 있다. 유효이자율이 10%라고 하였을 때, 2008년 12월 31일의 사채이자비용과 관련된 옳은 분개는?

(차)                                             (대)

①사채이자비용      ₩90,000      현금                      ₩90,000

②사채이자비용      ₩93,850      현금                       ₩93,850

③사채이자비용      ₩90,000      현금                       ₩93,850

사채할인발행차금   ₩3,850

④사채이자비용      ₩93,850      현금                       ₩90,000

                                               사채할인발행차금    ₩3,850

 

문 4.재무회계와 관련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재무비율 중의 하나인 유동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 측면에서는 불리할 수도 있다.

재무제표를 작성할 책임은 재무제표를 감사한 외부감사인에게 있다.

③재무회계의 주된 목적은 경영자의 경영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④외부감사인의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의견은 해당 기업의 투자적정성에 대한 판단이다.

 

문 5.손익계산서상의 당기순이익과 포괄손익계산서상의 포괄손익간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항목이 아닌 것은?

①자기주식처분손익

②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

③해외사업환산손익

④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평가손익

 

문 6.12월 말 결산법인인 (주)경상은 2008년 11월 1일에 무상증자를 실시하여, 보통주 1주당 2주의 보통주를 무상으로 지급하였다. 회사는 보통주만 발행하였으며, 관련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2008년의 주당순이익은?(단, 2008년 10월 31일까지의 발행보통주식의 유통일수는 305일이며, 2008년은 366일이다)

2008년 당기순이익: ₩1,800,000

2008년 10월 31일 현재의 유통보통주식수: 300주

①₩2,000            ②₩3,000          ③₩4,500           ④₩6,000

 

문 7.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영업외비용에 속하는 항목들을 합산하면?

단기매매증권평가손실 ₩400,000

매도가능증권처분손실₩500,000

광고선전비₩200,000

기부금₩800,000

비정상적 재고자산감모손실₩200,000

매도가능증권평가손실₩600,000

경상개발비₩120,000

지분법손실₩300,000

①₩2,200,000         ②₩1,400,000           ③₩2,800,000          ④₩2,400,000

 

문 8.현금흐름표에 관한 설명들 중 옳은 것은?

현금흐름표는 현금흐름의 종류를 크게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및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으로 구분하여 보고한다.

②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직접법으로 작성하는 경우와 간접법으로 작성하는 경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③신용거래가 없을 경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과 손익계산서상의 당기순이익은 일치하여야 한다.

④직접법이나 간접법 중 어떤 방법으로 작성하더라도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동일하게 표시된다.

 

문 9.다음은 12월 말 결산법인인 (주)경기의 2008 회계연도 중의 발생원가 및 비용과 관련된 자료이다. 이를 이용하여 가공원가(전환원가)를 계산하면?

직접재료원가₩35,000

공장건물감가상각비₩20,000

판매원판매수당₩17,000

간접노무원가₩18,000

직접노무원가 ₩30,000

본사비품감가상각비₩25,000

공장수도광열비 ₩12,000

공장소모품비 ₩7,000

①₩65,000         ②₩83,000           ③₩87,000         ④₩122,000

 

문 10.(주)전라는 지분법적용투자주식으로 (주)대전의 발행주식 중 40%에 해당하는 100주를 보유하고 있다. 동 주식의 2008년 10월 31일의 장부가액은 주당 ₩10,000이었고, 시가는 주당 ₩12,000이었다. 2008년 12월 31일 결산결과 (주)대전의 당기순이익은 ₩40,000었다. (주)대전은 2009년 1월에 주당 ₩100의 배당금을 지급하였다. (주)전라는 2009년 3월 5일에 보유 중이던 (주)대전의 주식을 주당 ₩13,000에 모두 처분하였다. (주)전라의 주식처분시의 옳은 분개는?

(차)                                               (대)

①현금₩1,300,000              지분법적용투자주식₩1,000,000

                                        지분법적용투자주식처분이익₩300,000

②현금₩1,300,000              지분법적용투자주식₩1,006,000

                                        지분법적용투자주식처분이익₩294,000

③현금₩1,300,000              지분법적용투자주식 ₩1,200,000

                                        지분법적용투자주식처분이익₩100,000

④현금₩1,300,000              지분법적용투자주식 ₩1,184,000

                                        지분법적용투자주식처분이익₩116,000

 

문 11.2008년 초에 영업활동을 개시한 (주)서울의 회계담당자는 2008 회계연도의 당기순이익을 ₩200,000으로 계산하였다. 그러나 회계감사인은 회계담당자가 계산한 당기순이익에는 다음 항목의 기말잔액에 대한 수정분개결과가 반영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선수수익₩10,000

미지급비용₩20,000

선급비용₩15,000

미수수익₩25,000

위 사항을 반영하여 (주)서울의 2008 회계연도의 당기순이익을 계산하면?

①₩180,000          ②₩190,000           ③₩200,000          ④₩210,000

 

문 12.의사결정을 할 때 특정 대안의 선택에 영향을 주지 않는 비관련원가(irrelevant cost)에 해당하는 것은?

①매몰원가          ②차액원가          ③증분원가            ④기회원가

 

문 13.(주)경상반도체의 제1공정의 기초재공품은 5,000개, 재료비와 공비의 완성도는 각각 100%와 30%이다. 제1공정의 생산착수량은 50,000개이며, 당기에 40,000개가 완성되었다. 기말재공품의 재료비와 가공비 완성도는 각각 100%와 50%이다. 선입선출법과 평균법에 의한 가공비의 당기완성품환산량은?

선입선출법                평균법

① 47,500개              46,000개

② 45,000개              43,500개

③ 43,500개              45,000개

④ 46,000개              47,500개

 

문 14.(주)강원은 표준원가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직접재료의 수량표준은 제품단위당 4.2kg이며, 가격표준은 1kg당 ₩200이다. 2009년 3월 중에 520개의 제품을 생산하였으며, 직접재료 2,200kg을 사용하였다. (주)강원은 2009년 3월 중에 직접재료 2,500kg을 ₩490,000에 구입하였다. 가격차이를 재료구입시점에서 분리할 경우, (주)강원의 2009년 3월의 재료비 가격차이와 수량차이를 계산하면?

가격차이                                 수량차이

①₩10,000(불리한 차이)           ₩3,200(불리한 차이)

②₩10,000(유리한 차이)           ₩3,200(불리한 차이)

③₩10,000(불리한 차이)           ₩3,200(유리한 차이)

④₩10,000(유리한 차이)           ₩3,200(유리한 차이)

 

문 15.(주)경기는 연산품 A, B를 생산하고 있다. 2009년 3월 연산품 생산서 발생한 결합원가는 ₩100,000이고, 각 연산품의 생산량, 판매가격, 분리점 이후의 단위당 분리원가와 관련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순실현가능가치를 기준으로 결합원가를 배분할 경우 각 연산품의 단위당 원가를 계산하면?

연산품

생산량

단위당 판매가격

단위당 분리원가

A

B

30개

20개

₩3,000

₩5,000

₩1,000

₩3,000

연산품 A              연산품 B

① ₩3,000          ₩5,000

② ₩2,000          ₩4,000

③ ₩2,000          ₩5,000

④ ₩3,000          ₩4,000

 

문 16.(주)서울이 판매하는 제품과 관련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단위당 판매가격 ₩500

단위당 변동비 ₩300

연간 총고정비 ₩100,000

영업외 수익과 비용은 없다고 가정할 때 연간 순이익 ₩20,000을 달성하기 위한 연간 제품판매량은?

①500개        ②550개              ③600개          ④650개

 

문 17.다음은 (주)독도의 2008 회계연도 말의 제조원가명세서와 손익계산서에서 얻은 자료이다.

기초재료재고액 ₩10,000

기초재공품재고액 ₩40,000

기초제품재고액 ₩100,000

당기재료비 발생액 ₩140,000

당기경비 발생액 ₩50,000

기말재료재고액 ₩20,000

기말재공품재고액 ₩20,000

당기노무비 발생액 ₩200,000

매출원가 ₩460,000

아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당기의 판매가능제품원가를 계산하기 위하여 기초제품재고에 가산해야 할 당기완성품원가는 ₩410,000이다.

②당기총제조원가는 ₩390,000이다.

③당기재료매입액은 ₩150,000이다.

2008 회계연도의 기말 대차대조표에 보고해야 할 재고자산가액은 ₩40,000이다.

 

문 18.무형자산과 관련된 기업회계기준서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연구단계에서 발생한 지출은 모두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하고, 개발단계에서 발생한 지출은 무형자산의 인식기준을 모두 충족할 경우에만 무형자산으로 인식하고 그 외에는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한다.

②무형자산은 정액법, 체감잔액법, 연수합계법, 생산량비례법 등을 사용하여 상각하며, 합리적인 상각방법을 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체감잔액법을 사용한다.

프로젝트를 연구단계와 개발단계로 구분할 수 없는 경우, 당해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지출은 연구단계에서 발생한 것으로 본다.

무형자산은 산업재산권, 라이선스와 프랜차이즈, 저작권, 어업권, 컴퓨터소프트웨어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더 큰 단위로 통합하거나 더 작은 단위로 구분할 수 있다.

 

문 19.다음은 (주)제주의 2008년 12월 31일 현재의 은행계정조정표를 작성하기 위한 자료이다. 수정 후의 올바른 당좌예금계정 잔액은?

회사의 2008년 말의 수정 전 당좌예금 계정잔액₩100,000

은행의 2008년 말의 수정 전 당좌예금 계좌잔액 ₩125,000

2008년 12월 중 은행측 미기입예금 ₩50,000

2008년 12월 말 현재 기발행 미지급수표 ₩80,000

2008년 12월 중 당좌차월이자(회사측 미기입) ₩5,000

①₩95,000          ②₩125,000          ③₩100,000          ④₩112,500

 

문 20.12월 말 결산법인인 (주)서울의 2008년 말의 수정후시산표의 일부이다.

총매출액 ₩695,000

매출환입 ₩24,000

매출채권(총액) ₩170,000

대손상각비 ₩25,000

매출할인 ₩36,000

매출에누리 ₩5,000

대손충당금 ₩10,000

(주)서울의 2008 회계연도 기초의 매출채권은 ₩200,000(총액), 대손충당금은 ₩18,000이었다. 2008년에 판매대금으로 받은 현금수입액은?

①₩610,000          ②₩627,000            ③₩664,000          ④₩685,000

728x90
728x90

문 1.다음은 (주)보성의 2007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제조원가와 관련된 자료이다. 기초재공품은 얼마인가?

직접재료비

50,000

직접노무비

40,000

제조간접비

30,000

기말재공품

20,000

◦당기제품제조원가

130,000

제품제조단가

100

①₩10,000          ②₩20,000       ③₩30,000          ④₩40,000


 

문 2.(주)한강의 월평균 기계운전시간(x)과 전력비(y)의 관계가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y=10,000+8x

추정 원가함수를 기초로 한 전력비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단, (주)한강의 월평균조업도는 5,000기계운전시간이다)

①전력비의 월평균 고정원가는 ₩10,000이다.

②전력비의 변동원가는 기계운전시간당 ₩8이다.

③조업도가 4,000기계운전시간일 때 추정 총전력비는 ₩42,000이다.

기계운전시간이 800시간 증가하면 전력비는 ₩16,400 증가한다.

 

문 3.다음 자료에 의하여 보조부문비를 단계배부법으로 배부할 경우 제1제조부문비의 합계는?

(단, 수선부문비를 먼저 배부한다)

비 목

배부

기준

제조부문

보조부문

제1제조부문

제2제조부문

동력부문

수선부문

자기부문 발생액

100,000

80,000

40,000

20,000

보조부문비 배부

동력부문비

kwh

5,000

4,000

-

1,000

수선부문비

시간

100

50

50

-

①₩25,000          ②₩105,500            ③₩122,500         ④₩135,000

 

문 4.다음 종합원가계산 자료에 의하여 재료비와 가공비의 완성품환산량(당월작업분)을 각각 구하면?

(단, 재공품 평가는 선입선출법에 의한다)

당월 착수 수량

70,000개

당월 완성량

60,000개

월초 재공품 수량

10,000개(완성도 : 재료비 80%, 가공비 40%)

월말 재공품 수량

20,000개(완성도 : 재료비 50%, 가공비 20%)

재료비                 가공비

① 50,000개          56,000개

② 58,000개          54,000개

③ 62,000개          60,000개

④ 78,000개          68,000개

 

문 5.다음 원가계산 자료에서 제조지시서 #1과 #2는 완성되었으나 제조지시서 #3은 미완성이다. 재공품 계정의 월말 재고액은?

(단, 제조간접비는 직접재료비에 근거하여 배부한다)

비 목

지시서 #1

지시서 #2

지시서 #3

합 계

직접재료비

2,000

2,000

1,000

5,000

직접노무비

5,000

6,000

2,500

13,500

제조간접비

( )

( )

( )

9,000

①₩1,800           ②₩5,300             ③₩10,600          ④₩11,600

 

문 6.‘기업회계기준서 제11호 중단사업’에 따르면 중단사업과 관련된 손익은 손익계산서에 다음과 같이 구분표시하여야 한다.

손익계산서

(주)xx 2008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매출액 xxx

매출원가 xxx

매출총이익 xxx

판매비와관리비 xxx

영업이익 xxx

영업외손익 xxx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xxx

계속사업이익법인세비용 xxx

계속사업이익 xxx

중단사업손익(세후) xxx

당기순이익 xxx

중단사업손익의 구분공시와 가장 관련 있는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은?

①예측가치           ②중립성        ③적시성          ④검증가능성

 

문 7.홍길동씨는 대학축제에서 솜사탕을 판매하려고 한다. 솜사탕 제조에는 고정원가와 변동원가가 발생하는데 고정원가는 ₩20,000이며,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100,000이다. 만일 솜사탕의 예상매출액이 ₩150,000이라면 홍길동씨가 솜사탕 판매로 얻게 될 이익은?

①₩50,000           ②₩40,000         ③₩30,000          ④₩10,000

 

문 8.(주)한국의 2008회계연도의 매출채권 기초잔액은 ₩440,000이고 기말잔액은 ₩420,000이며 동 기간 동안의 매출액은 ₩1,290,000이다. 그리고 대손충당금 기초잔액은 ₩30,000이고 기말잔액은 ₩20,000이다. 또한 당기의 손익계산서상의 대손상각비는 ₩10,000이다. 동 기간 동안 (주)한국이 고객으로부터 수취한 현금은?

①₩1,270,000           ②₩1,290,000           ③₩1,310,000           ④₩1,410,000

 

문 9.다음 자료에 의하여 매출가격환원법(소매재고법)으로 기말재고자산의 원가를 추정하면 얼마인가?

(단, 재고자산의 원가흐름은 평균원가법으로 한다)

원 가

매 가

◦기초재고

₩10,000

₩20,000

◦당기매입

₩50,000

₩60,000

◦매출액

₩50,000

①₩20,500           ②₩22,500            ③₩25,000           ④₩30,000

 

문 10.다음은 7월 한 달 동안 (주)계룡의 상품거래 내역이다.

거래내용

단가

매입수량

판매수량

◦7월 1일 재고

400

200

◦7월 12일 매입

500

200

◦7월 20일 매출

300

◦7월 24일 매입

600

200

◦7월 30일 매출

200

(주)계룡은 계속기록법으로 상품의 매매거래를 기록한다. 원가의 흐름을 이동평균법에 의할 때, 7월 20일의 거래기록으로 옳은 것은?

(단, 상품의 판매단가는 ₩600이다)

(차)                                       (대)

①외상매출금 180,000             매출 180,000

매출원가 150,000                    상품 150,000

②외상매출금 180,000             매출 180,000

매출원가 135,000                   상품 135,000

③외상매출금 180,000             매출 180,000

매출원가 130,000                  상품 130,000

④외상매출금 180,000            매출 180,000

 

문 11.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에 따르면, 제품의 판매 이후에 예상되는 품질보증비는 실제 현금이 지출되는 시점이 아닌 제품의 판매시점에서 계상된다. 이와 가장 관련이 있는 원칙은?

①수익․비용 대응의 원칙           ②중요성의 원칙

③취득원가 계상의 원칙            ④수익실현의 원칙

 

문 12.기업회계기준의 수익인식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상품권을 판매한 때 현금수령액은 선수금으로 처리하고 상품권 회수 시점에 이를 수익으로 인식한다.

②임대업을 영위하는 회사는 임대매장에서 발생하는 매출과는 무관하므로 임차인으로부터 수취하는 임대료만을 수익으로 인식해야 한다.

수출업무를 대행하는 종합상사는 판매를 위탁하는 회사를 대신하여 상품을 수출하므로 판매수수료만을 수익으로 인식해야 한다.

방송사의 광고수익은 해당 광고계약을 체결하는 시점에 수익을 인식해야 한다.

 

문 13.회계정보의 원활한 산출을 제약하는 요소들이 현실 속에 다수 존재한다. 이때 필요한 것이 재무회계의 기본가정이다. 재무회계의 기본가정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화폐단위 측정의 가정은 회계정보의 기업 간 비교를 가능하게 한다.

기간별 보고의 가정은 정보이용자들의 빈번한 정보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

계속기업의 가정은 시가를 근거로 한 적시성 있는 회계정보를 산출할 수 있게 해 준다.

기업실체의 가정은 회계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할 자산과 부채의 범위를 확정해 준다.

 

문 14.(주)서울이 보고한 2007년의 당기순이익은 ₩1,000이다. 회사는 2006년 기말재고자산이 ₩300 과대계상되었고 2007년 기말재고자산이 ₩300 과소계상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재고자산 류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주)서울이 2007년도에 보고할 당기순이익은?

(단, 법인세 효과는 무시한다)

①₩400            ②₩700         ③₩1,000          ④₩1,600

 

문 15.(주)한국은 2007년 1월 1일 액면가 ₩5,000인 보통주 100주를 주당 ₩6,000에 발행하여 회사를 설립하였다. 2007년 1월 10일에 자기주식 20주를 주당 ₩7,000에 취득하고, 1월 20일에 자기주식 중 10주를 주당 ₩8,000에 처분하였다. 기업회계기준상 자기주식처분이 (주)한국의 자본잉여금 또는 이익잉여금에 미치는 영향은?

①자본잉여금 ₩10,000 감소          ②이익잉여금 ₩10,000 감소

③자본잉여금 ₩10,000 증가           ④이익잉여금 ₩10,000 증가

 

문 16.기업회계기준에 따르면 포괄손익과 당기순손익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중 포괄손익과 당기순손익의 불일치를 초래하는 항목은?

①감자차손            ②주식선택권

③배당건설이자          ④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

 

문 17.(주)우식은 2008년 1월 1일에 신상품의 판촉캠페인을 시작하였다. 각 신상품의 상자 안에는 쿠폰 1매가 동봉되어 있으며 쿠폰 4매를 가져오면 ₩100의 경품을 제공한다. (주)우식은 발행된 쿠폰의 50%가 회수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2008년 중의 판촉활동과 관련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판매된 신상품의 상자 수 600개

◦교환 청구된 쿠폰 수 240매

2008년 중의 경품비와 2008년 12월 31일의 경품충당부채는?

경품비              경품충당부채

① ₩6,000          ₩1,500

② ₩7,500           ₩1,500

③ ₩6,000            ₩7,500

④ ₩7,500           ₩7,500

 

문 18.(주)대한은 액면가 ₩2,000인 주식 500주를 발행하여 ₩4,000,000의 공정가치를 지닌 설비를 취득하였다. 기업회계기준에 따르면 설비 취득이 (주)대한의 재무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설비계정을 ₩1,000,000 증가시키고, 자본금을 ₩1,000,000 증가시킨다.

설비계정을 ₩4,000,000 증가시키고, 자본금을 ₩4,000,000 증가시킨다.

설비계정을 ₩4,000,000 증가시키고, 자본금 ₩1,000,000과 주식발행초과금 ₩3,000,000을 증가시킨다.

설비계정을 ₩4,000,000 증가시키고, 자본금 ₩1,000,000과 주식발행초과금 ₩3,000,000을 감소시킨다.

 

문 19.다음은 12월 31일이 대차대조표일인 (주)한양의 2007년초와 2007년말 대차대조표 자료이다.

2007년 1월 1일

2007년 12월 31일

◦총자산

₩500,000

₩900,000

◦총부채

₩400,000

₩600,000

2007년 중 추가출자 ₩100,000과 현금배당 ₩50,000이 있었다면, (주)한양의 2007년 손익계산서에 보고되는 당기순이익은?

①₩150,000                ②₩200,000

③₩250,000                ④₩300,000

 

문 20.(주)서울건설은 장기건설계약에 대한 수익인식방법으로 진행기준을 사용하고 있다. 2006년 이 회사는 공사 Q를 시작했으며, 2007년도에 이 공사가 완공되었다. 공사 Q의 총계약금액은 ₩9,000이다. 2006년과 2007년도의 공사와 관련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2006년

2007년

◦공사대금청구액

₩3,000

₩6,000

◦당기발생원가

₩2,700

₩2,700

◦공사대금회수액

₩2,000

₩7,000

◦추정총공사원가

₩5,400

2006년도에 (주)서울건설이 인식해야 할 공사 Q와 관련한 손익은?

①이익: ₩1,800           ②이익: ₩2,700

③이익: ₩3,000           ④손실: ₩2,000

728x90
728x90

문 1.(주)경북은 (주)대구의 발행주식 중 40%를 2006년 초에 공정가치 상당액인 ₩400,000에 취득하였다. 2006년도 (주)대구의 당기순이익은 ₩50,000이었다.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2006년도 말 (주)경북의 대차대조표에 계상될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금액은 얼마인가?

①₩400,000        ②₩420,000         ③₩430,000         ④₩450,000


 

문 2.2007년 1월 1일 (주)한국은 액면가액 ₩10,000,000, 만기 5년, 표시이자율 10%인 사채를 ₩9,000,000에 할인발행하였다. 이자는 매년 12월 31일에 현금으로 지급한다. 사채할인발행차금을 정액법으로 상각할 때, 결산일인 2007년 12월 31일의 분개로 옳은 것은?

①(차)이자비용 1,200,000 (대)현금 1,000,000

사채할인발행차금 200,000

②(차)이자비용 1,000,000 (대)현금 1,200,000

사채할인발행차금 200,000

③(차)이자비용 1,000,000 (대)현금 1,000,000

④(차)이자비용 1,200,000 (대)현금 1,200,000

 

문 3.(주)대전은 복식부기 회계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2006년도에 거래처에 지급해야 할 외상매입대금을 현금으로 결제하였으나, 착오로 인하여 회계처리를 하지 못하였다. 위의 회계처리 누락은 재무비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다음 중 영향을 받지 않는 재무비율은 어느 것인가?

①부채비율        ②총자산회전율          ③총자본순이익률         ④고정비율

 

문 4.다음 중 대차대조표를 작성할 때 기업회계기준상 자본잉여금으로 분류되는 것만으로 나열된 것은?

①주식할인발행차금, 자기주식처분손실

②배당평균적립금, 자기주식처분이익

③해외사업환산이익, 자기주식

④주식발행초과금, 감자차익

 

문 5.(주)서울의 2005년도 말의 회계자료와 2006년도에 발생한 대손에 관련되는 거래는 다음과 같다.

2005년 12월 31일 대차대조표상 매출채권은 ₩4,500,000이며, 대손충당금은 ₩60,000이다.

2006년 3월 (주)동해의 파산으로 인하여 동 회사에 대한 매출채권 ₩330,000을 대손처리하였다.

2006년 12월 31일 현재의 매출채권잔액 ₩6,000,000을 평가한 결과, 회수 가능성이 매우 불확실한 매출채권이 ₩165,000으로 추정되었다.

(주)서울의 2006년도의 손익계산서에 보고될 대손상각비는 얼마인가?

①₩270,000         ②₩330,000             ③₩435,000         ④₩495,000

 

문 6.(주)부산은 홍수로 인하여 모든 상품이 유실되었다. 홍수가 발생한 날까지 상품과 관련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기초상품재고액(원가) ₩6,000

∘ 매출 ₩80,000

∘ 매입 ₩53,000

∘ 매입운임 ₩1,600

∘ 매입환출 ₩600

매출총이익률이 30%인 경우, 홍수로 인하여 유실된 상품은 얼마인가?

①₩4,600          ②₩4,000                ③₩5,600          ④₩10,000

 

문 7.2005년 1월 초에 (주)경기는 기계를 ₩10,000에 구입하였으며, 이 기계의 운반 및 설치비로 ₩4,000을 지출하였다. 이 기계의 내용연수는 10년, 잔존가치는 ₩1,000으로 추정된다. 2006년 1월 이 기계의 성능개선을 위하여 ₩900을 추가 지출하였다. 이는 기계의 자산가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정액법에 따라 감가상각비를 계상한다면 2006년도의 기계감가상각비는 얼마인가?

①₩1,100         ②₩1,200             ③₩1,300         ④₩1,400

 

문 8.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매출총이익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 기초상품재고액 ₩1,000(₩10×100단위)

∘ 장부상 기말상품재고액 ₩1,800(₩10×180단위)

실제 기말상품재고수량 150단위

(상품재고감모량 중 80%는 원가성이 있음)

∘ 당기매입액 ₩9,000

∘ 당기매출액 ₩12,000

①₩4,040          ②₩3,740               ③₩3,560          ④₩3,500

 

문 9.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현금흐름표상의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손익계산서상의

당기순이익

₩350,000

감가상각비

₩50,000

매출채권의 증가

₩20,000

재고자산의 감소

₩40,000

사채상환이익

₩50,000

미지급법인세의 증가

₩50,000

보통주의 발행

₩100,000

유형고정자산의 취득

₩90,000

①₩520,000         ②₩470,000               ③₩420,000        ④₩400,000

 

문 10.다음은 (주)충남이 2006년도 말 현재 보유하고 있는 매도가능증권 관련 자료이다.

매도가능증권

장부가액

2006년도 말

종 가

A

B

C

₩370,000

₩42,000

₩26,000

₩390,000

₩36,000

₩31,000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손익계산서에 계상되어야 할 매도가능증권 평가손익은 얼마인가?

①-₩6,000           ②₩0           ③₩19,000          ④₩26,000

 

문 11.(주)충북은 2005년 7월 1일 A제품을 ₩50,000에 판매하였다. 이 제품은 1년 동안 제품의 하자를 보증하며, 과거의 경험에 의하면 판매보증기간 중에 매출액의 20%의 판매보증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2005년도에는 판매보증비용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2006년 6월 30일 현재까지 판매보증비용이 ₩6,000이 발생하였다. 결산일인 2006년 12월 말에 계상하여야 할 판매보증충당부채 환입액은 얼마인가?

①₩10,000              ②₩6,000              ③₩4,000         ④₩0

 

문 12.직접원가 및 간접원가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발생한 원가를 원가대상별로 추적할 수 있는가에 따라서 직접원가와 간접원가로 분류된다.

②제품원가 계산 시 간접원가는 인과관계 등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제품에 배분된다.

③실질적으로 또는 경제적으로 특정 제품 등에 직접 관련시킬 수 있는 원가를 직접원가라고 한다.

④조업도의 변동에 따른 원가행태(cost behavior)에 근거하여 직접원가와 간접원가로 분류된다.

 

문 13.(주)전남의 수정분개 전 당기순이익은 ₩500,000이다. 수정분개사항으로는 선수수익 ₩5,000, 선급비용 ₩7,000, 미수수익 ₩4,000, 미지급비용 ₩6,000, 감가상각비 ₩3,000이 있다. 수정분개사항을 모두 반영할 경우 정확한 당기순이익은 얼마인가?

①₩497,000           ②₩503,000          ③₩486,000          ④₩500,000

 

문 14.최근 정부는 그동안 정부부문에 적용했던 단식부기회계에서 벗어나 복식부기회계를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복식부기회계를 도입함으로써 나타나게 될 큰 변화 중의 하나는 결산 시에 건물, 차량 등과 같은 고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 회계처리이다. 다음 중 감가상각 회계처리에 해당되는 가장 적합한 회계개념은 어느 것인가?

①실현주의            ②발생주의           ③보수주의           ④현금주의

 

문 15.2007년 3월 (주)강원의 지급임금 총액은 ₩900,000이었으며, 이 중에는 2월분 임금의 미지급액 ₩200,000이 포함되어 있다. 3월분 임금의 실제소비액은 직접노무원가 ₩800,000이고 간접노무원가 ₩150,000이었다. (주)강원의 2007년 3월분 임금의 미지급액은 얼마인가?

①₩50,000            ②₩150,000               ③₩200,000           ④₩250,000

 

문 16.다음은 (주)부산의 생산 및 영업에 관련된 자료이다.

매출액

고정제조원가

고정판매비와 관리비

총변동원가

단위당 판매가격

단위당 변동제조원가

단위당 변동판매비

₩1,200

₩160

₩40

₩900

₩8

₩5

₩1

손익분기점 수량과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각각 얼마인가?

(단,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한다)

수량 매출액

① 67단위 ₩536

②100단위 ₩800

③150단위 ₩1,200

④183단위 ₩1,464

 

문 17.(주)제주는 2006년 1월 1일 설립되었으며, 연간 보험료 ₩500,000을 납부하였다. 이 가운데 ₩400,000은 공장운영과 관련되는 것이었고, 나머지 ₩100,000은 판매활동과 일반관리활동에 관련된 것이다. 이 회사는 2006년 회계기간에 제품 1,000단위를 생산하여 그 중 600단위를 판매하였다. 2006년의 당기순이익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지급된 ₩500,000의 보험료 중 비용으로 인식되는 금액은 얼마인가?

(단, 2006년 말 기말재공품 재고는 없다)

①₩500,000          ②₩400,000              ③₩340,000         ④₩240,000

 

문 18.2006년 4월 1일 현재 월초재공품 수량은 5,000개이며, 이의 가공원가 완성도는 60%이다. 4월 새로이 투입된 수량은 10,000개이며 완성된 제품의 수량은 11,000개이다. 4월 30일 현재 월말재공품 수량은 3,800개이며, 이의 가공원가 완성도는 50%이다. 직접재료원가는 공정초기에 전량 투입되고, 가공원가는 모든 공정을 통해 균등하게 투입된다. 원가계산은 가중평균법을 사용하고 있다. 4월 중에 발생한 공손품 수량은 몇 개인가?

①200개          ②1,100개          ③100개         ④1,200개

 

문 19. (주)전북의 5월의 생산 및 원가자료는 다음과 같다.

<원가계산표>

과 목

제조지시서 #1

제조지시서 #2

월초재공품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

₩180,000

₩950,000

₩650,000

₩220,000

-

₩380,000

₩200,000

₩100,000

합 계

₩2,000,000

₩680,000

월초제품재고액은 ₩400,000이고, 월말제품재고액은 ₩500,000이다. 그리고 제조지시서 #1은 완성되었으나, 제조지시서 #2는 완성되지 못하였다. 손익계산서에 계상될 매출원가는 얼마인가?

①₩1,800,000             ②₩1,900,000              ③₩2,000,000            ④₩2,100,000

 

문 20.생산활동과 원가에 관한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변동제조간접원가의 소비차이(spending variance)와 능률차이(efficiency variance)를 계산하면 각각 얼마인가?

변동제조간접원가 실제 발생액

변동제조간접원가 표준배부율

실제 작업시간

실제 생산량에 허용된 표준작업시간

₩5,100

₩110(작업시간당)

44시간

40시간

소비차이                능률차이

①₩260 불리          ₩440 불리

②₩700 불리          ₩440 불리

③₩260 불리          ₩440 유리

④₩700 불리          ₩440 유리

728x90
728x90

문 1.전자감시제도의 형사정책적 역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①사회내 처우의 효과를 경감시킨다.

②인간존엄성의 침해소지가 있다.

③행형비용을 증가시킨다.

④시설처우의 단점을 배가시킨다.


 

문 2.범죄와 구별되는 개념으로서 일탈(deviance)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특정사회의 집단적 사회규범이나 행동규칙에 위반된 행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②비범죄화 정책을 수립할 때 중요한 판단척도가 된다.

낙인이론은 일탈을 정의할 때 규범위반 여부보다 사회적 반응을 중시한다.

④법규범은 사회규범의 일부에 불과하므로 일탈이 항상 범죄가 되지는 않는다.

 

문 3.형사절차에서 피해자의 참여권을 확대하는 방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사인소추제도의 도입

②재정신청 대상사건의 확대

③형사보상제도의 정비

④피해자의 정보권 강화

 

문 4.암수범죄(hidden crime)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암수는 고정된 수치가 아니라 일정치 않은 변수로 존재한다.

암수범죄의 존재로 인해 가장 많이 비판받는 형벌이론은 절대적 형벌이론이다.

③암수범죄의 조사방법으로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은 피해자조사이다.

④셀린(T. Sellin)에 따르면 범죄통계의 가치는 절차의 개입에 의하여 범죄로부터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증대한다.

 

문 5.재산형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재산형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은 수형자의 재산정도에 따라 형벌의 효과가 달라진다는 데에 있다.

벌금의 연납․분납제도가 활성화되면 형벌의 예방효과가 높아진다.

③일수벌금제도는 범죄자의 경제적 상태에 대한 조사가 사실상 매우 어렵다는 점에 문제가 있다.

④범죄수익금몰수제도는 특별예방적인 고려가 책임한도를 넘어서게 될 수 있다는 형법이론적인 문제가 있다.

 

문 6.보호관찰제도에 대한 설명 중 타당한 내용은?

보호관찰을 부과할 시 사회봉사명령이나 수강명령을 선택하여 부과한다.

②검사가 보호관찰관의 선도를 조건으로 하여 공소제기를 유예하면 보호관찰관은 선도위탁받은 자들에게 보호관찰을 실시한다.

가석방될 자에 대하여는 반드시 보호관찰을 실시하여야 하고, 준수사항을 중대하게 위반하면 가석방은 실효된다.

④가석방의 결정과 그 취소에 관한 사항은 보호관찰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법무부장관이 결정한다.

 

문 7.현행 치료감호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치료감호시설에 수용된 자도 접견, 서신의 수발, 전화통화 등을 할 수 있다.

②약물중독범을 치료감호시설에 수용한 경우 그 수용기간은 15년을 초과할 수 없다.

피고사건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하는 경우라도 치료감호청구를 반드시 기각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검사가 치료감호대상자에 대한 치료감호를 청구할 경우 정신과 등 전문의의 진단 또는 감정을 참고하여야 한다.

 

문 8.다음 글의 각 설명에 해당하는 기관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경찰, 검찰, 법원으로부터 송치받은 소년사건에 대하여 비행원인을 조사․심리하여 최적의 보호처분을 결정하는 기관

㉡비행청소년을 수용․보호하면서 이들의 자질을 과학적으로 진단․분류하는 기관

㉢범죄소년, 촉법소년 등을 수용하여 그들의 재범 또는 재비행을 방지하기 위한 교정교육을 행하는 기관

소년범죄자를 성인범죄자와 분리수용하고 청소년에 맞는 교정처우를 실시하기 위한 기관

                                                                    

①법원소년부          소년분류심사원   소년원             소년교도소

②소년분류심사원    법원소년부         소년원             소년교도소

③법원소년부          소년분류심사원   소년교도소       소년원

④소년분류심사원    법원소년부         소년교도소       소년원

 

문 9.단기자유형의 폐단과 대체방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기자유형의 경우 효율적인 교정이 어렵고 오히려 다른 범죄자로부터 범죄오염의 가능성이 있다.

형기가 짧더라도 전과자로서의 낙인은 남게 되며 본인의 사회복귀에 큰 지장이 초래될 위험이 있다.

③단기자유형은 남용되는 경우 자유형의 일반적 위신이 떨어질 수 있다.

단기자유형의 대체방안으로는 상대적 혹은 절대적 부정기형을 선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문 10. 양형의 형사정책적 의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양형은 입법자와 법관의 분업적 공동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②일반적으로 유책한 불법의 한도 내에서 일반예방 또는 특별예방을 추구하고 있다.

③양형개혁은 양형위원회의 양형기준에 법관을 구속시키려는 것이다.

양형기준은 판결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국민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문 11.비판범죄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급진주의 범죄학이라고도 한다.

②권력형 범죄의 분석에 무력하다는 비판이 있다.

범죄대책은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체제를 사회주의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④자본주의사회의 모순을 가장 중요한 범죄의 원인으로 보고, 범죄는 왕국에 대한 사회적 약자의 레지스탕스라고 주장한다.

 

문 12.사회해체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사회해체이론의 중요한 업적은 행위자 개인의 특성이 아니라 도시의 생태를 범죄나 비행의 발생 원인으로 파악한 것이다.

비행이 사회해체에 기인하기 때문에 비행예방을 위해서는 개별비행자의 처우보다 도시생활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의 조직화가 필요하다고 한다.

사회해체이론은 주로 경찰이나 법원의 공식기록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그 연구결과의 정확성은 문제되지 않는다.

④사회통제이론, 아노미이론, 차별적 접촉이론 그리고 문화적 갈등이론 등에 이론적 발전의 기초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문 13.청소년보호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청소년유해매체와 관련하여 방송시간제한의 규정을 두고 있다.

②청소년통행금지․제한구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유흥업소에서 영리를 목적으로 접객행위를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④성범죄를 범한 청소년에 대한 신상공개제도를 도입하였다.

 

문 14.소년보호사건의 관할과 대상 및 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14세 이상 20세 미만의 범죄소년 및 12세 이상 14세 미만의 촉법소년이 현행 소년법상 소년보호사건의 대상이며, 장래 형벌법령에 저촉되는 행위를 할 우려가 있는 12세 이상 20세 미만의 우범소년은 그 대상이 아니다.

소년에 대한 보안처분은 보호처분이라고 하며, 소년의 건전한 육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성인에 대한 보안처분과는 성격이 다르다.

12세 이상 14세 미만의 자로서 형벌법령에 저촉되는 행위를 한 소년은 형사미성년자로서 처벌되지 않지만, 가정법원 또는 지방법원의 소년부에 이송되어 재범방지를 위한 선도조치를 받는다.

④16세 이상의 소년에 대하여 보호관찰처분을 결정할 경우에는 사회봉사명령 또는 수강명령을 함께 명할 수 있다.

 

문 15.현행 소년사법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소년부판사는 보호처분을 조건으로 보호관찰소장에게 소년에 대한 판결전조사를 요청할 수 있다.

촉법소년도 범죄를 행한 소년이므로 일반 형사사법절차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③소년원에 송치될 범죄를 행한 소년은 소년보호절차에서 구속영장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④소년보호절차에 의해 소년원에 송치된 소년은 22세까지 수용될 수 있다.

 

문 16.범죄방지대책의 일환으로서 「지역사회의 조직화」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비공식적 범죄통제방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②지역사회 내 인구의 이동성이 높을수록 효율성이 떨어진다.

지역사회 자체가 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시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④초범예방에는 효과적이나 재범방지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문 17.교정처우의 모형을 소년범죄에 연결시킨 기술로서 옳지 않은 것은?

①의료모형-비행소년은 비(非)비행소년과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국가는 문제청소년의 대리부모로서의 입장에서 문제소년을 처우해야 한다.

재통합모형-재통합의 철학에 기초하여 범죄자와 사회의 재통합을 돕는 데 초점을 맞추는 처우모델이지만 비행소년은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요인에 의하여 범죄자로 결정된다는 입장에서는 의료모형과 차이가 없다.

③정의모형-소년범죄자의 치료와 개선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소년범죄자를 치료․교정의 객체로 전락시킬 위험이 있다.

④개선모형-범죄소년에 대해서는 종교적․심리적 카운슬링, 직업훈련 등이 더욱 중요하다.

 

문 18.<보기 I>의 학자와 <보기 II>의 내용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보기 I>

(a)머튼(R.Merton) (b)허쉬(T.Hirschi)

(c)볼드(G.Vold) (d)퀴니(R.Quinney)

<보기 II>

㉠어느 사회에서나 문화적 목표나 가치에 대해서는 사람들간에 기본적인 합의가 이루어져 있다는 가치공유설을 전제로 한다.

㉡자본가들에 의한 범죄를 지배와 억압의 범죄로 보았다.

㉢일탈을 통제하는 시스템에 장애가 생기면 일탈행동이 발생한다.

본인 스스로의 자아낙인(self-label)을 고려했다는 점에서 다른 낙인이론가들과는 차이가 있다.

㉤범죄행위란 집단갈등 과정에서 자신들의 이익과 목적을 제대로 방어하지 못한 집단의 행위로 인식하였다.

①(a)-㉠, (b)-㉣, (c)-㉤

②(b)-㉢, (c)-㉣, (d)-㉡

③(a)-㉢, (b)-㉡, (d)-㉣

④(a)-㉠, (c)-㉤, (d)-㉡

 

문 19.사회통제이론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사회통제이론들은 공통적으로 범죄원인의 규명에는 관심이 없고, 어떠한 사회통제장치가 범죄예방을 위해 효과적인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주로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레크리스(W. Reckless)는 빈곤과 같은 외적 압력, 불량교우와 같은 외적 유인, 내적 강요 등이 범죄유발요인이지만 이를 억제하는 내적․외적 억제장치가 있어서 통제기능을 발휘한다고 보았다.

③허쉬(T. Hirschi)는 인간은 도덕적인 존재도 부도덕한 존재도 아니며, 범행을 억제하는 요인이 부재하거나 부실하면 자연히 범죄를 수단으로 하여 욕망을 충족하는 존재라고 하면서 개인별 일탈의 차이는 애착(attachment), 전념(commitment), 참여(involvement), 믿음(belief)의 정도에 따른 것으로 보았다.

④사회통제이론은 기존의 범죄원인론이 검증불가능한 가설을 토대로 제기되어 온 것에 비하여 자기보고조사 등의 경험적 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한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강력범죄 등 중대범죄에 대해서는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문 20. 뒤르켐(E. Durkhei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범죄는 사회에 유해한 행위라고 보았다.

②아노미(Anomie) 이론을 처음으로 주창하였다.

범죄는 모든 사회가 피할 수 없는 ‘정상적 현상’으로 보았다.

구조기능주의 관점에서 범죄의 원인을 설명한 학자이며, 범죄필수설을 바탕으로 범죄정상이론을 주창하였다.

728x90

+ Recent posts